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6029144
· 쪽수 : 980쪽
· 출판일 : 2021-09-01
책 소개
목차
서문 4
William W.H. Seung OAM, JP 승원홍承源弘 경력 8
William W.H. Seung OAM, JP 승원홍承源弘 수상내역 10
1장 나는 누구인가?
1-1. 승씨 본관承氏本貫의 유래와 내 고향 평안북도 정주定州 24
1-2. 나의 출생과 유년시절(1947.8.-1954.2.) 30
1-3. 나의 신앙생활 36
1-4. 나의 도움이 어디에서 왔을까? 내 잔이 차고 넘치나이다 59
2장 나의 학창시절(1954.3.-1974.2.)과 병역의무 완수(1968.2.-1971.5.)
2-1. 장충초등학교 시절(1954.3.-1960.2.) 68
2-2. 보성중학교 시절(1960.3.-1963.2.) 74
2-3. 보성고등학교 시절(1963.3.-1966.2.) 80
2-3-1. 불교 대각사 룸비니(불교학생모임) 활동 85
2-3-2. 파인츄리클럽과 ELC클럽, 미국공보원(USIS)에서의 클럽활동 87
2-3-3. 흥사단 모임 88
2-3-4. 보성고등학교 졸업 이후 동창들과의 만남 88
2-4.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시절(1966.3.-1974.2.) 92
2-4-1. 중국어중국문학과에 입학 92
2-4-2. 다양한 학과목 수강과 우등생 선정 및 준최우등 졸업 94
2-4-3. ㈜삼양사 양영장학금 수혜 96
2-4-4. 정영사(正英舍)와 정영회 97
2-4-5. 서울대총동창회와 졸업 이후 동창들과의 교류 106
2-5. 병역의무 완수, 대한민국 공군 현역복무 (1968.2.-1971.5. 3년 4개월 복무) 109
2-5-1. 기본 군사훈련, 총무행정병과 수료 및 106여의도기지와 공군항공의료원 배속 109
2-5-2. 영내 하사관 내무반 첫 신고식에서 구타 가혹행위를 당하다 114
2-5-3. 항공의료원 원장 당번병 기회를 잡다 117
3장 평생 반려자를 만나 결혼, 가정을 이루고 세 자녀의 탄생과 양육
3-1. 축복받은 행복한 결혼생활과 3자녀 양육 124
3-2. 첫째 자녀, 맏딸 윤경允慶, Maria 144
3-3. 둘째 자녀, 장남 지헌志憲, Peter 159
3-4. 셋째 자녀, 막내 아들 지민志珉, Edward 177
4장 첫 직장, 대한항공(Korean Airlines) 9년 재직 후 떠나다
4-1. 입사동기와 김포국제공항 국제여객과 근무시절(1973.11.-1976.6.) 196
4-2. 본사 영업부 국제여객과 근무시절(1976.7.-1977.11.) 202
4-3.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지점 판매관리담당 시절 (1977.11.-1979.5.) 207
4-4. 시드니지사장 시절(1979.6.-1982.8.) 212
4-5. 서울국제여객지점 인터라인판매과장 부임신고와 예상치 않았던 사표제출 그리고 33일간의 세계일주여행 후 호주로 이민 226
5장 첫 사업, 롯데여행사 창립(1983.5.)과 30년 경영활동
5-1. 첫 사업, 롯데여행사 창립(1983.5.)과 30년 경영활동 234
5-2. 롯데여행사 창립과 초기 영업전략과 이후 활동 237
5-3. 호주 In Bound; 한국인관광객을 위한 호주관광상품소개와 선제적 마케팅 246
5-4. 호주 Out Bound; 호주 국내 및 한국을 포함한 해외여행 상품개발과 홍보 및 영업활동 255
5-4-1. 호주 국내 여행상품 개발과 판매 255
5-4-2. 교민자녀 정체성 확립을 위한 모국방문 산업체견학단체 운영 257
5-4-3. 한국관광 패키지상품 개발 홍보와 도매영업 (Wholesale Marketing) 262
5-4-4. 한국전참전 호주군인 및 고등학교군사훈련단 한국방문유치 사업 270
5-4-5. 호주태권도협회(Taekwondo Australia) 공식지정여행사 계약과 한호교류확대 마케팅 274
5-4-6. 중국관광여행 개척과 ‘중국기행’책 출판 285
5-4-7. 호주대학생 Working Holiday Maker 한국방문유치사업 292
