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춤추는 唐詩 300 - 상

춤추는 唐詩 300 - 상

기태완, 김미영 (옮긴이)
보고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춤추는 唐詩 300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춤추는 唐詩 300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65874100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당대 시인 묵객들은 어떤 춤을 보았고, 또 어떤 춤에 주목했을까? 또 춤의 무엇을 보았고 그것에서 어떤 것을 느꼈을까? 그것들은 모두 그들의 글 그릇에 담겨 있다. 그들의 붓 끝에 묘사된 당대의 수많은 무자舞者의 미소와 눈물, 그리고 가는 허리 낭창거리는 춤사위, 눈발이 날리듯 소맷자락이 휘도는 춤사위를 따라 무경舞境으로 들어가 보자.

목차

일러두기
시작하며

1. 강남에서 기쁘게도 소구철을 만나 장안에서 놀던 옛일을 이야기해서 장난삼아 주는 50운
2. 옛날의 장안을 생각하다

(舞態)
3. 전사군 여인의 춤은 연화북연가 같네(이 곡은 본래 북동성에서 나왔다)
4. 담용랑을 노래하다
5. 미인이 향기를 나누다
6. 옛날 놀던 것을 추억하며 초군의 참군 원연에게 부치다
7. 장사 진태수에게 두 수를 보내다
8. 사랑하는 이의 옥청가
9. 궁사 5수
10. 혼자만 뵙지 못하네
11. 고염시
12. 한밤중 연회에서 석장군의 춤을 보다
13. 궁사 100수
14. 한가로이 말하다
15. 버드나무 꽃 떨어지네
16. 잔치에서 손님이 말하다
17. 초궁에 가다
18. 상운악
19. 단공 오사구의 50분에 부치다
20. 백거이의 동남행시 100수를 보내다
21. 상강에 머물러 야연을 열다
22. 대부 주호가 새 정자에서 22운을 적다
23. 북쪽에서 온 손님을 머무르게 하다
24. 6년 봄에 낙양에서 근무하는 이들에게 보내다(이때 하남윤이었다)
25. 작은 배에 다시 써서 주종사에게 주고 겸하여 원진을 놀리다
26. 3월 3일 낙수 물가에서 불제를 지내다
27. 승기를 관람하고
28. 죽지사
29. 용아의 발두
30. 회포를 풀다
31. 왕상서를 모시고 연못에 배를 띄우다
32. 뜻을 적다
33. 두사공의 자리에서 읊다
34. 춤추는 여인
35. 회설무를 춘 이에게 보내다
36. 취한 뒤 풍씨의 여인에게 주다
37. 장가행
38. 궁사
39. 궁사 100수
40. 노래하고 춤추다
41. 시 303수
42. 절구
43. 진나라 꿈 3수
44. 꿈속 아름다운 여인의 노래
45. 춤을 읊다
46. 춤
47. 춘녀의 노래
48. 성 남쪽 정자에서 짓다
49. 3월 20일 낙유원에서 연회를 열고 시를 짓도록 명했다. 풍자 운을 얻었다.
50. 늦은 밤 기녀를 보다
51. 최명부 집에서 밤에 기녀를 보다
52. 초궁사
53. 장립본의 딸이 노래하는 것을 듣다
54. 동관산에서 취한 후 절구를 짓다
55. 낙유원의 노래
56. 조십구가 녹전자를 추다
57. 춤추는 허리
58. 야연에서 취한 후 남아서 배시중에게 바치다
59. 춤
60. 양주 3
61. 미인에게 주다
62. 남을 위해 감개하여 주다
63. 우가의 기녀와 함께 비 온 뒤 합동 연회를 즐기다

(健舞)
〈胡旋舞ㆍ胡騰舞ㆍ劍器舞ㆍ柘枝舞〉
64. 호선녀(李에 이르기를 "천보 연간에 서국에서 와서 바쳤다”라고 하였다)
65. 호선녀(측근의 신하를 경계하라. 천보 말 강거국에서 그것을 바쳤다)
66. 왕중승 집에서 밤에 호등무를 보다
67. 호등아
68. 공손대랑의 제자가 검기를 춤추는 것을 보고 검기행을 짓고 아울러 서를 쓰다
69. 검기사 3수
70. 검기
71. 배장군에게 보내다
72. 협객가
73. 사마장군의 노래
74. 옥항아리를 두드리며 읊다
75. 우림 도장군을 보내며
76. 양공창이 신안의 북쪽 정벌에 따라감을 전송하다
77. 주천태수의 연회자리에서 취한 후에 짓다
78. 죽은 무위장군을 위한 만가 3수
79. 혼홍려 댁에서 노래를 듣고 백저가를 본받아 짓다
80. 자지사 3수
81. 자지사
82. 신주의 관리 노공에게 보내다
83. 자지무를 보고 2수
84. 백거이의 자지사에 화답하다
85. 규방의 밤 연회에 눈이 내림을 기뻐하며 주인에게 보내다
86. 자지기
87. 상주에서 자지무를 보고 가사군께 주다
88. 자지사
89. 같은 고을 양시랑이 자지곡을 노래하는 것을 보고 화답하다
90. 궁중곡 2수
91. 담주의 석상에서 자지무를 춘 기생에게 주다
92. 자지
93. 이씨 집의 자지 기녀
94. 항주에서 자지무를 관람하다
95. 주원외 석상에서 자지무를 관람하다
96. 양원의 자지무를 보다
97. 왕장군의 자지무를 추던 기녀의 죽음에 상심하다
98. 종릉에서의 옛 유람을 회상하다
99. 중승 업심도는 대략 뜻이 공명에 있어서 다시 장구 한 편을 바치며 묻고 권하다
100. 대성곡 2수
101. 남을 대신하여 두목에게 주다
102. 자지무를 추는 기녀를 가엽게 여기다
103. 모란
104. 궁사 100수
105. 궁사 100수
106. 이관찰께 올리다
107. 취한 후에 이마 두 기녀에게 주다
94. 항주에서 자지무를 관람하다
95. 주원외 석상에서 자지무를 관람하다
96. 양원의 자지무를 보다
97. 왕장군의 자지무를 추던 기녀의 죽음에 상심하다
98. 종릉에서의 옛 유람을 회상하다
99. 중승 업심도는 대략 뜻이 공명에 있어서 다시 장구 한 편을 바치며 묻고 권하다
100. 대성곡 2수
101. 남을 대신하여 두목에게 주다
102. 자지무를 추는 기녀를 가엽게 여기다
103. 모란
104. 궁사 100수
105. 궁사 100수
106. 이관찰께 올리다
107. 취한 후에 이마 두 기녀에게 주다

