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56345015
· 쪽수 : 459쪽
· 출판일 : 2020-04-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6
한자와 한문을 알면 좋은 점 | 7
참고자료 : 논어에 나오는 공자 제자 | 460
참고 문헌 | 461
제1부 한자의 기원과 구조 | 13
제1장 한자의 기원과 형태제1장 형태 | 14
1. 한자의 기원1. 기원 | 14
2. 한자의 형태2. 형태 | 15
제2장 한자의 구조제2장 구조 | 19
1. 부수의 위치1. 위치 | 19
2. 부수의 명칭과 음훈 및 기초 한자 | 20
3. 변형부수3. 변형부수 | 28
제2부 한문 단어와 사자성어 | 29
제3장 단어의 구조와 실용 한자 | 31
1. 단어의 구조| 31
2. 실용 한자와 단어 | 33
제4장 전의어와 사자성어 | 78
1. 전의어 | 78
2. 사자성어 | 86
제3부 한문 문법 개요 | 129
제5장 한문의 품사 | 131
1. 문장의 성분과 품사의 기능 | 131
2. 명 사(名詞) | 133
3. 대명사(代名詞) | 135
4. 동사(動詞) | 137
5. 형용사(形容詞) | 139
6. 부사(副詞) | 140
7. 보조사(補助詞) | 142
8. 접속사(接續詞) | 143
9. 개사(介詞) | 144
10. 종결사(終結詞) | 146
11. 감탄사(感歎詞) | 147
제6장 문장의 형식과 구조| 148
1. 구문의 형식1. 형식 | 148
2. 문장의 구조2. 구조 | 151
제7장 한문의 문형 | 153
1. 평서문(平敍文) | 153
2. 부정문(否定文) | 154
3. 의문문(疑問文) | 155
4. 반어문(反語文) | 156
5. 금지문(禁止文) | 157
6. 한정문(限定文) | 157
7. 가정문(假定文) | 158
8. 비교문(比較文) | 160
9. 피동문(被動文) | 161
10. 사역문(使役文) | 162
11. 억양문(抑揚文) | 162
12. 감탄문(感歎文) | 163
제4부 고전 독해 | 165
제8장 삼국시대의
역사와 고사성어 | 166
1. 삼국유사1 | 166
2. 삼국사기2 | 170
3. 고사 성어3 | 174
제9장 격몽요결 | 179
서문(序文) | 179
1. 입지장(立志章) | 181
2. 혁구습장(革舊習章) | 183
3. 지신장(持身章) | 186
4. 독서장(讀書章) | 193
5. 사친장(事親章) | 196
6. 상제장(喪制章) | 200
7. 제례장(祭禮章) | 200
8. 거가장(居家章) | 200
9. 접인장(接人章) | 208
제10장 명심보감 | 217
1. 계선편(繼善篇) | 217
2. 천명편(天命篇) | 220
3. 순명편(順命篇) | 222
4. 효행편(孝行篇) | 224
5. 정기편(正己篇) | 226
6. 안분편(安分篇) | 234
7. 존심편(存心篇) | 236
8. 계성편(戒性篇) | 241
9. 근학편(勤學篇) | 244
10. 훈자편(訓子篇) | 246
11. 성심편 상(省心篇 上) | 247
12. 성심편 하(省心篇 下) | 255
13. 입교편(立敎篇) | 261
14. 치정편(治政篇) | 263
15. 치가편(治家篇) | 266
16. 안의편(安義篇) | 266
17. 준례편(遵禮篇) | 267
18. 언어편(言語篇) | 268
19. 교우편(交友篇) | 270
20. 부행편(婦行篇) | 271
21. 증보편(增補篇) | 273
22. 권학편(勸學篇) | 274
제11장 대학 | 276
1. 경문(經文) | 276
2. 전문(傳文) | 278
10. 처세장(處世章) | 213
제12장 논어제 | 292
1. 학이편(學而篇) | 293
2. 위정편(爲政篇)) | 298
3. 팔일편(八佾篇) | 305
4. 이인편(里仁篇) | 314
5. 공야장편(公冶長篇) | 320
6. 옹야편(雍也篇) | 330
7. 술이편(述而篇) | 338
8. 태백편(泰伯篇) | 349
9. 자한편(子罕篇) | 355
10. 향당편(鄕黨篇) | 364
11. 선진편(先進篇) | 371
12. 안연편(顔淵篇) | 381
13. 자로편(子路篇) | 390
14. 헌문편(憲問篇) | 401
15. 위령공편(衛靈公篇) | 415
16. 계씨편(季氏篇) | 426
17. 양화편(陽貨篇) | 433
18. 미자편(微子篇) | 443
19. 자장편(子張篇) | 449
20. 요왈편(堯曰篇) | 457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7장 한문의 문형
한문의 문형(門型)이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사실로서 어떠한 의향을 가지고 말하느냐 하는 화술이나 문장의 성질상의 형식을 말한다. 문형은 말하는 형식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 관습화된 것이다.