5-4-8. Asiana항공사의 호주 총판매대리점(GSA) 신청 295
5-4-9. 북한관광 개척과 이산가족 만남 그리고 북한노동당 대남담당 김용순 비서와의 만남 297
5-4-9-1. 북한관광여행 추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시도들 297
5-4-9-2. 최초 호주교민 북한단체관광(1991.7.1.-8.)과 이산가족의 만남 302
5-4-9-3. 북한노동당 중앙위원회 김용순 비서와의 만남 323
5-5. 한국국립극장단원초청 오페라하우스 공연 후원과 대한항공취항기념 두레패공연 유치활동 332
5-6. 롯데여행사창립 10주년 기념예배 및 ‘중국기행’책 출판기념회 336
5-7. 롯데여행사 승원홍장학금 341
5-8. 한국관광홍보를 위한 다양한 직책과 역할 346
5-8-1. 한국방문의해(2001-2002) 명예홍보사절 피위촉 348
5-8-2. 경상북도 호주관광홍보사무소장(2004.10.-2012.12.) 350
5-8-3. 경상남도관광홍보위원장(2013.11.-2015.11.) 356
5-8-4. 대구광역시.관광홍보위원(2004.2.-2008.2.) 및 해외자문관(2009.5.-현재) 361
5-8-5. 충청북도 청주시 직지홍보대사(2005.9.-2007.9) 363
5-8-6. 경기도 관광업무활성화협약(2007.4.) 및 인천광역시 관광홍보 366
5-8-7. 강원도 관광홍보 369
5-8-8. 울산광역시 해외명예자문관(2016-현재) 372
6장 다양한 교민단체 활동과 한국 및 호주정부기관업무 피위촉 봉사활동
6-1. 호주한글학교협의회 창립과 협의회장(1993-1996)활동 378
1990년대 시드니의 한글학교 실태와 몇 가지 에피소드 387
6-2.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장과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와 기타 활동 392
6-2-1.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9대 회장(1997-1999) 취임식 392
6-2-2.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조직확장 활동과 홍보판(매주) 발행 397
6-2-3. 호주연방총리, 호주 이민장관, 외교장관과의 교류협력, 한인사회 권익신장 402
6-2-4. 유대인커뮤니티와의 친선디너문화교류행사 개최 406
6-2-5. 호주경마클럽에서 한국마사회 트로피 시상 408
6-2-6.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참여활동과 무궁화상, 한국관광공사사장 감사패 수상 412
6-2-7. 한상대회 참여와 포항 해병 제1사령부 방문과 열병식 415
6-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자문위원(5-9기 1991.7.-2001.6. & 15-18기 2011.7.-2019.8.) 418
6-4. 재외동포재단(OKF)과 세계한인회장대회 및 한민족대표자모임과
대양주한인회총연합회와 호주한인총연합회의 다양한 활동 429
6-4-1. 재외동포재단과 세계한인의날 제정(2007.10.5.) 429
6-4-2. 세계한인회장대회와 세계한민족대표자대회 및 여러 모임행사 434
6-4-3. 대양주한인회총연합회와 호주한인총연합회 창립 및 기타 활동 447
6-5. JP(Justice of the Peace)자격 취득과 봉사활동(1991-2023) 456
6-6. 붉은방패 모금(Red Shield Appeal)행사 참여봉사(2011-2016) 459
6-7. 호주NSW주정부 반차별위원회(Anti Discrimination Board NSW, Statutory Board Member 2013-2015 3년임기직)위원 활동 464
6-8. MCC NSW다문화협의회 (Multicultural Communities Council) 창립과 다문화커뮤니티와의 활동(2014- ) 470
6-9. 호주한인공익재단(KACS)창립과 사회봉사 활동 482
7장 제26대 호주시드니한인회장(2007.7.-2009.7.)