(軟舞)
折楊柳(楊柳枝)ㆍ春鶯囀ㆍ屈柘枝ㆍ烏夜啼 ㆍ達摩支
108. 절양류
109. 양류지
110. 양류지사 2수
111. 백거이가 취한 후에 읊은 10분에 화답하다
112. 양류지사
113. 대정안 가인의 원망 2
114. 유소주가 쌀로 술을 빚어 보내고, 이절동이 양류지 춤옷을 보내니, 뜻하지 않게 술을 맛보고 적삼을 입어보며, 문득 긴 구절을 지어 그것에 대한 답례를 보내네
115. 절양류
116. 유지사 5수
117. 양류지 20운
118. 절양류지 2수
119. 유지사 12수
120. 소아시
121. 양주 교외에서 바라보다
122. 전전곡 2수
123. 양주사 2수
124. 양주사
125. 양주관사 안에서 판관들과 더불어 밤에 모이다
126. 양주곡 2수
127. 늦은 밤 상서성에서 양주곡 2수를 듣다
128. 옛 궁인
129. 패나아의 춤
130. 낙세
131. 주점의 호녀에게 주다
132. 장사에서 9일 동루에 올라 춤을 보다
133. 옛날을 그리워하며
134. 춘앵
135. 장난삼아 가수에게 주다
136. 법곡
137. 굴자사
138. 오야제인
139. 유급지가 오야제를 연주하는 소리를 듣고 짓다
140. 달마지곡
141. 화청궁에서 사사인에게 화답하다
142. 최명부 댁에서 밤에 기녀의 공연을 관람하다
143. 한단 남쪽 정자에서 기녀를 보다
144. 옛 궁녀
145. 백거이가 옛날 놀던 때를 추억하는 시를 보내왔기에 백거이에게 답으로
지어 보내어 보답하네
146. 노시어의 어린 기녀가 시를 청하여 좌상에 남겨서 선사하다
147. 취해서 노는 기녀들
148. 앵무
149. 감회가 있어서 有感
150. 산에서 놀며 어린 기녀에게 보이다

저자 소개

저자소개

기태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생. 지난 30여 년간 동아시아 각국의 한시와 고전을 연구, 번역해 온 한학자이자 인문고전학자이다. 중앙대 문예창작과 졸업 후 성균관대 국문학과에서 매천 황현의 한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연세대 연구교수와 홍익대 겸임교수 역임하면서 동아시아 각국의 한문 고전을 광범위하게 연구하여 이를 쉬운 현대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매진해왔다. 2020년 현재는 학아재 동아시아인문연구소 소장으로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집약하고 후학을 기르는 사명에 힘쓰고 있다. 그간의 성과로 <한위육조시선>을 시작으로 <당시선>(상하), <송시선>, <요금원시선>, <명시선>, <청시선> 시리즈를 완간하여 중국 전 시대를 아우르는 시인들의 한시 문학 세계를 정리한 바 있다. 선집된 시의 양이나 체계적이고 방대한 주석의 양은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일본과 중화권에서도 아직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다. 이번 <일본한시선>은 중국과 우리나라를 넘어 그 연구 범위를 일본에까지 확장시킨 것으로, 고대 아스카 시대로부터 최근 메이지 시대까지의 시인 125명, 382수의 시를 집대성하여 국역하였다. 그 성과로 본서는 정부의 2019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이러한 한시 연구 외에도 지난 2500년 간 동아시아의 문학 세계에 등장하는 꽃과 물고기를 소개하는 <꽃 마주치다>와 <물고기 뛰어오르다>를 발간하여 각각 2014년 세종도서, 2016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그밖에 대중을 위해 출간한 <천년의 향기-한시산책>, <우리 곁의 한시>, <퇴계 매화시첩> 등을 비롯하여 48종의 학술 연구서와 번역서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김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성남의 故 정금란 선생에게 춤의 첫발을 떼 고, 세종대학교 무용과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故정재만 선생에게 벽사류 춤을 사사하였다. 연구자로서 춤동작에 관한 문학적 형상화를 추출하고, 이를 동아시아 미학 이론으로 설명하는 데에 뜻 을 두고 있으며, 왕양명의 心學을 바탕으로 한 舞者 의 마음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이수자, 국가무형문 화재 판소리 고법 전수자로서 예술가의 길을 작고 느린 걸음으로 가고 있다. 『악학궤범』 악론의 동양 사상 2580』 (단독, 2018)과 조선검무, 한국 전통춤과 심학, 춤동작에 관한 문예적 묘사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 소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한국전통춤협회 성 남지부장, 경기전통예악원2580 대표로 예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