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교양심리학
· ISBN : 9791155100547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7-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불안은 마음의 경계경보
1부 나는 왜 불안한 걸까?
01 왜 우울한 기분이 풀리지 않을까?
누구나 고민은 있다 | 무엇이 소중한지를 생각한다
연습장 01_하고 싶었던 일 확인하기
02 부정적인 생각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왜 이렇게 괴롭고 힘든 걸까? | 인지적 왜곡
연습장 02_마음속의 괴로움 들여다보기
03 생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현실을 똑바로 인지한다 |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을 검증한다
연습장 03_자동적 사고의 여섯 가지 특징
04 거리를 두고 바라본다
자동적 사고 검증하기 | 한 가지 생각에만 빠져 있지 않은가?
연습장 04_반증을 생각해 보기
05 괴롭더라도 현실을 피하지 않는다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는가? | 현실을 받아들이고 해결책을 생각한다
연습장 05_현실을 객관적으로 보기
06 끝없이 밀려오는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
괴로운 현실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다 |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울 때
연습장 06_우선순위 재검토하기
07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어떻게 하면 ‘지금’을 바꿀 수 있을까? | 자신의 생각에서 자유로워지자
연습장 07_최선의 해결책 선택하기
2부 부정적인 감정을 대하는 자세
08 마음의 여유를 갖는다
흑백 사고에 빠져 있지 않은가? | 자신의 괴로움에 점수를 매겨 본다
연습장 08_자신의 괴로움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09 때론 게으름을 피워도 괜찮다
어느새 완벽주의자가 되어 있지는 않은가? | 결과만 보고 자신을 부정하지 않는다
연습장 09_일어난 일을 다각도로 바라보기
10 실패한 일을 받아들이는 방법
후회에서 도무지 빠져나오기 힘들 때 | 실패한 경험을 되돌아보고 깨닫는 것
연습장 10_후회를 반성으로 바꾸기
11 기대와 현실 사이의 격차를 줄여라
이상적인 모습과 현실의 차이 | 절묘하게 균형을 잡는다
연습장 11_플러스 적금 만들기
12 분노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왜 짜증이 나는가? | 분노는 나쁜 감정인가?
연습장 12_감정 성향에 대해 알아 보기
13 분노를 조절하는 네 가지 단계
분노에 휩싸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 ①화가 난 상태임을 인지한다 |
②분노 감정을 잘 조절한다 | ③자동적 사고를 되돌아본다 | ④구체적인 문제를 살펴본다
연습장 13_최선의 시나리오와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하기
3부 기분을 다스리는 연습
14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하니 괴로운 것이다
현실로 일어난 일을 확인한다 | 상처를 피하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다
연습장 14_문제 정리하기
15 스스로를 몰아붙이지 않는다
자신이 잘한 일을 찾는다 | 노력한 자신을 칭찬한다
연습장 15_현상 파악하기
16 문제를 과장해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못하는 것만 눈에 띈다 | 생각과 현실을 착각하지 않는다
연습장 16_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들여다 보기
17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어차피 난 안 돼!’라며 미리 포기해 버리지 않는다 |
빨리 알아주지 않는다고 초초해 하지 않는다
연습장 17_객관적인 해결책 모색하기
18 더는 못 하겠다는 생각이 들 때
다 그만두고 싶을 때 | 누군가가 곁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안심이 된다
연습장 18_긍정적인 부분에 주목하기
19 불안의 원인을 성격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불안은 성격 탓인가? | 성격에 좋고 나쁨은 없다
연습장 19_내 성격 분석하기
20 일부러 불안 속으로 들어가 본다
조금만 노력해도 자신감을 찾을 수 있다 | 도망친 일은 후회로 남기 쉽다 |
불안을 극복하기 어렵게 만드는 세 가지 요소
연습장 20_불안감을 떨쳐버리는 연습
21 불안해지는 데는 이유가 있다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 | 누구에게나 두려운 것은 있다
연습장 21_현실 속으로 들어갈 때의 순서
4부 나를 받아들이는 기술
22 고칠 수 없는 약점으로 스스로를 괴롭히지 않는다
자신의 장점을 찾아보자 | 장점이 하나도 없는 사람은 없다
연습장 22_자신을 재평가하기
23 성공한 자신을 인정한다
단지 타이밍이 좋아서 성공했을까? | 자신의 능력을 부정하지 않는다
연습장 23_자신이 잘한 일, 일이 잘 풀린 경우를 찾아보기
24 지나치게 신경 쓰지 않는다
생각이 너무 많아서 자신을 괴롭히는 것은 아닌가? | 언제나 예상대로 될 리가 없다
연습장 24_자제심이 지나치지 않은지 확인하기
25 마음이 맞는 사람과의 만남을 소중히 한다
마음이 통한다는 것 | 고민을 털어놓을 친한 친구가 있는가?
연습장 25_감사의 마음 갖기
26 지쳤을 때는 스스로에게 휴식을 선물한다
쉬고 있으면 죄책감을 느끼는가?| 휴식은 에너지를 보충하는 시간
연습장 26_자신에게 선물 주기
리뷰
책속에서
불안은 ‘마음의 경계경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뭔가 위험한 일이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마음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죠. 그런데 그런 불안을 느끼지 않으려는 것은 처음부터 경계경보를 꺼두는 것과 같습니다.
중요한 경보를 작동하지 않게 하는 것만큼 위험한 일은 없습니다. 그렇다고 경보가 너무 자주 울린다면 그것 또한 곤란하겠죠?
위험할 때 정확히 울리고,
경보가 울리면 확실하게 대응하는 것.
정신과 의사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 요령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마음이 괴로울 때 머릿속에 떠오른 ‘자동적 사고’를 자각했다면, 다음은 그 생각이 맞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인사를 건넸는데 무시당했다고 해서 ‘저 사람은 나를 싫어해’라고 결론짓는 것은 위험합니다. 기분이 우울하거나 불안할 때는 생각의 균형이 틀어져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대방은 당신이 건넨 인사를 알아차리지 못했거나 급한 용무로 서두르고 있었을지 모릅니다. 사실을 확인할 때까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