7-1. 시드니한인회와의 인연과 제26대 시드니한인회장 당선 2007.6.10. 496
7-1-1. 제15대 시드니한인회 문화담당운영위원(1985-1987) 496
7-1-2. 제19대 시드니한인회 초대이사(1993.10.-1995.7) 498
7-1-3. 제26대 호주시드니한인회장후보 출마선언(2007.3.2.) 500
7-1-4. 후원의밤 개최(2007.5.23.)와 치열했던 선거운동 3파전 505
7-1-5. 본격적인 선거 캠페인과 후보 정견발표와 토론회 508
7-1-6. 제26대 시드니한인회장 선거와 당선확정 514
7-2. 제26대 시드니한인회장 취임식전후의 다양한 활동 518
7-2-1. 취임식 이전에 개최한 열린좌담회(2007.7.14.) 522
7-2-2. 제26대 호주시드니한인회장 취임(2007.7.21.) 523
7-2-3. 제26대 시드니한인회 Vision Presentation(운영계획 발표회) 526
7-2-4. 정기 운영위원회와 다양한 회의 및 정기총회 528
7-2-5. 한인회장의 송년사와 신년사 및 한인회주최 신년인사회 534
7-2-6. 1만 명 한인회비 납부 캠페인 537
7-2-7. 처음으로 시도한 한글과 영문 병기 한인전화번호부 제작 541
7-3. 호주연방, NSW주, 지방정부인사 및 주한호주대사와 교류협력 543
7-3-1. The Hon. John Howard MP 존 하워드 호주연방총리와 45분 면담 543
7-3-2. 호주연방정부 총리 및 연방의원(장관)과의 교류협력 547
7-3-3. NSW주정부 주수상 및 주의원(장관)과의 교류협력 552
7-3-4. 주한호주대사와의 만남과 교류협력 560
7-3-5. 한인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했던 Local government (지방정부) 인사들과의 만남과 교류 561
7-3-5-1. Sydney City Council(시드니 시정부) 562
7-3-5-2. Strathfield(스트라스필드)시정부 & Burwood(버우드)시정부 565
7-3-5-3. Ryde(라이드)시정부 567
7-3-5-4. Canterbury(켄터베리)시정부 574
7-3-5-5. Hornsby(혼스비)시정부 576
7-3-5-6. Parramatta(파라마타)시정부 576
7-3-5-7. 기타 Ku-ring-gai(구링가이), Auburn(어번), Fairfield(훼어필드), Georges River(죠지스리버)시정부 577
7-3-6. 한인사회 정치력 신장을 위한 시민권자연대 노력과 자유당 한인모임(KFLP) 결성 579
7-3-7. 호주(연방, NSW주, 지방)정부선거와 한인사회의 역량 584
7-4. 한국 대통령, 중앙정부, 지자체인사, 국회의원, 공관장과의교류협력 590
7-4-1. 이명박 대통령 호주국빈 방문과 대통령내외분 환영 동포간담회 590
7-4-2. 대통령 및 국무총리 행사 참석과 대통령의 선물과 인사장 599
7-4-3. 공관장(대사와 시드니총영사)와의 긴밀한 교류협력 605
7-4-4. 한국 국회의원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인사와 교류협력 640
7-4-5. 한국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교류협력 647
7-4-6. 재외국민참정권행사 및 재외국민투표권리 취득 및 행사 650
7-5. 영문블리틴Korean Society of Sydney English Bulletin 제작 654
7-6. 아프가니스탄 억류 한국인 석방요청 시드니시청사 앞 촛불집회 659
7-7. 한인밀집지역 경찰서장과 NSW경찰청장과의 교류와 협력 669
7-8. 호주 초, 중고등학교 방문 및 교민자녀 격려와 한국어교육확대 노력 679
7-9. Youth Forum 시작과 Youth Symposium 개최, KAYLeaders 창립 685
7-10 워홀러 청년지원 취업직업교육안내 프로그램 시행과 여러 활동 695
7-11. 한국주간선포와 난타초청 달링하버 주말 2일 공연과 한국의날 행사 700
7-11-1. 2007년도 한국주간행사(2007.9.22.-29.) 700
7-11-2. 2008년도 한국주간행사(2008.9.20.-27.) 710
7-12. 호주한인 50년사와 호주한국 120년의 역사 발간 및 호주한인 50주년 기념 전통한복쇼와 전통국악공연 및 호주이민 50주년 기념사업계획 720
7-12-1. 호주한인 50년사 책출판 기념회 720
7-12-2. 호주한인이민 50년 기념 전통한복쇼와 서울시립국악단 오페라하우스공연 724
7-12-3. 호주와 한국 120년의 역사 책 출판(2009.12.2.) 729
7-12-4. 호주이민 50주년 기념사업 계획(안) 731
7-13. Korean Garden 한국정원설립 계획 734
8장 시드니한인사회의 주요 기념행사와 여러 단체 모임, 행사, 강연 및 기타
8-1. 8.15광복절 기념행사 744
8-2. 3.1절 독립운동 기념행사 747
8-3.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행사 751
