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죽을 때 후회하지 않을 의사와 약 선택법

죽을 때 후회하지 않을 의사와 약 선택법

오카다 마사히코 (지은이), 정창열 (옮긴이), 미카미 유우코 (감수)
맥스미디어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죽을 때 후회하지 않을 의사와 약 선택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죽을 때 후회하지 않을 의사와 약 선택법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55713259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5-06-03

책 소개

예방의학이란 말 그대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의학이다. 그러니까 혈압이 금세 오르는 체질을 가진 사람이 고혈압에 걸리지 않게 하고, 암처럼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병을 예방하게 도와주어 건강하고 오래 살게 돕는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제1장 믿을 수 없는 의사가 너무 많다
1. 감기약을 먹지 마라
2. 스트레스가 몸에 끼치는 영향
3. 고혈압이라면 약부터 건네는 의사, 믿을 수 있을까
4. 암의 조기 발견이 수명을 단축시킨다
5. 암 검진이 암을 유발한다
6. 암 검진, 효과를 맹신하지 마라
7. 암, 치료하지 말고 방치해라
8. 암 조기 발견,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다
9. 수술부터 권하는 수상한 의사들
10. 암에 대한 공포를 줄여라
11. 확인되지 않은 건강 정보에 혹하지 마라
12. 좋은 의사와 좋은 병원을 고르는 방법
13. 좋은 의사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기준

제2장 건강하게 살고 싶다면 약을 멀리 해라
14. 신약만을 강요하는 의사는 믿지 마라
15. 건강해지고 싶다면 약부터 줄여라
16. 약의 부작용, 더는 의사만의 책임이 아니다
17. 의사의 처방을 맹신하지 마라
18. 부작용을 없애는 약이 또 다른 부작용을 낳는다
19. 약이 최선이라는 의사의 말은 거짓말이다
20. 완벽한 약은 없다
21. 수면제를 먹지 않고 불면증을 고치는 여섯 가지 방법
22. 항암제로는 암을 치료할 수 없다
23. 의사의 신약 권유,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24. 환자를 우롱하는 제약 회사의 신약 개발
25. 한방약은 정말 부작용 없는 명약인가
26. 약을 선택할 때 당신이 알아야 할 것들
27. 건강 보조 식품은 빛 좋은 개살구다

제3장 병원이 병을 만들고 의사가 환자를 만든다
28. 건강검진을 받는 사람과 받지 않는 사람, 누가 오래 살까
29. 건강검진에서 ‘정상’ 판정이 거의 나오지 않는 이유
30. 체질을 모르면 건강도 없다
31. 신뢰할 수 없는 대사 증후군 검사
32. 어느 정도 뚱뚱하면 건강하지 못한 걸까
33. 환자가 먹는 약은 환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34. 뇌 검진이 멀쩡한 사람을 중환자로 만든다
35. 의사에게 환자란 월급 주는 ‘봉’이다
36. 암 검진을 받을수록 암에 걸릴 확률이 커진다
37. 암을 유발하는 아홉 가지 원인
38. 좋은 약을 찾지 말고 당장 식단부터 바꿔라
39. 혈액을 깨끗하게 만드는 식습관

제4장 잘못된 건강 상식이 오히려 병을 키운다
40. 뚱뚱한 사람일수록 암에 걸리기 쉽다
41. 지나친 다이어트가 오히려 병을 키운다
42. 뚱뚱해지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43. 면역력 강화제, 과연 효과가 있을까
44. 물도 많이 마시면 건강에 해가 된다
45. 혈액을 깨끗하게 해주는 약은 없다
46. 서양식보다 동양식 식단이 건강에 더 좋다
47. 모든 생선이 몸에 좋은 건 아니다
48. 암에 걸리고 싶다면 탄 고기를 먹어라
49. 우유, 무턱대고 마시면 독이 된다
50. 술도 알고 마시면 약이 된다

