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41907716
· 쪽수 : 365쪽
· 출판일 : 2024-10-02
목차
Ⅰ. 나를 넘어서는 학문, 大學
1. 대학은?
2. 저자와 성립 시기 및 구성
가. 대학의 저자 문제 나. 대학의 성립 시기 다. 대학의 구성
3. 중용과의 관계
4. 철학사적 의의
Ⅱ. 大人의 학문, 經 1章(경문 제1장)
1. 천하를 포용하는 대학, 三綱領
가. 삼강령은? 나. 그 실천 방법 다. 도의 실행 원칙
2. 修身爲本의 수기치인, 八條目
가. 팔조목의 공부 과정 나. 팔조목 공부의 공효 다. 수신의 중요성
라. 本末과 薄厚에 비유된 수신
Ⅲ. 내 안에 있는 초월의 길, 三綱領
1. 내면의 밝은 덕을 밝히다, 明明德(전문 제1장)
가. 明德의 유래, 書經 나. 明德의 주체, 皆自明也
2. 내가 새로워야 세상이 새로워진다, 新民(제2장)
가. 新民의 유래, 日新 나. 신민의 내용, 作新民 다. 신민의 효과, 其命維新 라. 신민의 주체, 君子
3. 최고의 지향점, 止於至善(제3장)
가. 마땅히 머물러야 할 곳, 所當止之處
1) 백성의 지선, 邦畿千里 2) 꾀꼬리에 비유된 지선, 止于丘隅 3) 문왕의 지선, 於緝熙敬止
나. 지선의 결과, 民不忘
1) 위 무공의 지선, 明德 2) 선왕에 비유된 문무왕의 지선, 親民
다. 일의 본말을 통한 지선, 知本(제4장)
1) 송사를 예로 든 명덕 2) 무정자를 신민한 명덕
Ⅳ. 修己治人의 8단계, 八條目
1. 修己, 爲本
가. 일실된 格物과 致知, 格物補傳(제5장)
1) 격물과 치지의 관계, 致知在格物 2) 격물치지를 못 한 원인, 未窮
3) 격물치지를 위한 공부, 益窮之 4) 물격의 완성, 知之至
나. 誠意, 必慎其獨也(제6장)
1) 성의의 전제, 毋自欺 2) 소인의 불선, 無所不至
3) 신독의 필요, 十目所視 4) 성의의 효과, 心廣體胖
다. 正心에 달린 修身, 修身在正心(제7장)
1) 정심의 방해 요인, 四有所 2) 정심을 못한 병폐, 視而不見 3) 수신의 요체, 正心
2. 治人, 우주적 자연과의 공감
가. 齊家, 최초의 共感(제8장)
1) 수신의 방해 요소, 五僻 2) 치우친 감정의 효험, 莫知其子之惡 3) 제가의 전제, 身修
나. 治國, 在齊家(제9장)
1) 孝·悌·慈에 비유된 治國 2) 如保赤子에 비유된 治國
3) 통치자 한 사람의 영향 1, 一人定國 4) 통치자 한 사람의 영향 2, 民從之 5) 治國의 기초, 在齊其家
6) 治國 在齊其家를 예 든 시경
가) 周南의 도요편(桃夭篇), 宜其家人 나) 小雅의 육소편(戮蕭篇), 宜兄宜弟
다) 曹風의 시구편(鳲鳩篇), 其爲父子兄弟 足法
7) 此謂治國 在齊其家
다. 平天下, 우주적 공감의 완성(이하 제10장)
Ⅴ. 治天下의 요체, 絜矩之道
1. 혈구의 구체적 내용, 民之所惡
2. 시경 속 혈구, 民之父母
가. 백성이 좋아하는 정치, 民之所好 好之 나. 혈구를 그르친 경우, 辟則爲天下僇矣 다. 천명 보존의 혈구, 得衆則得國
3. 덕을 근본 하는 군주의 혈구, 先愼乎德
가. 덕을 근본 해야 하는 이유, 有德此有人 나. 財에 우선하는 德, 德者本也 다. 財를 우선한 폐해, 爭民施 라. 적절한 財用의 이득, 財散則民聚 마. 재화 입출의 도리, 貨悖而入者 亦悖而出 바. 천명에 관련된 선덕, 善則得之
4. 나라의 보배, 義人善政
가. 초나라의 보배, 惟善以爲寶 나. 진나라의 보배, 仁親以爲寶
5. 인재에 대한 혈구, 唯仁愛人
가. 군주의 포용력, 能容之 以能保民 나. 치자의 어짊, 惟仁人 爲能愛人
다. 군주의 과실, 怠慢 라. 본성을 거스르는 군주, 菑必逮夫身
6. 군자의 큰 원칙, 必忠信以得之
7. 재용에 대한 혈구, 以義爲利
가. 재물 증식의 대원칙, 生之者衆 爲之者疾 나. 어진 이의 재용, 仁者 以財發身 다. 군주의 혈구, 上好仁 라. 군자의 혈구, 不以利爲利 마. 국익 판단의 혈구, 以義爲利
Ⅵ. 대학의 명언 명구
1. 경 1장 중에서(경문 제1장)
2. 전 10장 중에서
가. 삼강령과 관련하여(전문 제1장~제4장) 나. 팔조목과 관련하여(제5장~제9장)
다. 혈구지도와 관련하여(제10장)
Ⅶ. 대학문을 나서며
1. 대학의 중요성 2. 발전적 해석론 3. 대학과 21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