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41971052
· 쪽수 : 331쪽
· 출판일 : 2025-01-01
목차
프롤로그 P8-P11
추천사 P12-P15
1 대한민국 인구소멸은 이미 끝났다 P18
가. 학령 인구 감소 트렌드 측면 P22
나. 장래 추계 생산연령인구 감소 측면 P26
다. 고령 인구 부문 P29
라. 유소년,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부문 P31
마. 인구수 중위연령 부문 P34
바. 인구 피라미드 부문 P35
2 대한민국 지방소멸 현황 P37
가. 지방소멸의 단계별 인구절벽 현상 P38
나. 대한민국 지방소멸 끝이 보인다 P40
다.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 가속화 P44
라. 대한민국 소멸지역 현황분석 P47
3 대한민국 교육 트렌드 분석 P52
가. 전국 유치/초/중/고 학교 수 측면 P53
나. 전국 학생 수 측면 트렌드 현황 P57
1) 초등학교 학생 수 트렌드 분석(24년~36년) P59
2) 중학교 학생 수 트렌드 분석(24년~37년) P63
3) 고등학교 학생 수 트렌드 분석(24년~40년) P65
4) 학급별 학생 수 트렌드 분석(99년~24년) P67
다.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수 P70
라. 다문화 학생 수의 지속적 증가 P73
마. 초/중/고교 학업 중단율 지속적 증가 P75
바. 해외 유학생 수 트렌드 분석 P78
4 학급별/지역별 교육시장 소멸 분석 P82
가. 초등 교육시장의 소멸 P84
1) 지역별 0세~13세 학령인구 현황 P84
2) 초6 학령인구 기준 연도별 감소현황 P85
3) 지역별 초등학생 현황분석 P86
4) 초등학생 수 트렌드 분석(24년~31년) P89
가) 시/구/군 가장 많이 감소지역(감소율) P93
나) 시/구/군 가장 많이 감소지역(학생수) P95
5) 초등학생 수 트렌드 분석(24년~34년) P97
6) 초등학생 수 트렌드 분석(24년~36년) P99
나. 중등 교육시장의 소멸 P101
1) 지역별 중학생 현황분석 P101
2) 중학생 학령인구 트렌드 분석 P103
3) 시/구/군 가장 많이 감소지역(감소율) P108
4) 시/구/군 가장 적게 감소지역(감소율) P110
5) 시/구/군 가장 많이 감소지역(학생 수) P112
6) 시/구/군 가장 작게 감소지역(학생 수) P114
다. 고등학교 교육시장의 소멸 P116
1) 지역별 고등학생 현황 P116
2) 고등학생 학령인구 트렌드 분석(22~40Y) P118
3) 전국 가장 많이/작게 감소지역(증감율) P122
4) 전국 가장 많이/작게 감소지역(학생수) P124
5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전국대학소멸 P127
가. 대학 학교 수 트렌드 분석(70Y~24Y) P130
나. 대학 교육 학생 수 트렌드 분석 P133
다. 대학 교육 학업 중단 학생 수 트렌드 분석 P137
라. 고3 학령인구감소에 대입 교육시장의 소멸 P139
마. 고등학교 재학생 대학 진학율 트렌드 분석 P144
바. 2023학년도 N수생 입학생 현황 추정 P145
사. 대학 정원 기준 충원/미충원 분석(21년~40년) P147
6 대한민국 공교육/사교육 소멸 P154
가. 공교육 소멸 이미 시작되었다 P155
나. 사교육비 트렌드 현황(22년~23년) P163
다. 미래 교육시장 트렌드 소멸 전망 분석 P182
1) 국내 경제 전망 미래 트렌드 분석 P183
2) 대입 교육 정책 트렌드 분석 P187
3) 학령인구 트렌드 종합적 분석 P190
4) 교육시장 단계별 소멸 분석 P192
5) 미래 사교육 시장 추정 P196
가) 미래 사교육 시장 추정 Simulation P196
나) 미래 사교육 시장 최종 예측 P201
다) 대한민국 교육 소멸 총정리 P204
7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교육 정책 P209
가.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 현황과 사회 문제 P211
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교육 문제 P212
다. 일본의 초/중학교 단계적 교육 정책 P214
라. 고등학교 단계의 교육 정책 P215
마. 고등교육 단계의 교육 정책 P216
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일본 교육 정책의 시사점 P217
8 지역별 초등학생 수 감소 트렌드 분석 P219
가. 서울특별시 트렌드 분석 P220
나. 부산광역시 트렌드 분석 P227
다. 대구광역시 트렌드 분석 P230
라. 인천광역시 트렌드 분석 P232
마. 광주광역시 트렌드 분석 P234
바. 대전광역시 트렌드 분석 P236
사. 울산광역시 트렌드 분석 P238
아. 세종특별자치시 트렌드 분석 P240
자. 경기도 1지역 트렌드 분석 P241
차. 경기도 2지역 트렌드 분석 P245
카. 강원도 트렌드 분석 P249
타. 충청북도 트렌드 분석 P251
파. 충청남도 트렌드 분석 P254
하. 전라남도 트렌드 분석 P256
거. 전라북도 트렌드 분석 P259
너. 경상북도 트렌드 분석 P262
더. 경상남도 트렌드 분석 P264
러. 제주도 트렌드 분석 P267
9 지역별 중학생 수 감소 트렌드 분석 P269
10 지역별 고등학생 수 감소 트렌드 분석 P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