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5550255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7-11-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거버넌스: 신드롬 또는 기각된 대안
1. 행정학의 지적 위기intellectual crisis
2. 거버넌스 열풍? 거버넌스 신드롬?
3. 거버넌스: 또 하나의 기각된 대안?
4. 책의 집필 목적과 구성
제2장 계층제적 지시와 주류 행정학
1. 관료제 패러다임: 주류 행정학의 지적 위기
2. 관료제 패러다임의 본질: 계층제적 지시
3. 계층제적 지시의 조건: 정보문제와 동기문제
4. 계층제적 지시 중독
5. 정부실패와 코페르니쿠스적 사고의 전환
제3장 좋은 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 새로운 이론?
1. 좋은 거버넌스: 새로운 행정학 이론?
2. 신공공관리론: 새로운 행정학 패러다임?
3. 코페르니쿠스적 사고의 전환 필요성
제4장 네트워크 사회와 사악한 문제
1.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2. 사악한 문제wicked problems
3. 사회문제 유형과 계층제적 지시
제5장 네트워크 거버넌스: 새로운 사회적 조정 양식
1. 사회적 조정
2. 새로운 사회적 조정 양식으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3.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이론적 차별성
제6장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1. 정부에서 거버넌스로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2. 협력적 거버넌스 개념화
3. 사회적 조정 양식의 혼합으로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4. 협력적 거버넌스의 장점
제7장 메타거버넌스
1. 협력적 거버넌스 관리의 필요성
2. 메타거버넌스metagovernance 개념화
3. 메타거버넌스와 새로운 리더십: 정부와 민간의 역할
제8장 협력적 거버넌스의 공공성과 책임성
1. 협력적 거버넌스의 위기?
2. 협력적 거버넌스의 공공성
3. 협력적 거버넌스와 책임성
4. 새로운 행정학의 정체성
제9장 거버넌스 이론의 과제
1. 새로운 행정학 이론으로서의 거버넌스 이론
2. 제1세대 거버넌스 이론과 제2세대 거버넌스 이론
3. 제2세대 거버넌스 이론의 과제
4. 제2세대 거버넌스 이론 예시
5. 제2세대 거버넌스 이론의 발전 방향
제10장 거버넌스의 지적 위기
1. 거버넌스: ‘충분히 새로운’ 대안?
2. 충분히 새로운 대안으로 거버넌스 정의하기
3. 거버넌스 신드롬의 부작용
4. 거버넌스의 지적 위기 극복을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