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6540519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5-12-30
책 소개
목차
제Ⅰ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2. 연구내용 5
3. 연구방법 5
제Ⅱ장 이론적 배경 11
1. 청소년 문화 13
1) 문화의 개념 13
2) 문화와 매체의 상관성 14
3) 청소년문화 개요 및 특징 16
4) 청소년 문화의 주요 영역 17
2.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 및 효과 21
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특성 21
2)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및 추세 23
제Ⅲ장 설문조사 결과분석 27
1. 조사방법 29
2. 응답자 특성 31
3. 설문조사 문항 구성 32
4. 조사 결과 34
1)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 34
2) 소셜미디어의 활용 51
3) 소셜미디어 관련 경험 / 발달 및 관계 84
4) 집단(성별/ 교급)에 따른 소셜미디어 활용 99
제Ⅳ장 질적조사 결과분석 107
1. 조사 개요 109
1) "청소년 집단지성 토론단"의 기획 109
2) "청소년 집단지성 토론단"의 운영 114
3) 질적 자료의 분석 118
2. 조사 결과 119
1)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소셜미디어의 이미지 119
2) 소셜미디어의 정부규제 122
3) 교육문화에 있어서 소셜미디어의 기여 129
4) 학업/학습에 있어서 소셜미디어의 활용 범위와 가능성 134
5) 진로탐색 및 개발 영역에서의 소셜미디어의 역할 140
6)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 143
7) 팬덤문화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역할 145
8) 청소년 여가생활에 미치는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152
9) 청소년과 선거권 155
10)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기부경험 159
11) 소셜미디어를 통한 관계맺음 164
12)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사이버불링(cyberbullying) 173
3. 소결 178
제Ⅴ장 국내사례 조사 179
1. 조사개요 181
2. 조사결과 182
1) 소셜러닝: (주)바풀 182
2) 소셜펀딩: 성남시청소년재단 189
3) 소셜 서포팅: 사인 하우스 198
4) 청소년 1인 미디어 203
제Ⅵ장 해외사례 조사 211
1. 영국: 소셜미디어를 위시한 뉴미디어 관련 영국 정책 및 활용 사례 213
1) 영국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 213
2) 영국 정부 및 사회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216
3) 영국 정부의 관련 정책 내용 219
4)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정책 및 방안 223
5) 시사점 226
2. 미국 227
1)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 227
2) 교육당국과 일선 학교의 소셜미디어 활용 230
3) 주요 이슈와 정책/ 가이드라인 234
3. 캐나다 241
1)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실태 241
2) 소셜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245
3) 디지털 리터러시: 액션플랜 248
제Ⅶ장 결론 및 정책제언 253
1. 결론 255
1)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 결론 255
2) "청소년 집단지성 토론단" 운영을 통해 파악한 결론 257
3)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파악한 결론 260
2. 정책제언 261
참고문헌 275
부 록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