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는 한 송이 꽃이라네

세계는 한 송이 꽃이라네

(진광 스님의 쾌활순례서화집)

진광 (지은이)
조계종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8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는 한 송이 꽃이라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는 한 송이 꽃이라네 (진광 스님의 쾌활순례서화집)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91155801314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0-02-15

책 소개

순례지에서 만난 깨달음의 순간을 펜 끝에 담아낸 ‘쾌활진광’ 스님의 그림일기다. 2013년부터 교육원 순례를 7년간 기획하고 진행해온 진광스님의 서화집. 촌철살인의 짤막한 글과 투박하지만 담박한 그림 속에서 한 순간도 소홀히 하지 않는 구도자의 시선을 오롯이 느낄 수 있다.

목차

프롤로그‘세계는 한 송이 꽃이라네!(世界一花)’
법어
추천의 글
출간을 축하하며

2010년 인류의 고향, 아프리카를 가다
헉! 아프리카 | 길 위에서 | 사회적 동물 | 킬리만자로산 | 킬리만자로의 별 | 하쿠나마타타 | 빅토리아 | 수양엄마 | 아프리카 | 터스커 맥주 | 나일강 | 노예섬 | 미셸 | 빅토리아 폭포 1 | 리빙스턴 | 빅토리아 폭포 2 | 번지점프 | 바오밥나무 | 학교 가는 아이들 | 나쁜 길 | 모코로 나룻배 | 기린 | 가시나무 | 훈증요법 | 다이아몬드 | 지구를 생각하는 지혜 | 똥 | 수화 | 만델라 | 희망봉 1 | 희망봉 2 | 홍학 | 벨 맥주 | 펭귄 | 조고각하 | 악어 스테이크 | 인연 | 양철집 | 말라리아 약 | 기원 | 슬픈 전설 | 신라면 | 국경선 | 시외버스 | 유니폼 | 잔지바르섬 | 빅토리아 친엄마 | 검문소장 | 하룻밤 | 운명 | 대서양 | 어린 왕자 | 음식 | 에티오피아 청년 | 배낭 여행자 | 마라케시 | 광장 | 아틀라스산맥 | 별 | 밤하늘 | 비 | 집 | 아이 | 인생의 책

2012년 꿈의 호수, 바이칼을 가다
여행과 수행 | 민박집 | 가지 않은 길 | 부부 | 두 별의 무덤 | 소피네 가족 | 석양 | 도시락 라면 | 생선 | 행복한 오후 | 물개 | 뒷모습 | 레닌 | 시베리아횡단열차 | 물 끓이는 기계 | 골프공 | 아무르강 | 러시아정교회 | 카레이스키 | 낭만 | 전망대 | 식당 ‘평양’

2013년 인도·중국·일본 불교유적 순례를 가다
스님은 못 갈걸? | 어느 곳이라도 | 신라 구법승 | 혜초 | 탁월한 선택 | 인생의 스승 | 순례 | 추모재 | 영축산 | 마하데비 사원 | 쿠시나가르 열반상 | 기원정사 | 일본 불교유적 순례 | 이총 | 부부 부처 |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행기 법사 | 좌선 | 삼조탑 | 삼조동과 사조사 성모전 | 호계의 동림사 | 제서림벽 | 고우 큰스님 | 인곡상 법장 대종사 | 살아간다는 것 | 백세궁 만년사 | 육신보전 | 혜국 큰스님 1 | 세월호 | 혜국 큰스님 2 | 허운 화상 | 선농일치 | 황벽선사 | 희운 선사 탑비 | 등왕각

2014년 신비의 나라, 티베트를 가다
티베트 순례 | 옴마니반메훔 | 조캉사원 | 티베트 지도 | 조오불상 | 포탈라궁 1 | 오체투지 | 카일라스 성산 | 곤륜산맥 | 암드록초 호수 | 세월호 희생자 추모재 | 백거사 십만불탑 | 공존 | 마정수기 | 혜총 큰스님 | 어머니와 아이 | 타쉴훈포 사원 | 새벽 예불 | 풀리지 않는 매듭 | 티베트 노스님 | 풀리지 않는 화두 | 소리없는 아우성 | 토굴 | 드레풍사 | 초모랑마 | 막내딸 케샹 | 얄룽창포강 | 쌍예사 | 자화상 | 쌍예사 부처님 | 마지아미 | 타얼스 | 소갈 다비터의 여인 | 대족석굴 | 조지봉 | 열반상과 마애불상