8-4. 한국전쟁 참전기념비건립과 가평전투 및 ANZAC Day 행사와 보훈행사 754
8-4-1. 한국전참전기념비 건립추진회 모금활동과 건립비 제막(2009.7.26.) 754
8-4-2. 가평전투와 ANZAC Day 퍼레이드 및 지역 기념행사 760
8-4-3. 한국정부의 한국전쟁참전 호주군인초청 감사보훈행사 764
8-4-4. 시드니제일교회의 한국전쟁참전 호주군인가족초청 감사보훈행사 766
8-4-5. H2O품앗이운동본부의 호주군참전용사방문과 감사편지 전달식 767
8-5. 재향군인회, 6.25한국전참전국가유공자회, 베트남전참전 전우회, 해병전우회의 다양한 행사 772
8-6. 모국방문 한민족축전과 2000년시드니올림픽과 교민 체육관련 행사 778
8-6-1. 국민생활체육협의회의 모국방문 한민족축전 778
8-6-2. 2000년 시드니올림픽과 재호주대한체육회의 전국체육대회 참가 780
8-6-3. 교민 축구 활동과 2015 아시아축구연맹 AFC아시안컵경기 홍보대사 786
8-6-4. 교민 탁구 활동 794
8-6-5. 교민 배구 활동 795
8-6-6. Terrey Hills Golf Country & Club 오프닝 회원권 구입과 교민 골프 활동 797
8-6-7. 교민 수영 활동 802
8-6-8. 교민 볼링 활동 804
8-6-9. 교민 야구 활동 805
8-6-10. 제1회 시드니한인회장배 교민낚시대회 806
8-7. 한호정경포럼Australia Korea Politics and Business Forum창립과 활동 810
8-8. 광복회 호주지회 820
8-9. 나라사랑 독도사랑 호주연합회 활동 824
8-10. 일본전쟁위안부문제와 시드니평화소녀상건립 및 전쟁범죄규탄대회 828
8-10-1. 일본전쟁위안부문제 제기와 호주정치권 결의안통과 노력들 828
8-10-2. 시드니 평화의소녀상 건립 제막과 그 이후 834
8-10-3. 일본군전쟁범죄 규탄 한중연대모임 839
8-11. 호주한인복지회와 호주중국인복지회 CASS 842
8-11-1. 호주한인복지회 (Australian Korean Welfare Association) 842
8-11-2. 호주중국인복지회 CASS (Chinese Australian Service Society) 845
8-12. 세계한인무역협회OKTA 행사 848
8-13.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재단KOWIN과 시드니한인여성회 활동 852
8-13-1.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재단(KOWIN) 852
8-13-2. 시드니한인여성회(Sydney Korean Women’s Association) 855
8-14. 한인 문학 예술단체의 다양한 문학활동과 예술활동 862
8-14-1. 한인 문학단체의 다양한 문학활동 857
8-14-2. 한인 미술단체와 음악인의 다양한 예술활동 857
8-15. 재오스트레일리아동포연합회 재오련의 활동 865
8-16. 평안도민회와 이북오도민회 창립 및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참여 870
8-16-1. 평안도민회, 일천만이산가족재회추진위원회 호주지부, 이북오도민회 창립 870
8-16-2.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참여 874
8-17. 기타 한인사회의 다양한 모임, 행사와 강연회 및 공연사진과 기사 876
9장 호주국민훈장(OAM)수훈 및 다양한 언론매체인터뷰 보도내용과 추억의 사진들
9-1. 호주국민훈장 OAM Order of Australia Medal 수훈2019.1.26. 896
9-2. 호주국민훈장수훈자협회 OAA Order of Australia Association 904
9-3. 다양한 언론 매체와의 인터뷰 내용 906
9-4. 추억의 사진들 916
추천사
김덕룡•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현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이사장, 현 세계한민족공동체재단 총재 934
김성곤•현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전 4선 국회의원 937
김영근•전 미국 워싱턴한인연합회장, 전 재외동포재단 사업이사, 현 세계한인네트워크 회장 939
김웅남•전 주시드니 총영사 941
박영국•전 주시드니 총영사 943
백남선•이화여자대학교 여성암센터 병원장 946
이구홍•해외교포문제연구소 이사장, 전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948
이재환•전 제일모직 시드니지사장, 현 한능전자 고문, 현 동일고무벨트이사회 의장 950
이종진•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952
이형모•재외동포신문 발행인 956
이휘진•전 주시드니 총영사 958
