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56594895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4-12-31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9
3. 선행연구 검토 11
제2장 정원도시의 개념과 다원적 기능
1. 정원도시 이론의 등장과 전개 13
1) 사회개혁을 위한 틀로서 정원도시 이론 등장 (1기: 1898-1945) 13
2) 정원도시 이론의 변주: 국가별 정원도시 모델 (2기: 1946-1985) 27
3) 기후변화 시대에 되살아난 정원도시: 세계 각국의 비전과 정책 (3기: 1987-현재) 36
4) 정원도시의 역사적 흐름에 대한 고찰 48
2. 현대 정원도시의 개념과 기능 52
1) 정원의 개념과 기능 52
2) 정원도시의 개념과 기능 60
3. 현대 정원도시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전문가 인식 분석 80
1) 분석 개요 80
2) 분석 결과 83
3) 시사점 92
제3장 국내 정원도시 정책 현황 및 계획 사례 분석
1. 국내 정원도시 관련 법제 및 정책 현황 93
1) 국내 정원도시 정책의 발전과정 및 현황 93
2) 국내 정원도시 관련 법제도 및 계획 현황 104
3) 시사점 116
2. 국내 정원도시 계획 사례 분석 118
1) 분석 개요 118
2) 분석 결과 120
3) 시사점 134
제4장 해외 정원도시 정책 및 계획 사례 분석
1. 사례 분석의 개요 137
2. 영국: 바람직한 주거의 본질적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적 실험의 연속 139
1) 국가 차원 139
2) 지역 차원 155
2) 시사점 169
3. 독일: 정원박람회와 공동체를 위한 정원도시 173
1) 국가 차원 173
2) 지역 차원 182
3) 시사점 195
4. 싱가포르: 캠페인에서 브랜딩, 국가 비전으로서의 정원도시 200
1) 국가 차원 200
2) 지역 차원 216
3) 시사점 227
5. 분석의 종합 232
제5장 정원도시 계획 방향 및 가이드라인
1. 정원도시 계획의 체계 235
2. 정원도시 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242
1) 가이드라인의 목적과 범위 242
2) 정원도시 계획 작성 가이드 245
제6장 결론
1. 연구 성과와 정책 제언 271
1) 연구 성과 271
2) 정책 제언 273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 275
참고문헌 276
SUMMARY 286
부록 1. 전문가 설문조사지 290
부록 2. 지방자치단체 정원도시 계획 사례 분석 결과 300
부록 3. 정원도시 계획 솔루션 339
1) 정원도시 계획 솔루션 개요 339
2) 정원도시 계획의 기능 요소별 솔루션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