2014년 구법의 길, 실크로드를 가다
실크로드 대장정 | 혜초 | 만리장성의 첫걸음 | 법문사 | 지골사리 | 맥적산 석굴 | 당삼채 보살상 | 마애대불과 보살상 | 병령사 석굴 | 석가모니 좌불상 | 황하를 건너는 배 | 가욕관 | 천하제일웅관 | 만년설 | 유림굴 | 실크로드 | 돈황 막고굴 입구 | 막고굴 | 왕오천축국전 | 돈황의 위인들 | 막고굴 추모재 | 명사산 | 낙타와 큰스님 | 하미과 공양 | 투루판 석굴의 보살상 | 유근자 교수 | 악기 타는 할아버지 | 낙타의 꿈 | 화염산 | 화염산과 손오공 | 베제클리크 석굴 | 좌선의 시간 | 큰스님 법문 | 풍등 | 신라 구법승 | 고창고성 | 카레즈 수로 | 투루판의 포도 | 햇살이 빚은 건포도 | 추모의 정 | 우루무치의 천지 | 지성이면 감천 | 세월호 희생자 추모 | 수행자의 마음

2015년 영원한 진리의 땅, 동티베트를 가다
그리움과 설렘을 안고 | 도강언 | 강채 | 평등한 공양 | 입제식 | 중국인 불자 | 꽃 대궐 | 오명불학원 1 | 오명불학원 2 | 한인사 | 달라이라마의 법문 | 백옥탑과 설산 | 꽃보다 더 고운 | 카사 호숫가의 미륵불 | 야칭스 1 | 야칭스 2 | 파드마 삼바바 동상 | 토굴 | 오체투지 | 무소유 | 추모재 | 사연 | 혜원사 | 화광삼매 | 정중무상 스님 | 소동파 | 낙산대불과 궈모뤄 | 설도의‘춘망사’ | 악비의 초서 | 이백과 두보 | 엽서

2015년 혁명의 나라, 러시아를 가다
레닌 | 정원 | 우유 | 혁명기념탑 | 낚시

2016년 미국의 심장을 가다
뉴욕 | 뉴욕 불광선원 | 큰 법당 | 숲속 아지트 | 린포체 스님 | 노부부 | 장엄사 | 보리 스님 | 전법 | 허드슨 강가에서 | 야경 | 휘광 스님 | 콩나물밥 | 월스트리트 | 브루클린다리 | 록펠러 빌딩 | 우음(偶吟) | 원불교 뉴욕 교당 | 프로비던스 선원 | 숭산행원 큰스님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소로의 오두막 | 월든 호수 | 소로의 묘 | 보스턴 덕 투어 버스 | 풀꽃 | 해시계 | IMS 명상 센터 | 프린스턴대학교 | 원각사 | 원각사 대웅전 | 티베트 절 | 대들보 | 블루클리프 명상 센터 | 네 분의 부처님 | 블루클리프 명상 센터 본관 | 벽암록 59 | 선련사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미국자연사박물관 | 공룡 전시관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뉴욕공립도서관 |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 플랫 아이언 빌딩과 워싱턴 게이트 | 메디슨 스퀘어 가든 | 타임 스퀘어 | 한마음선원 뉴욕지원 대웅전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 발토 동상 | 볼리바르 광장 | Love | 거리의 비너스 | 자유로운 영혼 | 켄타우로스 동상 | 모자 | 간식거리 | 지하철 교통 카드 |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 할렘 | 부처님 인형 | 터닝포인트

2016년 기본선원과 함께 중국선종사찰을 가다
광효사 현판 | 목어와 운판 | 육조 혜능 선사 | 봉거교 | 사리탑 | 백장사 선실 | 야호암 | 보봉선사 현판 | 대적선사 사리탑 | 바람과 깃발 | 예발탑 | 세발천 | 육용사 | 남화선사 산문 | 등신불 | 성지순례 모자 | 열반 화상 | 방장 글씨 | 환영회 | 허운 대화상 | 백장선사 사관(死關) | 백장선사 현판 | 법랑 스님 | 민농 | 삼조사 해박석 | 천주산

2017년 샹그릴라를 찾아 태국·부탄을 가다
설정 큰스님 | 아유타야 불상 | 부처님의 마음 | 와불 | 불두 | 목 없는 불상 | 하늘을 나는 물고기 | 샹그릴라 | 신호등 | 첫눈 | 동자승 | 데첸 푸드랑 승가학교 | 타시초종 왕궁 사원 | 마니차 | 가루다 | 역사상 | 코끼리, 원숭이, 토끼와 새 | 삼신할머니 | 청동 석가모니불 | 돌다리 | 체리 사원 | 성자 밀라레빠 | 무정설법 | 파드마 삼바바상 | 성자 드룩파 쿤리 | 108탑 | 도출라 고개 | 푸나카종 사원 | 꽃문양과 마니차 | 공양 | 학교 가는 아이 | 과자 먹는 아이 | 포대화상 | 치미라캉 사원 | 꽃문양 | 히말라야 연봉 | 방문객 | 룽다 | 히말라야 영봉 | 법의 수레바퀴 | 탁상 사원 | 화룡점정 | 마당극 놀이 | 마두금

