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코로나 이후 세계의 인문학

코로나 이후 세계의 인문학

김동기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코로나 이후 세계의 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코로나 이후 세계의 인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634582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4-03-28

책 소개

코로나19 팬데믹은 단순한 보건 위기를 넘어, 사회,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를 촉발했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김동기 저자는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문학적 사고의 필요성을 역설한 『코로나 이후 세계의 인문학』을 출간했다.

목차

머리말 인문학의 발전으로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4
『인문학 산책』 머리말 인문학 집 짓기 6

제1장 코로나 이후의 오늘날 세계
제1절┃메타버스 시대의 도래
1. 게임 체인저인 신기술과 전염병 19
2. 오늘날은 메타버스 시대 25
제2절┃호모데우스를 만든 인공지능(AI)
1. 인간의 복제품인 인공지능 31
2. 인공지능과 관련된 과제 38
제3절┃세상을 바꾼 코로나19
1. 인간과 함께 한 전염병 42
2. 언택트(untact) 사회를 가져온 코로나19 48
3. 향후 인류생존을 위한 전략-탈 성장과 기후대책 57

제2장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제1절┃인문학이란?
1.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 : 문·사·철학 72
2. 통섭·소통의 학문 75
3. 수기치인을 위한 학문 78
제 2 절┃다른 학문과의 관계
1. 연계 필요성 83
2. 사회과학과의 관계 87
3. 자연과학과의 관계 91

제3장 왜 인문학이 중요한가?
제1절┃행복의 증진
1. 개인적 행복(1차적)의 증진 97
2. 사회적 행복(2차적)의 증대 106
제2절┃국가와 사회 발전의 촉진
1. 튼튼한 국가안보와 국민형성 112
2. 자유민주주의체제의 유지 117
3. 경제·사회 시스템의 발전 125
제3절┃세계화와 문명발전 133

제4장 인문학이 해결해야 할 과제
제1절┃나는 누구인가(Who am I?)
1. 인간으로서의 나 139
2. 한국인으로서의 나 146
제2절┃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How to live?)
1. 나와 나의 관계 157
2. 나와 타자(세계)와의 관계 161
3. 변화를 보는 시각 165
제3절┃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How to die?)
1. 죽음에 대한 고찰 169
2. 아름다운 삶 177

제5장 문 학
제1절┃문학이란?
1. 문학의 의의 186
2. 문학의 기능 188
3. 문학의 역사 191
제2절┃문학의 장르
1. 시 194
2. 소설 199
3. 수필 204
4. 희곡 206
5. 비평 208
제3절┃한국 현대문학의 과제
1. 문학의 세계화 210
2. 월북작가와 작품 212
3. 사실과 허구성 213
4. 저항성과 외설성 214

제6장 역사학
제1절┃역사학이란?
1. 과거의 기록 220
2. 역사학 223
제2절┃역사의 주인공과 대상
1. 주인공 : 왕 등 지배층 → 전 국민 228
2. 사료 : 문헌과 유물·유적 231
제3절┃역사와 우리나라 외교관계
1. 미국과의 관계 236
2. 중국과의 관계 243
3. 일본과의 관계 247
4. 러시아와의 관계 255
제4절┃우리 역사학계의 과제
1. 식민사관 청산문제 261
2. 고조선문제 263
3. 역사교과서 국정화문제 264

제7장 철학
제1절┃철학이란?
1. 지혜・지식에 대한 사랑 : 애지 269
2. 철학과 종교 274
3. 철학과 과학 277
제2절┃철학의 발자취
1. 고대철학 280
2. 중세철학 282
3. 근대철학 284
4. 현대철학 287
제3절┃철학의 과제
1. 나는 누구인가?(형이상학, 존재론) 293
2. 나는 무엇을 아는가?(인식론, 논리학, 진리론) 301
3.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윤리학, 가치론, 정의론) 310

제8장 메타버스 시대의 인문학
1. 게임 체인저인 인공지능과 코로나19 322
2. 기초학문과 지혜의 샘인 인문학 325
3. 선진국 국민으로서의 품격 328
참고문헌 332

