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55222362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20-08-28
책 소개
목차
Ⅰ 문화유산의 개요
1. 문화재의 정의
2. 문화재의 유형별 분류
3. 유네스코 등재유산
Ⅱ 매장문화유산
1. 매장문화재의 정의
2. 매장문화재의 조사 방법
3. 매장문화재 조사의 성격
4. 문화재의 보존
5. 전북의 매장문화
Ⅲ 고분문화유산
1. 청동기시대
2. 원삼국시대
3. 백제
4. 가야
5. 전북 가야
6. 전북의 주요 고분
Ⅳ 불교문화유산
1. 가람
2. 불상
3. 석탑
4. 석등
5. 부도
6. 범종
7. 전북의 주요 사찰
Ⅴ 성곽문화유산
1. 성곽의 기원과 발달
2. 성곽의 종류와 분류
3. 성곽의 구성 요소
4. 전북의 주요 성곽
Ⅵ 도요문화유산
1. 고려청자
2. 분청사기
3. 백자
4. 전북의 주요 도요지
Ⅶ 향교와 서원유산
1. 향교
2. 서원
3. 전북의 주요 향교와 서원
Ⅷ 건축문화유산
1. 건축사의 개요
2. 궁궐과 관아
3. 누정
4. 가옥
5. 전북의 주요 건축
Ⅸ 근대문화유산
1. 전주한옥마을 일원
2. 군산 일제 수탈 문화유산
부록 | 문화재 각부 명칭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북의 동부지역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동쪽의 운봉고원과 서쪽의 진안고원이 있다. 전북 남원의 운봉고원과 장수 일대의 진안고원에는 가야의 고분들이 산줄기의 능선에 줄지어 분포하고 있다. 이는 고구려, 백제, 신라와는 다른 가야 독자의 장례문화를 보여 주고 있다. 남원의 운봉고원에는 남강 수계에 해당하는 곳이며, 아영 일대의 유곡리, 두락리에 40여 기의 고분과 월산리에 10여 기의 고분을 포함하여 마한 분구묘와 가야고분 180여 기가 자리하고 있다. 백두대간 서쪽 진안고원의 장수군 일원에는 장수읍 동촌리에서 90여 기, 장계면 삼봉리에서 40여 기의 고분 등 총 240여 기의 고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