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5602699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9-03-01
책 소개
목차
04. 작가의 말
12. 들어가면서
1장
혼내지 않고 잔소리하지 않고
우리 아이 나쁜 버릇 고칠 수 없을까?
23. 내가 먼저 아이 편이 되어 주자
33. 아이는 “금 나와라 뚝딱”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39. 유아기에 제대로 훈육하면 평생 행복하게 살 수 있다
46. 사랑이 표현되지 않은 훈육은 상처를 준다
2장
아이도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의
말을 잘 들을까?
57. <5·3·3>이 기적을 일으킨다
* 1단계: 아이를 수용하고 지지해 주기 - 5분특별놀이
* 2단계: 나쁜 버릇 고치기(규율 따르기) - 제대로 된 명령과 타임아웃
64. 엄마는 놀이치료사
70. 명령하기 하나, 둘, 셋
77. 3분 타임아웃
3장
“엄마는 내 편.
엄마가 제일 좋아요!”
87. 5분특별놀이: 아이가 놀이의 주인공이 되게 하라
100. 5분특별놀이: 미래의 행복을 좌우하는 3가지 욕구를 충족시켜라
106. 5분특별놀이: 5 Do Skill & 3 Do Not Skill
* 5 Do Skill (해야 하는 기술 5가지)
* 3 Do Not Skill (하면 안 되는 기술 3가지)
150. 선택적 무시하기와 반대되는 행동 칭찬하기
158. 5분특별놀이의 지침
* 어떤 놀이를 하면 좋을까
4장
“우리 엄마
잔소리가 사라졌어요”
167. 명령을 잘 내리면 순종도 쉬워진다
177. 명령에도 규칙이 있다
187. 이유 있는 반항
5장
“나도 모르게
엄마아빠 말을 잘 듣게 되었어요”
197. 3초의 기적 - 명령하기 하나, 둘, 셋
200. 3분의 기적 - 타임아웃
207. 5분(특별놀이) → 3초(하나 둘 셋 명령) → 3분(타임아웃)의 연관성
214. 제대로 된 타임아웃은 회초리보다 더 강력하다
* 타임아웃 진행순서
222. 타임아웃에 해당되는 아이들의 행동
227. 타임아웃의 지침
* 타임아웃 자리는 어떻게?
* 타임아웃 자리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
* 아이가 저항한다면?
6장
질문 있어요
243. 5분특별놀이에 대한 질문
251. 타임아웃에 대한 질문
263. 참고 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5분특별놀이 시간에는 엄마가 놀이 전문가이자 놀이 치료사가 되어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집니다. 햇살이 환하게 비치는 창가에서 엄마와 연서가 놀고 있습니다.
“내 기차는 분홍 기차야.”
그런데 누가 보아도 연서의 기차는 보라색입니다.
엄마가 말합니다.
“아, 연서는 기차가 분홍색으로 보이는구나.”
연서가 보라색을 분홍색이라고 해도 괜찮습니다. 햇살이 들어와서 그렇게 보일 수도 있으니까요. 엄마는 실제 보라색 장난감과 대조하여 이건 보라색이고 저건 분홍색이라고 굳이 설명해 주지 않습니다.
엄마가 또 말합니다.
“우리 연서가 기차를 아주 재밌게 잘 가지고 놀고 있구나.”
“응. 이젠 고양이를 태우고 하늘을 날아요. 이렇게 슈우웅~”
엄마는 연서의 말과 행동, 생글생글 웃는 표정까지 그대로 연서를 따라 합니다.
“와~ 기차가 하늘을 슈우융~ 이렇게 나는구나.”
엄마의 장단에 연서는 더 신이 납니다. 이제는 고양이 옆 비좁은 자리에 사람을 겨우겨우 끼워 넣습니다.
“영차영차 우리 연서가 사람을 겨우겨우 태우고 있구나." “고양이는 운전을 못 하잖아.”
엄마가 대답합니다.
“아, 고양이가 운전을 못 하니까 운전할 사람을 태우느라고 그렇게 애썼구나. 고양이를 배려하는 우리 연서 마음이 참 곱구나.” 연서의 머리를 쓰다듬어 줍니다.
기차가 하늘을 날아간다고 해도 기차는 ‘땅에서 칙칙폭폭 다니는 것’이지 ‘슈융~ 하고 하늘을 나는 것’이 아니라고, 그건 비행기라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장난감을 끼워 넣다가 실패해서 좌절감을 맛볼까 봐 지레 겁나 먼저 도와주지도 않습니다.
감 놔라, 배 놔라 하며 이리저리 놀이를 주도하여 연서로부터 놀이의 주인공 자리를 빼앗지도 않습니다.
그냥 아이가 노는 모습, 보이는 그대로를 중계방송 하듯이 묘사해 줍니다. 아이의 행동과 말과 표정을 따라 합니다. 작은 것에도 적극적으로 칭찬을 해 줍니다. 비난을 하거나 빈정거리거나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명령을 내리지도 않습니다. 그저 아이에게 긍정적으로 반응해 줄 뿐입니다. 하루에 5분만 투자하여 이렇게 놀면 됩니다. 아이를 수용하고 지지해 주는 상호작용스킬을 배워서 매일 이렇게 5분 동안 꾸준히 실행합니다. 돈이 드는 것도 아니고, 긴 시간이 드는 것도 아니고, 부모의 열정과 의지만 있으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자녀와의 관계가 좋아질 뿐만 아니라 자녀의 정서적 안정감도 높아지며, 더 나아가서 나쁜 행동을 고칠 수 있는 심리적 초석이 만들어집니다.
특별놀이 시간에는 사용해야 하는 5 Do Skill이 있고, 사용하면 안 되는 3 Do Not Skill이 있습니다. 부모가 여태까지 부정적으로 반응하던 것과 다르게 완전히 긍정적으로 아이의 행동에 대해 반응하기 시작할 때, 아이는 부모가 달라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부모와 아이가 한편이 되는 시작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