1. 평서문(平敍文)
어떤 사건이나 사실을 그대로 풀어 긍정적으로 평범하게 서술한 문장이다. 문장 끝에 종결사 也, 者~也, 矣, 耳(爾,已), 爾, 焉등이 붙는 경우가 많으나 종결사가 붙지 않는 경우도 있다.
(1) 판단 : 명사+也
○ 夫孝 德之本也 부효 덕지본야 : 무릇 효는 덕의 근본이다.
○ 比則寡人之罪也 비 즉과인지죄야 : 이것이 곳 과인의 죄이다.
○ 口舌者 禍患之門滅身之斧也 구설자 화환지문멸신지부야 : 입
과 혀는 재난의 문이요 몸 을 없애는 도끼이다.
(2) 서술 : 주어+동사
○ 朝門道 夕死可矣 조문도 석사가의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을 것이다.
○ 三人行 必有師焉 삼인행 필유사언 : 세 사람이 가면 그것에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
○ 君子必愼其獨也 군자필신기독야 :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를 삼간다.
(3) 묘사 : 주어+형용사
○ 天下之 不苗助長者 寡矣 천하지 불묘조장자 과의 : 천하에 벼 이삭이 자라도록 돕지 않는 자가 적다.
○ 天下之無道也 久矣 천하지무도야 구의 : 천하에 도가 없음이 오
래되었다.
2. 부정문(否定文)
어떤 사건이나 사실 또는 동작을 부정적으로 진술한 하는 문장 형식으로 평서문의 술어 앞에 부정 보조사 不, 弗, 未, 無, 莫, 匪 등이 쓰인다.
(1) 단순부정 : 不, 弗, 未, 非, 匪, 無
○ 馬不進也 마불진야 : 말이 나아가지 아니했다.
○ 吾未見 好德如好色者也 오미견 호덕여호색자야 : 나는 아직 여색을 좋아하는 것처럼 덕을 좋아하는 사람은 보지 못했다.
○ 子曰 食無求飽 居無求安 자왈 식무구포 거무구안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아니하고 거처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아니한다.
○ 獲罪於天 無所禱也 획죄어천 무소도야 :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곳이 없다.
(2) 이중부정 : 不可不, 不可以不, 不得不, 無不, 莫非, 莫不 등
○ 擇師 不可不愼也 택사불가불신야 : 스승을 택함에 신중하지 않을 수 없다.
○ 學者 不可以不看詩 학자 불가이불간시 : 배우는 자는 시를 보지
않을 수 없다.
○ 待客不得不豊 治家不得不儉 대객부득불풍 치가부득불검 : 손님을 대할 때는 풍요롭게 하지 않을 수 없으며 가정을 다스림에는 검소하지 않을 수 없다.
○ 君正莫不正 군정막부정 : 임금이 바르면 아무도 바르지 아니 함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