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5401484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9-05-31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간신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는 권력이 그들을 원했기 때문이다
*왜 간신은 끊이지 않는가?
간신은 없다
보통의 존재, 간신
간신은 만들어진다
리더에게는 간신과 같은 내부의 적이 필요하다 | 절대권력은 절대로 부패한다 | 조직은 간신이라는 희생양을 필요로 한다
간신은 선악으로 평가할 수 없다
간신을 권하는 사회 | 간신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간신은 이렇게 태어났다
홍국영 권신이 간신으로 변하기 전에 제어하라
홍국영이 없었다면 정조도 없었다 | 짧았던 권력의 절정 | 동지에 대한 추락 속의 배려 | 권력의 속성. 그리고 왕의 결단 | 간신의 탄생은 군주의 책임이다
김자점 왕에게는 적당히 쓸모없는 이쑤시개가 필요하다
권력은 운이다 | 김자점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 ‘왕’이란 이름의 태생적 불안함 | 인조의 사정, 권위의 부재 | 간신의 조건, 왕에게 필요한 쓸모없는 신하 | 성공의 비결, 사람에게 충성하라 | 간신배의 예정된 몰락 | 김자점 최후의 승부수, 매국노로의 변신 | 그러나 김자점의 잘못일까?
윤원형 성공하기 위해 미쳐야 했던 보통사람
문정왕후, 그리고 수렴청정 | 왕자가 있는데 왕자가 또 태어났다 |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은 과연 최악이었을까? | 조선 건국정신의 역린을 건드린 숭불정책 | 그리고 차근차근 권력을 장악한 윤원형 | 을사사화 또는 골육상잔 | 윤원로를 제거하라 | 언론을 지배하는 자가 권력을 장악한다 | 윤원형은 왜 신분차별 폐지를 주장했는가? | 간신에게는 모시는 주인이 전부다
*간신은 이렇게 모든 것을 장악했다
한명회 욕망을 관리받지 못한 처세의 달인
칠삭둥이 궁지기의 인생역전 | 난세를 기회로 만든 비상한 정치적 역량 | 욕망과 야망을 구분할 줄 알았던 냉철함 | 혼인으로 맺은 가장 끈끈한 인맥 | 믿지 못하기에 믿었고, 믿었지만 믿지 못했다 | 권력의 중심에서 천수를 누리다 | 한명회는 간신이었을까?
김 질 역사를 배신하고 자신을 선택한 그날의 결정
문종이 아끼던 충족한 신하, 김질 | 세조가 아꼈던 그의 장인, 정창손 | 그날 하루의 선택 | 기회주의자인가? 엘리트 관료의 변신인가?
이완용 부조리한 나라를 팔아먹은 부조리한 매국노
괴물의 탄생 | “아버지의 이름으로 살았을 뿐이다” | 독립문 현판을 쓴 매국노 | 이완용‘만’의 잘못인가?
*간신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임사홍 간신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던 간신
강직하고 소신 있었던, 사림의 적 | 연산군은 과연 폭군일까? | 임사홍이 갑자사화를 일으킨 것인가? | 임사홍은 연산군의 채홍사로 활약했는가? | 연산군은 폭군이고, 임사홍은 간신이다
원 균 군주에게는 죄를 뒤집어써줄 내부의 적이 필요하다
개운치 않았던 성장 과정 | 이순신이 키우고 원균이 말아먹은 수군 | 누가 자격 없는 지휘관을 전장에 세웠는가? | “사냥이 끝난 사냥개는 주인을 사냥하지 않을까?” | 결속을 다져줄 적이 없다면 내부에서 적을 만들어라 | 군주에게 이용당한 무능한 신하
유자광 인간답게 살려니 역사의 짐승이 되었다
세조 시절, 그의 신분적 한계와 벼락출세 | 예종 시절, 그의 첫 번째 위기와 결단 | 성종 시절, 차별과 폄훼를 감내한 시간 | 연산군 시절, 결국 간신의 탄생 | 김일손의 사초는 믿을 만한가? | 연산군의 적은 선비다 | 선비의 적은 연산군이다 | 모두가 간신의 몰락을 바랐다
마치는 글 누구나 간신이 될 수 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안타까운 사실이 있다. 왕과 신하라는 표현이 쓰여서는 안 되는 민주주의 체제인 21세기 대한민국에서도 간신이라는 단어는 언어로서의 생명을 가지고 계속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사용 용례에 적합한 인물들이 계속 등장한다는 것이다.
〈간신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는 권력이 그들을 원했기 때문이다〉 중에서
충신이야말로 인간의 속성에 반하는 비정상적인 존재다. 역사로 되새김질되는 까닭 또한 그들이 희귀하고 특별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우리의 본성은 간신에 가깝다. 인간은 나약하고, 이기적이다. 우리 보통사람들이 권력을 쥐었을 때 어떻게 변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간신은 지옥에서 올라온 별종이 아니다. 어느 곳에서나 여상하게 마주칠 수 있는 우리 자신의 다른 모습이다. 〈간신은 없다〉 중에서
간신은 간신을 허용한 왕과 시대가 있어야 등장할 수 있다. 신하 혼자 욕망한다고 간신이 될 수는 없다. 이를 받아들이고, 허용하는 왕이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간신을 바라볼 때 이런 의문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왕은 왜 간신을 받아들였을까?” 왕이 간신을 ‘허용’한 까닭은 결코 무능해서가 아니라 이익이 있었기 때문이다.
〈간신은 선악으로 평가할 수 없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