2018년 이집트·요르단·이스라엘 문명기행을 가다
큰스님의 축원 | 피라미드 | 태양신 | 아부심벨 신전 | 이집트 상형문자 | 아랍 숫자 | 무슬림 여행자 | 물 항아리 | 꾸란 | 콩죽 | 친구 | 카르나크 신전 | 오벨리스크 | 이집트의 신 | 아멘티트 여신상 | 운전기사 |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 | 룩소르 신전 | 당나귀 소년 | 카이로행 기차 | 이집트박물관 | 문 장식 | 모카탐 동굴교회 |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 | 사막 교부 | 카이트베이 요새 | 이슬람 신학생 | 아르논 계곡 | 입장료 | 페트라 가는 길 | 알카즈네 신전 | 페트라의 보석 | 낮잠 | 사해 | 수태고지교회 |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 벽화 | 한복 입은 마리와와 아기 예수 | 수태고지교회 정문 | 목수 요셉의 동상 | 성 프란체스코 | 혼인잔치 기념 교회 | 십자가 모양 | 대추야자 열매 | 예루살렘 | 오병이어 | 홀로코스트 박물관 | 헤롯문 | 낙서 | 십자가의 길 | 본디오 빌라도 법정 | 성묘교회 | 황금돔 사원 | 통곡의 벽 | 예수탄생교회 | 회향식 | 이스라엘을 떠나며

2019년 우주의 중심, 수미산을 가다
꿈 | 영진 스님 | 문성공주 | 카일라스 | 궁가공항 | 쌍예사 추모재 | 티베트 문자 | 차관 | 도전 | 포탈라궁 2 | 독경 | 낙루 | 레이펑 동지 | 샤카사 | 샤카 스님의 연주 | 양 떼 | 3대 | 티베트고원 | 수미산 | 입제식 | 마못(Marmot) | 오체투지 가족 | 절벽 위 사원 | 코라 순례길 | 카일라스 북면 | 카일라스 별들의 향연 | 해탈의 고개 | 부모효경점 | 스님의 발자국 | 천상의 화원 | 가우리쿤드 호수 | 눈길 | 꽃 | 주틀북 사원 | 물줄기 | 화장실 | 구게왕국 | 톨링 사원 | 무지개 | 인코라 | 마나사로바 호수 | 이별

에필로그

저자소개

진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나 양구에서 자랐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겨울에 충남 예산의 덕숭산 수덕사로 입산하여 법장(法長)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원담 노스님을 3년간 시봉하다 전국 선원에서 20여 안거를 성만하였다. 1998년부터는 해제철마다 전 세계를 배낭여행하면서 이후 130여 개국을 유력(遊歷)하였다. 2010년 아프리카 여행 후 귀국해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사무국장으로 임명되었다. 그 후 10년여간 연수국장, 교육국장, 교육부장 등 소임을 보며 수도승(首都僧)으로 살고 있다. 평생의 삶과 수행에 어른 시봉과 행정 그리고 참선과 여행이 있을 따름이라 믿는다. 2012년 경주남산불적답사를 시작으로 2013년부터 해외 순례를 기획하고 진행하였다. 7년간 2300여 명 스님들이 순례에 동참하였다. 그동안 순례 중에 보고 느낀 것들을 그림으로 그리고 글로 정리하며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아왔다. 늘 일탈과 파격을 꿈꾸고 불가능한 꿈을 꾸면서 그것을 실현시키며 살아가고자 한다. 삶의 화두는 언제나 길과 희망, 그리고 깨달음과 회향이라고 생각한다. 2016년부터 《불교신문》의 논설위원으로 ‘천수천안’과 ‘수미산정’에 칼럼을 써오고 있으며, 2019년에는 《법보신문》에 ‘동은·진광 스님의 사소함을 보다’를 1년간 격주 연재하였다. 2020년부터 《현대불교신문》에 ‘진광 스님의 길 위의 풍경들’을 격주로 연재하고 있다. 평생 큰절과 대중을 여의지 않고 참선과 여행을 하며 남은 해를 보내기를 바란다. 그러다가 마침내 어느 길 위에서든, 혹은 히말라야나 갠지스강에서 최후를 맞이하여 다비한 채 흩뿌려짐으로써 무화(無化)되기를 소망한다. 지은 책으로 《나는 중이 아니야》(불교신문사, 2019)와 교육원 이름으로 나온 《순례, 세상을 꽃피우다》(조계종출판사, 2019)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