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55562680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3-12-31
목차
책을 펴내며 13
서장. 새로운 정치 엘리트 유형학의 모색: “2차원에서 4차원으로”
Ⅰ. 들어가며 23
Ⅱ. 2차원적 정치 엘리트 분류법 27
Ⅲ. 정치 엘리트 유형에 대한 4차원적 분류법 34
Ⅳ. 나오며 44
제 1 부. 중국
제2장. 4차원적 분류법을 적용한 최신 중국 정치 엘리트 유형 변화 연구: 제20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를 사례로
Ⅰ. 들어가며 55
Ⅱ. 주요 개념과 분석틀 58
Ⅲ. 중국 정치 엘리트 유형 변화 64
1. 통합 65
2. 분화 68
3. 순환의 범위 73
4. 순환의 방식 74
Ⅳ. 나오며 76
제3장. 시진핑 시기 엘리트 정치와 중앙-지방 관계: 후진타오 집권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85
Ⅱ. 후진타오 시기 정치국의 지방 부문 구성과 중앙-지방 관계 90
Ⅲ. 시진핑 시기 정치국의 지방 부문 구성과 중앙-지방 관계 96
Ⅳ. 나오며 105
제4장. 시진핑 시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집체학습(集???) 분석
Ⅰ. 들어가며 117
Ⅱ.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집체학습 121
1. 이론적 근거 121
2. 역사적 발전 123
Ⅲ. 제18기 중앙정치국 집체학습 126
Ⅳ. 제19기 중앙정치국 집체학습 133
Ⅴ. 나오며 138제 2 부. 러시아
제5장. 8대 국가두마 선거가 러시아 엘리트 정치 동학에 미치는 영향
Ⅰ. 들어가며 147
Ⅱ. 주요 개념과 연구방법 154
Ⅲ. 8대 국가두마 선거와 러시아 정치 엘리트 구조의 변화 및 지속 요인 162
1. 8대 국가두마 선거와 러시아 정치 엘리트 구조의 변화 요인 162
2. 8대 국가두마 선거와 러시아 정치 엘리트 구조의 지속 요인 173
Ⅳ. 나오며 185
제6장. 러시아의 ‘확장된 유라시아 파트너십’ 개념과 중러 협력
Ⅰ. 들어가며 209
Ⅱ. 고전적 유라시아주의와 신유라시아주의 212
1. 고전적 유라시아주의 2122. 신유라시아주의 215
Ⅲ. 확장된 유라시아 파트너십(Greater Eurasian Partnership) 219
1. 유라시아 통합 의제로서의 GEP 219
2. 유라시아통합의 8가지 원칙 224
3. EAEU와 일대일로의 연결 226
Ⅳ. 중러 경제협력과 동북아 229
1. 중러 경제협력 229
2. 중러 전략적 협력과 동북아시아 232
Ⅴ. 나오며 235
제 3 부. 카자흐스탄
제7장. 엘리트 집단 교체와 권력구조 개편을 중심으로 본 2022년 카자 흐스탄 정치변동
Ⅰ. 들어가며 249
Ⅱ. 엘리트 집단 교체 253
Ⅲ. 권력구조 개편 266
Ⅳ. 나오며 276
제8장. 카자흐스탄 엘리트 정치 구조의 변화: 나자르바예프와 토카예프 체제의 과두제 비교
Ⅰ. 들어가며 293
Ⅱ. 윈터스의 과두제 유형에 대한 논의 297
Ⅲ. 나자르바예프 체제의 과두제 특징 302
1. 통치의 본질: 국가 권력의 사유화 302
2. 강제력 행사에 있어 과두들의 역할: 국가 경제력과 물리력의 1인 독점 307
Ⅳ. 토카예프 체제의 과두제 특징 311
1. 통치의 본질: 대통령 권력의 일부 분산 311
2. 강제력 행사에 있어 과두들의 역할: 국가 경제력과 물리력의 일부 분산 315
Ⅴ. 나오며 320
제9장. 2022년 카자흐스탄 헌법개정의 주요 내용과 특징
Ⅰ. 들어가며 333
Ⅱ. 카자흐스탄 헌법개정 연혁 및 특징 336
1. 1993년 헌법개정 338
2. 1995년 신헌법 340
3. 1998년·2007년 헌법개정과 초대 대통령법 343
Ⅲ. 2022년 카자흐스탄 헌법개정 배경과 경과 344
1. 2017년 헌법개정 344
2. 이중권력제도 구축 346
3. 카자흐스탄 소요사태와 2022년 헌법개정 349
Ⅳ. 2022년 헌법개정의 주요 내용과 특징 351
1. 2022년 6월 헌법개정 351
2. 2022년 9월 헌법개정과 조기대선 354
Ⅴ. 나오며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