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성장/발달
· ISBN : 979115532047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4-03-1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우리 아이 공부 방해꾼, 난독증만 잡아도 인생이 달라진다 4
1장 우리 아이 공부가 안 되는 진짜 이유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는 달라요 19
첫 졸업생 둘 중 한 명이 SKY 대학, 하나고의 학생 선발 비결 23
지능이 높고 똑똑해도 읽기를 못한다면 학습장애로 이어진다 29
공부, 하고 싶지 않은 게 아니라 못하는 것이다 36
자극이 너무 많아 공부할 수 없어요 41
장이 튼튼해야 공부도 잘한다 47
2장 아이 성적을 떨어뜨리는 난독증은 어떤 질환인가요?
시력은 정상인데 책을 잘 못 읽는다고? 55
10명 중 한 명은 난독증 59
똑똑한 우리 아이도 난독증일 수 있다 65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난독증애는 여러 종류가 있다 70
열심히 공부하지만 결과가 좋지 않다면 난독증을 의심하라 76
난독증이 있다면 특별한 재능도 있다 81
좀 더 쉽게 영화로 살펴보는 난독증 이야기 87
3장 그렇다면 난독증은 왜 생기나요?
부모가 난독증이면 아이도 난독증일 수 있다 95
태내 환경이 안 좋아도 난독증이 생길 수 있다 100
두뇌 유형은 인지와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106
두뇌와 신체의 궁합이 맞아야 공부를 잘한다 111
시력과 상관없이 시지각이 난독증을 유발한다 117
소리를 처리하지 못하는 청지각적 난독증 123
중이염에 자주 걸리는 아이, 난독증이 될 수 있다 128
평형감각도 아이의 읽기 능력에 중요하다 134
4장 우리 아이도 난독증인가요?
말을 잘못 알아듣고 말귀가 어두워요 143
선생님 말을 전달하지 못하고 학교생활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요 148
책을 읽자고 하면 기겁을 해요 153
글씨가 삐뚤삐뚤 엉망이에요 159
영어를 오래 배웠는데도 제대로 읽지 못해요 163
수학이 너무 어려워요 169
나이에 따라 난독 증상도 다른가요? 175
취학 전 우리 아이가 난독증인 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182
5장 난독증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한두 가지 방법으로는 진단할 수 없는 난독증 191
학습이 안 되는 아이들이 모두 난독증은 아니다 205
37개 증상 중 10개 이상에 해당하면 내 아이도 난독증 211
교육 정책에 따라 난독인들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 216
6장 난독증을 치료하면 학습이 잘 되나요?
난독증은 치료될 수 있나요? 225
가정에서의 읽기 교육이 중요하다 233
읽기를 잘하려면 시지각 기능을 개선해야 한다 240
청지각 훈련으로 성적을 높일 수 있다 246
감각-운동 통합 훈련을 하면 학습능력이 좋아진다 252
두뇌의 자기조절 훈련은 아이의 잠재력을 키워준다 257
유전자를 조종하면 두뇌도 건강해진다 262
기능의학적 치료를 받으면 두뇌 훈련의 효과가 빠르다 270
2009년 국내 최초로 난독증 시범사업을 하다 278
에필로그 _ 난독증은 장애가 아니라 차이와 재능이다 284
부록 _ 난독증 자가진단 설문지 292
리뷰
책속에서
공부를 못하고 성적이 나쁜 아이들 가운데 환경을 바꿔 주어 정서적인 문제가 해결되면 공부도 나아지는 아이들이 있다. 이 경우는 학습부진에 해당한다. 그러나 부모와의 관계는 물론 친구 관계도 좋고 정서적인 문제도 없는 은보미처럼 열심히 노력하는데도 읽기, 쓰기, 셈하기가 안 될 때는 학습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학습부진은 비교적 단기간에 좋아질 수 있지만, 학습장애는 한 살이라도 어릴 때 발견해서 도와주지 않으면 평생 책과 담을 쌓게 된다. 그러므로 부모들은 아이가 공부에 문제가 있으면 학습부진인지 학습장애인지 빨리 판단하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읽기는 초등학교 저학년 때 반드시 습득해야 할 가장 중요한 학습 기술이다. 초등학교 3학년 때까지 읽기 속도나 읽기 이해력에 문제가 나타난다면 이는 학습 전반에 어려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깨닫고 빨리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
난독증은 지능과는 관계없다. 난독증 아동은 바보가 아니다. 게을러서 공부를 안 하는 것도 아니며,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도 아니다. 단지 글자를 소리로 바꿔 읽는 것이 어렵거나 또래에 비해 느릴 따름이다. 옆에서 읽어 주면 이해하는 것도 빠르다. 이런 아이들에게 지필 시험이 아니라 구술시험을 보도록 한다면 높은 성적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읽기 문제를 조기에 발견해서 지필 시험에서도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