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곁의 한시

우리 곁의 한시

(여행이 즐거워지는 역사 이야기)

기태완 (지은이)
다른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000원 -10% 300원 5,100원 >

책 이미지

우리 곁의 한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곁의 한시 (여행이 즐거워지는 역사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56331896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8-01-25

책 소개

정약용은 집 이름을 왜 여유당이라고 지었을까? 단속사지 6백 년 된 매화나무는 누가 심었을까? 광한루가 달 속 선녀가 살던 궁궐이라고? 강원도 청간정에서 제주도 김정희 유배지까지, 옛이야기를 따라 한시와 함께 여행을 떠나 보자.

목차

들어가는 글 004
지도로 보는 우리 곁의 한시 008

명사십리에 해당화 붉고 012
강원도 고성군 청간정

부용꽃 스물일곱 송이 붉게 떨어지고 028
강원도 강릉시 초당마을 허난설헌 생가터

이루지 못한 연파조수의 꿈 050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 유적지

푸른 바위에 정자가 있는데
푸른 연못이 도네 061
경상북도 봉화군 청암정

인간 세상의 참혹한 사건을
목격한 은행나무 080
경상북도 영주시 금성단 압각수

매화에 부친 처사의 꿈 093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

6백 년 된 매화에 얽힌 여러 이야기 109
경상남도 산청군 단속사 정당매

남강 바위에 서린 넋 119
경상남도 진주시 촉석루

비단을 펼친 듯한 묘한 시구 133
전라북도 부안읍 매창 묘지

사랑의 공간이 된 선녀의 궁궐 149
전라북도 남원시 광한루

글자 없는 묘비 169
전라남도 장성군 박수량 백비

그늘 속에서 그림자를
쉬게 하는 곳 178
전라남도 담양군 식영정

연자루 안의 그리움은 서글프네 199
전라남도 순천시 연자루

팽나무 대문의 죽림정 213
전라남도 영암군 구림마을 죽림정
세상 험난한 것은
물속 같은 것이 없으리라 225
탐라의 잠녀

추사가 사랑한 수선화 246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김정희 유배지

사진 출처 258

저자소개

기태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생. 지난 30여 년간 동아시아 각국의 한시와 고전을 연구, 번역해 온 한학자이자 인문고전학자이다. 중앙대 문예창작과 졸업 후 성균관대 국문학과에서 매천 황현의 한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연세대 연구교수와 홍익대 겸임교수 역임하면서 동아시아 각국의 한문 고전을 광범위하게 연구하여 이를 쉬운 현대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매진해왔다. 2020년 현재는 학아재 동아시아인문연구소 소장으로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집약하고 후학을 기르는 사명에 힘쓰고 있다. 그간의 성과로 <한위육조시선>을 시작으로 <당시선>(상하), <송시선>, <요금원시선>, <명시선>, <청시선> 시리즈를 완간하여 중국 전 시대를 아우르는 시인들의 한시 문학 세계를 정리한 바 있다. 선집된 시의 양이나 체계적이고 방대한 주석의 양은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일본과 중화권에서도 아직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다. 이번 <일본한시선>은 중국과 우리나라를 넘어 그 연구 범위를 일본에까지 확장시킨 것으로, 고대 아스카 시대로부터 최근 메이지 시대까지의 시인 125명, 382수의 시를 집대성하여 국역하였다. 그 성과로 본서는 정부의 2019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이러한 한시 연구 외에도 지난 2500년 간 동아시아의 문학 세계에 등장하는 꽃과 물고기를 소개하는 <꽃 마주치다>와 <물고기 뛰어오르다>를 발간하여 각각 2014년 세종도서, 2016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그밖에 대중을 위해 출간한 <천년의 향기-한시산책>, <우리 곁의 한시>, <퇴계 매화시첩> 등을 비롯하여 48종의 학술 연구서와 번역서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강원도에서 대관령 동쪽을 여행한 사람들은 글에서 공통적으로 명사십리 해당화를 이야기합니다. 명사십리는 밟으면 소리가 나는 백사장이 끝없이 이어지는 해변의 길인데 거기에 핀 붉은 해당화는 관동의 명물이었습니다.

고려의 승려 선탄禪坦은 곡성谷城 사람이다. (중략) 그의 시 〈관동을 유람하다[遊嶺東]〉에 “명사십리 해당화 붉고, 갈매기는 쌍쌍이 보슬비 속에 나네[鳴沙十里海棠紅 白鷗兩兩飛疎雨]”라고 했다. 어떤 사람이 장차 관동을 유람하려 했는데 선탄의 이 시구를 듣고 “이미 빼어난 시구를 얻었구나!”라고 하고, 마침내 여행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이수광李?光, 1563-1628 〈방류旁流〉, 《지봉유설芝峯類說》
_ 명사십리에 해당화 붉고


압각수鴨脚樹라는 나무를 아시는지요? 압각수는 은행나무를 달리 부르는 이름입니다. 천수를 누리는 나무여서 전국에 걸쳐 수백 년 또는 천 년을 넘게 산 유명한 고목이 많습니다. 압각은 오리발이란 뜻으로 은행나무의 나뭇잎이 오리의 물갈퀴 발과 같다고 해서 지어진 것이지요. 은행銀杏은 은색 살구를 말하는데, 살구 같은 노란 열매에 흰 분가루가 묻어 있어 붙은 이름입니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입니다. 풍기군수를 지낸 주세붕周世鵬이 유학을 전파하기 위해 세웠는데, 나중에 퇴계 이황이 풍기군수 시절에 세금을 면제받는 등의 경제적 지원을 나라에 요청하면서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새로운 이름의 현판을 받았습니다.
서원 옆에는 냇물이 서원을 감싸고 흘러가는데 죽계입니다. 죽계를 건너서 조금만 걸어가면 금성단錦城壇이 있습니다. 금성단은 금성대군錦城大君, 1426-1457을 제사 지내는 제단입니다. 그 제단 가까이에 두 그루 은행나무가 장엄하게 서 있는데, 그 앞에 서면 누구나 신령스러운 모습에 절로 감탄을 터뜨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은행나무는 인간 세상의 한 참혹했던 역사적 사건을 직접 목격한 증인입니다. _ 인간 세상의 참혹한 사건을 목격한 은행나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4323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