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91156591375
· 쪽수 : 163쪽
· 출판일 : 2017-10-31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3. 연구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내용
2) 연구추진방법
3) 연구의 범위
제2장 빅데이터 관련 선행이론
1. 빅데이터 개념 및 특성
1) 빅데이터 개념 및 정의
2) 빅데이터의 특성과 형태
3) 빅데이터 종류와 특징
2.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고찰
1) 빅데이터 국축 및 활용 과정
2) 빅데이터 수집 및 가공 방법
3) 빅데이터 분석 방법
제3장 빅데이터 기반 정책개발 사례
1. 정책의 개념 및 과정
1) 정책의 개념
2) 정책의 과정
2. 국내 사례
1) SK텔레콤, 인터넷·SNS 여론분석 시스템 '스마트 인사이트'
2) 파리바게뜨, 기상과 제품별 판매량을 분석한 날씨 판매지수
3)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수립 지원시스템
4) 경기도 소셜 미디어 분석을 통한 관광 트렌드 파악
5) SK 텔레콤 T맵을 통한 실시간 교통 정보 서비스
6) 국민권익위원회 민원정보 분석시스템
7) 서울시 관광사업
8) 국내 사례 종합 및 시사점
3. 국외 사례
1) 뉴욕 범죄현황 통계분석 및 예측 시스템 컴프스텟(Compstat)
2) 구글 검색어 분석을 통한 독감 유행예측 시스템Google Flu Trends
3) 미국 영화사 SNS 분석을 통한 영화 흥행 예측
4) 암스테르담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에너지 아틀라스(Energy Atlas)
5) 월마트,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패턴 조사
6) 미국 웰포인트 빅데이터 기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7)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재해예방 통합관리 지능형 운영센터
8) 뉴욕시 소방서(FDNY)의 RBIS&FireCast
9) 국외 사례 종합 및 시사점
4장 빅데이터 기반 건축·도시 정책개발 체계 수립
1. 건축·도시 분야 정책 현황
1) 건축정책관실 2017년 업무계획 분석
2) 도시정책관실 2017년 업무계획 분석
3) 건축·도시 분야 2017년 정책 종합
2. 빅데이터 기반 건축·도시 정책개발 체계 수립
1) 문제형성 단계- 정책의제 선정
2) 정책형성 단계- 정책대안 개발
3) 대안채택 단계- 최적 대안 선정
4) 빅데이터 기반 건축도시 정책개발 체계
제5장 빅데이터 기반 건축·도시 정책개발 체게 실증
1. 대상 정책 선정
1) 대상 정책(건축물 유지관리 정책) 선정 배경
2) 건척물 유지 관리 정책의 범위
2. 문제형성 단계 실증
1) 질문 도출
2) 분석내용 설정
3) 데이터 종류 및 특성 파악
4) 분석 방법 설계
5) 데이터 수집 및 가공
6) 분석 및 결과 해석
3. 정책 형성 단계
1) 문제 형성 단계에 따른 정책 형성 방향
2) 질의개발
3) 분석내용 결정
4) 데이터 종류 및 특성 파악
5) 분석 방법 설계
6) 분석 및 결과해석
4. 평가 및 환류
제6장 결론
1. 연구의 결과
2. 건축·도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제언
3. 연구의 한계와 기대효과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