정두환•전 SK상사 시드니지사장/홍콩법인장 960
정영국•세계한민족회의 이사장 964
조기덕•전 호주 시드니한인회장 966
최현섭•전 강원대학교 총장 969
편집후기 972
출간후기 976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
나는 오래전부터 내 삶의 발자취를 회고록 형태로 남겨 놓고 싶었다. 왜냐하면 나는 1947년 8월 13일에 북한 평안북도 정주定州에서 태어났고 첫 돌도 되기 전인 1948년 6월에 남한으로 내려온 이산가족이요 옛 조상들의 삶의 뿌리를 송두리째 빼앗긴 실향민의 후손일 뿐만 아니라 내가 만35살이 되던 해인 1982년 12월에 정들었던 직장 대한항공과 조국 대한민국을 떠나 호주이민자로서의 삶을 택했기 때문이다. 학창시절 때부터 그리고 호주에서의 새로운 삶을 영위하며 ‘나는 누구인가?’ 하는 나의 뿌리와 오늘날의 내 삶에 대한 물음을 줄곧 되새기며 살아왔다. 내가 회고록을 쓰게 된 동기는 그동안 내가 살아오면서 경험했던 시대적인 배경과 다양한 경험 이야기들을 내 후손들과 호주 한인동포와 전 세계 한인동포들에게 기록으로 남겨주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 때문에서였다.
첫째, 철이 들기 시작했던 학창시절 때부터 나의 좌우명은 경천애인敬天愛人이었다. 무엇보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신앙인으로서, 한 사람의 삶을 통해 여러 모양으로 동행하며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용기를 주시며 선한 길로 인도하며 역사하시는 놀라운 하나님의 은총과 섭리에 관해 간증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올리고 싶어서였다.
둘째, 하나님께서 내가 살아가야 할 시대와 환경에 맞게 나에게 주신 천직이요 나의 생업이었던 항공사 관련 업무와 여행사업을 통하여 성심껏 일하면서 얻은 재물과 재능을 사용하여, 내 가정은 물론 한인공동체와 호주 다문화사회의 화합와 발전을 위해서 여러 방면으로 봉사할 수 있게 했던 사례들을 내 후손들에게도 알게 하여 그들의 정체성과 자존감에 좋은 영향력을 주고 싶어서였다.
셋째는 나와 같은 시대를 공유하며 살았던 모든 사람들과의 소중한 귀한 만남들을 추억하며 그들과의 값진 인연들이 언제나 내 가슴속에 소중히 간직되고 있다는 것과 아울러 정겨운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싶어서였다.
넷째로 추가한다면, 내가 교육받고 성장했던 조국 대한민국의 미래 세대와 함께 여러 국가에 흩어져 사는 다양한 해외동포사회 한인지도자들과 더불어 다문화사회 지도자들에게도 호주 한인사회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희망에서였다. 왜냐하면 대한민국 정부는 750만 해외동포를 귀중한 인적 자산이라고 말한다. 1979년 6월 대한한공 시드니지사장으로 부임하여 3년여 활동한 기간을 포함해서 지난 42년 동안 시드니 한인동포사회의 이민 초기정착과정과 성장기에 있었던 나와 직간접으로 관련되었던 한인사회의 중요한 일들에 대한 과거의 기록과 현장감 있는 사진들을 소개해 줌으로써 호주를 포함한 다양한 이민사회의 후배들에게도 귀한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였다. 혹여나 이런 기록들을 통하여 한인동포사회의 후배들에게나 다문화사회 지도자들에게 어떤 귀한 영감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더욱 혁신적이고 희망 있는 해외 한인동포사회 또는 다문화 이민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면 그것은 나에게 있어 또 다른 축복이요 행복이라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시대가 아닌 적어도 2000년도 이전의 아날로그 시대에 왕성하게 활동을 했던 나의 과거와 관련된 자료와 사진수집은 쉽지 않았다. 과거 한국전쟁과 함께 정치사회적 격동기를 거치며 산업화 사회로의 전환기였던 1950-1980년대 어려웠던 한국의 현실 속에서 오랜 사진과 자료들을 두루 찾는 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더욱이나 기억조차 못 하는 유년기 부분은 부모님의 전언과 함께 나의 까마득한 기억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주동아, 한호일보, 한국신문, TOP주간지를 비롯한 여러 호주교민언론사들과 한인단체장들의 도움을 받아 나와 관련된 오랜 기록과 사진들을 찾을 수 있었으며 또한 모교인 장충국민학교, 보성중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까지 방문하여 생활기록부와 성적표 기록과 대한항공에서의 경력증명서까지도 찾아올 수 있었음은 퍽이나 다행스러웠다.
