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5706851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왜 공주에 충청감영을 열었을까?
마침내 공주가 되다: 고마나루에서 공주까지
공주의 가치를 발견하다
공주에 감영을 설치하라
충청도의 중심이 되다
*흥미진진 역사 보따리 충청도, 너의 이름은?
2장 수령들을 감찰하고 백성을 교화하라
관찰사와 감영의 변천
백성의 평안을 책임지다
국가 재정을 위해 세곡을 거두다
농사를 권장하고, 인재를 기르다
형옥과 병마, 성곽을 관리하다
*흥미진진 역사 보따리 어사와 관찰사는 무엇이 다를까?
3장 명실상부한 호서의 중심 공주
신령한 산 계룡에서 평안을 빌며 제를 올리다
공주 문화의 또 다른 축, 공주의 절들
왕에게 바치는 예물, 진상과 충청감영
역원과 장시
*흥미진진 역사 보따리 조선의 도읍이 될 뻔한 계룡산
4장 역사의 현장, 충청감영
인조의 공주 파천
천주교인들의 피로 물든 황새바위
우금티 마루에 펄럭이는 피에 젖은 깃발
의를 세우고자 일어난 공주의 의병
*흥미진진 역사 보따리 임진왜란 최초의 승병장, 영규대사
참고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공주는 ‘구구십리’라는 별명처럼 호서 지역 전체를 관리하고 다스릴 수 있을 만큼 지역 내 접근성이 좋았다. 구구십리란 충청 관내 9개의 군현과 직접 맞닿아 있다는 뜻으로 동쪽의 회덕·진잠, 남쪽의 부여·니산(노성)·연산·진산, 서쪽의 대흥과 북쪽의 천안·연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장점은 여전해서 공주는 지금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그리고 충남의 계룡시, 논산시, 부여군, 청양군, 예산군, 아산시, 천안시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호남대로의 중간 거점이었던 공주는 육로뿐만 아니라 수로의 요지이기도 했다. 우마차가 다닐 수 있는 호서지방의 육로와 금강의 뱃길을 따라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선운이 맞닿은 지리적 이점은 공주를 호서의 중심지로 꼽기에 충분했다. 더구나 이 뱃길은 조선팔도에서 가장 넓은 호남평야와 곧장 연결된다. 다시 말해 가장 풍부한 물산지대가 육로와 수로로 연결되었던 것이다.
_ <공주의 가치를 발견하다> 중에서
공주는 교통의 요지라는 장점만이 아니라 임진왜란과 같은 대규모 전쟁에서 나라를 지키는 중요한 군사요충지로서도 인정받은 곳이다. 군사요충지로서 공주의 가치는 1600년을 전후한 시기에 각 도의 감영을 한 지역에 상주하도록 재편하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여겨진다. 공주는 앞서 설명한 교통 거점의 장점과 천혜의 요새로서 군사요충지의 역할까지 잘해냈다. 호서 지역을 이끌고 관할하는 수부도시로서 충청감영이 설치될 이유는 충분했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조선은 공주를 다시 인식하기 시작했고, 도시로서의 장점과 기능을 더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_ <공주의 가치를 발견하다> 중에서
임진왜란을 겪은 이후부터 공주는 ‘호서에서 가장 중요한 요새이며, 남쪽으로 가는 첫 번째 관문湖西最要之關防 南下第一關防’이라는 인식이 강해졌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충청도관찰사로 다시 부임한 유근은 먼저 공산성을 복구하고 산성 안에 자리를 마련한 뒤 충청감영을 공주로 옮겼다.
_ <공주에 감영을 설치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