에필로그
역자 후기

저자소개

오카다 마사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니가타대학 명예교수이자 의학박사. 1946년 일본 교토에서 출생했으며, 1972년 니가타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1990년부터 니가타대학 의학부 교수로 재직했고, 미국학회지 <IL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의 부편집장과 일본학회지 <생체공학>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1981년에는 니가타일보 문화상을 수상했으며, 2001년에는 임상병리학 연구진흥기금에서 수여하는 ‘고사카이노조무상’을 수상했다. 전문 과목은 예방의료학과 장수과학이다. 내과의로 출발한 그는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 가면 무조건 약부터 처방받고 이후 부작용을 일으키면 또 다른 약을 처방받게 되는 모순적인 의료방식에 의문을 갖게 된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자 ‘예방의학’과 ‘통계의학’에 관심을 갖고 전 세계의 ‘대규모 전수조사’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일본 의료계의 상식과 동떨어진 결과를 다수 발견하게 된다. 이후 암 검진의 백해무익함을 주장하면서 의사의 약 처방과 관련된 오류를 꼬집으며, 환자에 대한 진료와 치료는 오직 대규모 전수조사에 의해 안정성이 확보되어야만 한다는 날카로운 주장을 펼쳐 오고 있다. 한편으로 약에 치여 사는 환자들을 돕기 위해 현재 동경의 미즈노 기념병원에서 예방의료를 지도하고 있다. 또한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을 예방하기 위한 지도와 치료도 겸하고 있다. 미즈노 노인요양원 원장이기도 한 그는 매일 80세가 넘는 초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생활습관 개선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펼치기
정창열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홋카이도 출신의 일본인 아내와 함께 20여 년간 번역가로 활동해왔다. 주요 일-한 번역서는『황금주먹밥』, 『구멍가게에도 리더가 있다』, 『내 인생을 상장하라』, 『베이비메일』, 『죽을 때 후회하지 않을 의사와 약 선택법』 외 다수가 있으며, 한-일 번역서로는 일본인 아내와 공역한 『日韓?史文化紀行』, 『棲怡黄義吉画文集』 등이 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의 관계』, 『일본어 천재학습법』, 『일본어 번역의 핵심 노하우』란 제목의 저서(가제)도 집필 중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최근 몇 년 전부터 암을 발견해내지 못했다고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거는 일들이 급증하고 있다. 환자 측은 격분하며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걸지만 나는 늦게 발견한 것이 오히려 다행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어설프게 일찍 발견되어 수술, 방사선, 항암제와 같은 힘겨운 치료를 받고 있다면 몸 고생 마음 고생하면서 수명까지 단축시켰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CT 암 검진에서 발견된 작은 초기 암세포가 그 이후에 어떻게 변했는지를 추적한 조사에 의하면 직경 3cm 이하인 경우 발견된 암세포의 크기와 사망률 간에 인과관계가 없었다고 한다.
_<암의 조기 발견이 수명을 단축시킨다> 중에서

암 수술의 경우 폐든 위든 간이든 조직을 싹둑 도려낸다. 게다가 암은 림프관을 통해 전이되므로 주변의 림프절도 전부 제거해야 한다. 엄청난 손상을 입은 육체는 면역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수술 후에도 CT 등의 엑스레이 검사를 수차례 받게 된다. 항암 치료도 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사선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또한 오랫동안 누운 자세로만 지내야 하는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어야 한다. 이래서는 아무리 해도 건강해지기 어렵다.
_<수술부터 권하는 수상한 의사들> 중에서

5분 진료로 시간에 쫓기는 의사는 항상 ‘만약을 위해 항생제를 먹어보라’는 말부터 꺼낸다. 전형적인 사례는 감기에 걸렸을 때 처방되는 항생제이다. 이런 처방을 내리는 의사들은 보통 열이 나는 건 나쁜 균이 몸에 들어가서 그런 것이니 항생제를 먹으면 열이 내려간다고 말한다. 그러나 항생제는 세균에 대한 효과는 있으나 대부분 감기에는 아무 도움도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우리가 걸리는 감기의 대부분이 바이러스가 원인이기 때문이다.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이 없는 한 항생제는 먹으면 오히려 몸을 해칠 수 있다.
_<의사의 처방을 맹신하지 마라> 중에서

어떤 타입의 항암제든 인가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면 암을 억제할 만한 강력한 효과가 당연히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건 약의 작용에서 볼 때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가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것이다.
항암 치료를 권하는 의사는 구토나 탈모 같은 부작용은 환자가 감수해야 할 시련이며, 항암제를 쓰면 암의 크기가 작아진다고 말한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고통을 받고, 2차 암이라는 위험부담을 떠안은 채 수명 연장도 보장되지 않은 항암 치료를 받는 것에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_<항암제로는 암을 치료할 수 없다> 중에서

해외 연구가들은 건강검진이 정말 수명을 늘리는지 의문을 갖고 그 가치에 대한 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건강검진을 매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을 추적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매년 착실히 건강검진을 받은 그룹의 수명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으로 끝난 조사도 아닌 여러 나라에서 여러 번 실시한 대규모 전수조사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건강한 사람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았을 경우 건강하게 오래 살았다는 확실한 데이터가 하나도 없다. 즉, 건강검진으로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는 없었던 것이다.
_<건강검진을 받는 사람과 받지 않는 사람, 누가 오래 살까> 중에서

당신 주변에도 암 얘기를 하면 자기 집안은 암 유전자를 가진 집안이라며 근심하는 사람이 있는가? 아니면 자기 집안은 아무도 암에 걸린 적이 없어 안심이 된다는 이들이 있는가? 실제로 암이 유전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암은 정말 유전되는 것일까?
최근 암 원인에 관한 과학적 근거가 수집되고 있다. 미국에는 암으로 사망한 700만 명의 데이터를 모아 원인을 분석한 연구 자료도 있다. 그에 따르면 암 발생 원인의 대부분은 생활 습관과 환경에 있었다.
_<암을 유발하는 아홉 가지 원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