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은퇴 후 전원에 산다

은퇴 후 전원에 산다

최덕규 (지은이)
문학공감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은퇴 후 전원에 산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은퇴 후 전원에 산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622538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0-11-12

책 소개

최덕규 에세이. 은퇴 후 인생 후반부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답안을 제시해주고 있다. 저자가 전원에서 채소와 과일나무를 가꾸는 농사일을 수행이라 여기고 논어와 금강경을 읽으며 후반부 인생을 사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시리골 산방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빈 둥지를 보고 싶다
상추에게 배운 인생의 길
들개, 그들의 잘못이 아니다
나의 무위자연
배롱나무 아래서
모과는 초연히 떠나라 한다
적정(寂靜)의 경지
나의 피난처
미물(微物)이라는 중생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농사일은 노동이 아니고 수행이다

제2장 인연
달이가 내 곁에 다가왔다
개구리가 신방을 차리다
개구리가 무사하다
고라니 새끼를 가슴에 안고
미안하다, 대추나무야
꿀벌이 들어왔다
생물은 사람 가까이 살고 싶어 한다
느림의 행복
말벌과 맺은 약속
벌통의 사바세계
유기견 나도야가 그립다
생의 마지막 촛불

제3장 산방의 사계
산책길에서 사유
매화는 엄동설한에 꽃망울을 만든다
희로애락에 빠지지 말라
4월 산방의 저녁
가슴으로 봄비 소리를 듣다
모깃불 너머로 고향을 추억한다
여름도 내 인생이다
멧돼지야, 미안하다
회화나무에서 소쩍새가 노래한다
소쩍새는 그래서 울었나 보다
겨울상추는 죽지 않는다
새는 숲속에서 편안히 머문다
겨울나무의 교훈
엄동설한 한밤중에
야생 홍시를 거두어 주다
나는 늙은 농부보다 못하느니라

제4장 무슨 재미로 산에 사는가
무슨 재미로 산에 사는가
고향 가는 길
어느 묘목상의 모습
늦은 밤에 야좌(夜坐)를 읽다
도끼가 잘 든다고 함부로 쓰지 말라
언제일지 모르지만
젊은 날의 결정
천지의 돌아감에 맡겨두노라
풍월에는 따로 주인이 없더라
하늘이 무슨 말을 하시더냐

저자소개

최덕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영천 금호강변에서 초등학교를 졸업 후 경제적 사정으로 중학교를 진학하지 못하고 농사일을 하면서 서당에서 천자문(千字文)과 명심보감(明心寶鑑)을 공부했다. 이것은 후일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의 경전을 공부할 수 있는 종자(種子)가 되었다. 그는 동아대학교 경영학 교수로 30년 넘게 후진을 양성해왔다. 아울러 50대 후반부터 한국불교연구원 구도회, 거제불교거사림 등에서 금강경(金剛經), 진심직설(眞心直說), 육조단경(六祖壇經) 등을 강설했으며 동아대학교 공자아카데미와 임천학당에서 논어(論語), 대학(大學), 중용(中庸) 등을 강의 하고 있다. 정년퇴직 후 밀양 시리골 적조당(寂照堂)에서 경서(經書)를 읽고 농사일을 수행으로 여기며 살고 있다. 그는 이곳에서 300년 넘은 회화나무 위 까치 부부와 한집에서 살고 뒷산 고라니, 멧돼지와는 이웃으로 지내고 있다. 그는 이런 삶을 통해서 만물(萬物)은 뿌리가 하나라는 일체동근(一切同根) 사상을 체득하고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며 유유자적(悠悠自適) 후반기 인생을 산다.
펼치기

책속에서

내 마음이 적정(寂靜)의 경지에 이르니 세상이 평화롭게 보인다. 그렇다. 산은 그대로 인데 바뀐 것은 내 마음이다. 그래서 성철스님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 했다.


고라니 새끼를 소나무 밑에 묻어주고 산을 내려오는데 빗물이 내 얼굴을 타고 흘러내렸다.


멀리서 바라보니 소읍(小邑)의 모습은 아름다워 보이지만 그곳에도 희로애락(喜怒哀樂)이 강물처럼 흐르고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