저자소개

김동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 충북 청주출신 • 청주고등학교 졸업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졸업(경영학사) • 서울대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석사) •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졸업(도시계획 및 지역개발학 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졸업(행정학 박사) 경력 • 행정고시 17회 합격(1975) • 충북 보은군수(1991) • 대통령비서실-사정1비서관실(1993) • 내무부 재정경제과장(1995) • 충북도 기획관리실장(1996) • 충북 청주, 충주 부시장(1998) • 행정자치부 지방재정경제국장(2003) •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2004) • 인천도시개발공사 사장(2008) •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 위원(2011-2016) • 한전산업개발주식회사 상임감사(2017-2020) • 대한불교조계종신도회 부회장(2013-2020) • 전)동국대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저서 • 한국공무원의 여가행태에 관한 연구(1983) •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평가에 관한 연구(1998) • 조사방법론(대왕사, 1975) • 한국지방재정학(법문사, 1993) • 한국지방자치의 새로운 모색(법문사, 2010) • 인생 3모작과 나(해드림출판사, 2015) • 인문학 산책(해드림출판사, 2020)
펼치기

책속에서

2. 철학과 종교

종교(religion)란 가장 높은 가르침 또는 근본이 되는 가르침으로 종(宗)이란 성취, 이치라고도 하며 불교에서는 최종과 지상의 극치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조상의 신(영혼)을 모시는 건물을 말하기도 한다. 교(敎)란 가르친다는 뜻으로 신자들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도록 언어나 문자로 표현한 것이다. 종교는 국가와 사회의 현실을 가장 잘 나타내며 역사와 함께 하여왔다.
따라서 각종 종교에서는 서기 또는 불기 등 역법이 종교를 창시한 해로부터 계산을 시작한다. 인간은 절대자 즉 신에 대하여 무신론(유물론)과 유신론(관념론)의 두 가지 입장을 취한다. 무신론은 유물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 세상은 있는 그대로 확실한 것이며 어떤 누가 창조한 것이 아니다. 현재의 나와 나의 능력을 믿는다. 니체와 마르크스가 대표적이다.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물리적・생물학적 그리고 경험적인 근거에 의해 인간은 ‘힘에의 의지(Willezur Macht)’를 내면에 소유한 채 깨닫고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결단한다고 한다. 이 의지를 깨달은 자를 기독교의 하느님과 달리 초인(위버멘쉬)이라고 하였다. 마르크스(Karl Marx)는 인간이 추구하는 행복은 물질적 욕망을 추구하는 것으로 본다. 물질
은 하부구조(경제, 근본구조)와 상부구조(정신, 문화)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유신론은 관념론과 유사하나 유신론은 이 세계는 보이지 않는 원리 또는 창조주가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고 본다. 그러나 관념론은 이성이나 정신이 세계의 근원으로 보고 물질은 우선 작은 알맹이인 분자로 쪼개지고, 다음으로 원자 그리고 원자핵과 전자, 다시 중성자와 양성자로 나뉜다. 이 중성자와 양성자를 구성하는 기본입자가 쿼크(Quark)180)라 한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것이 ‘정신적인 힘’이라고 한다. 따라서 물질은 근본적으로 정신적인 힘들의 결합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면 철학과 종교는 공통점이 무엇이고 어떠한 점에서 차이가 있을까? 철학과 종교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비슷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궁극적이며 근원적인 것을 추구하고 관계한다. 즉, 무한, 영원, 절대, 만물의 근원, 세계의 처음과 끝, 영혼의 불멸 등 인간의 유한한 능력으로는 인식이 불가능한 영역을 추구한다. 둘째, 인간으로 하여금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교와 철학이 없으면 국가와 사회체계의 유지가 어려워지고 무질서해지며 혼란해지게 된다.
철학과 종교가 다른 점은 (표 7-1)과 같다. 첫째로, 대상 면에서 철학은 초월적 존재자를 지적 관심에 입각하여 탐구대상으로 삼아 밝히려고 한다. 반면 종교는 궁극적 존재자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감정적으로 무조건 신앙한다. 둘째, 방법적인 면에서 철학은 이성적・합리적인 방법으로 사색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종교는 신앙에 의지하여 무조건, 감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때로는 극단적인 폭력으로 치달아 사회적인 공분을 사기도 한다. 셋째로, 어떤 것이 옳고 가치가 있으며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가치판단의 원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철학은 스스로 사색하여 해답을 찾아내고 실천한다. 반면에 종교는 내용이 이미 경전에 주어져 있으므로 그대로 무조건 실천만 하면 된다. 만일 이의를 제기하거나 비판하면 이단으로 몰리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