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56590767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5-12-31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7
제2장 건축가 호칭의 탄생
1. 번역어 건축의 성립 11
1) 아키텍쳐의 번역 11
2) 조가와 건축 14
2. 건축가의 정의 확정 20
1) 번역어 호칭의 접근방식 20
2) 건축가를 규정하는 건축의 정의 21
3) 건축가 호칭의 의도 25
3. 건축가 호칭의 경쟁 27
1) 번역의 순서에 따른 의미의 차이 27
2) 건축기사와 건축기술사 28
3) 건축사 호칭의 갈등 30
제3장 건축 설계 업무의 전문직화 과정
1. 건축가 전문직의 속성 33
1) 전문직의 요건과 전문직화 과정의 의미 33
2) 건축가의 전문직화 과정 39
2. 건축업의 분화와 전문교육의 태동 54
1) 근대 건축가 교육의 전개 양상 54
2) 근대 한국의 건축가 교육 66
3. 건축가 단체의 성립과 구성원의 결속 73
1) 서양 건축가 관련단체의 형성 73
2) 동아시아 건축단체의 성립 82
3) 한국 건축 삼단체의 성립 89
4. 초기 한국인 건축가 집단의 성격 102
1) 학부 건축학과의 성립과 졸업생의 진로 103
2) 원로 건축가들의 교육과 사회진출 조사 112
제4장 건축사 자격제도의 성립
1. 건축사 자격제도의 성격 124
1) 미국의 건축사 제도 124
2) 영국의 건축사 제도 126
3) 프랑스의 건축사 제도 129
4) 독일의 건축사 제도 131
2. 일본과 한국의 건축사법 제정운동 133
1) 일본 건축사법 133
2) 한국 건축사법 138
3. 건축사의 정의와 자격의 문제 150
1) 예술가와 사업가 150
2) 설계자와 대리자 155
4. 건축사의 업무와 책임의 문제 164
1) 건축사법의 업무범위 165
2) 대한민국 건축사법의 법제적 해석 170
제5장 결론
참고문헌 191
SUMMARY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