이민자로서의 삶은 어느 누구에게나 마찬가지로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주이민 1세대 한국인인 나에게 젖과 꿀이 흐르는 천혜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선진문명국가 호주는 모든 분야에서 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의 장소였고 희망과 기회의 땅이었다. 부모로부터 타고난 내 선천적 인성과 재능, 학창시절에 훌륭하신 선생님들을 통해 얻은 내 지식과 지혜들이 그리고 나의 첫 직장이었던 대한항공에서 여러 부서를 거치면서 체득했던 귀한 경험들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었던 실험현장들이기도 했다. 어찌 보면 이 모든 것들이 나에게 운명적으로 예비되어진 하나님의 크나큰 축복의 통로였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나에게 귀한 생명을 주시고 갓난아이였던 나를 껴안고 북한 공산당정부 치하에서 남한 자유민주 대한민국으로 월남하여 온갖 어려웠던 환경 가운데서도 잘 양육하여 내가 교육받고 성장할 수 있게 하여주신 아버지 故 승익표承翼杓(1919-2013) 님과 어머니 이용원李龍源 (1926- ) 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사랑하는 아내 김영옥金英玉, Jenny과 세 자녀 중 맏딸 승윤경承允慶 Maria과 사위 윤덕상尹悳相 Daniel. 첫째 아들 승지헌承志憲 Peter과 맏며느리 남혜영南惠榮 Kelly, 둘째 아들 승지민承志珉 Edward과 막내며느리 이지나李智那 Jina를 포함한 모든 가족들에게도 깊은 감사와 따뜻한 사랑의 마음을 전하고저 한다. 그리고 내가 태어나서부터 지금껏 살아오면서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던 순간순간마다 만났던 수많은 모든 귀한 분들께도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리고저 한다.
내가 대한항공 시드니지사장으로 부임했던 1979년 6월 22일을 기준으로 2019년도는 나의 호주정착 만4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로서 1월 26일 호주건국일Australia Day을 맞아 호주이민1세대로서 호주국민훈장Order of Australia, OAM까지 받게 되어 내 가족과 지인은 물론 호주 한인동포들과도 그 영광과 기쁨을 함께 나눌 수 있음에 그동안의 나의 삶이 매우 보람되고 자랑스럽다고 생각한다.
특별히 한호수교 60주년이 되는 2021년에 74세에 이르기까지 내 개인적 삶의 과정과 성취했던 일들에 대해 널리 소개할 수 있도록 책으로 엮어 세상에 내어놓을 수 있음에 또한 감사한다.
끝으로 귀한 책 추천사를 보내주신 존경하는 김덕룡 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님, 이구홍 전 재외동포재단 이사장님, 이형모 재외동포신문 발행인님, 정영국 세계한민족회의 이사장님, 김영근 전 미국워싱톤한인연합회장님, 외교부 공관장이셨던 박영국, 김웅남, 이휘진 전 시드니총영사님, 친애하는 보성중고등학교동창 정두환 전 선경SK 시드니지사장님, 서울대학교 중문과 친구 이종진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님, 서울대학교 정영사 친구 최현섭 전 강원대학교총장님, 백남선 이화여자대학교 여성암병원장님, 이재환 전 제일모직 시드니지사장님, 조기덕 전 시드니한인회장님 그리고 아날로그 시대의 오래된 사진과 자료들을 디지털로 복원하느라고 귀한 시간을 할애해 주신 서범석 선배님과 정헌우 후배님, 그리고 내 회고록 출판을 위해 여러모로 자문해주며 귀한 책자로 만들어 주신 도서출판 행복에너지 권선복 대표님과 편집진에게도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21년 8월 시드니 West Pymble집 서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