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57235568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19-10-0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우리에게 한글이 없었다면? -6
1. 한글은 어떤 글자일까? -10
2. 훈민정음, 한글의 시작 -24
3. 백성 속으로 들어간 한글 -40
4. 한글이 목숨! 우리글을 지켜라 -56
5. 디지털 시대, 한글의 무한 변신 -72
6. 한글을 둘러싼 논쟁들 -92
용어 설명 -110
연표 -112
더 알아보기 -114
참고 자료 -116
출처 보기 -117
찾아보기- 118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 사람들은 휴대폰에 어떻게 글자를 입력할까요? 예를 들어 学校(학교)라는 글자를 휴대폰에 써 볼까요? 이 글자의 병음(중국어의 알파벳 발음 기호)은 xuexiao이니 먼저 x를 누릅니다. 그러면 발음이 x로 시작하는 한자가 여럿 뜨지요. 그중에서 내가 원하는 한자를 찾아서 고릅니다. 우리 한글을 입력할 때와 비교하면 상당히 번거로워 보입니다. 만약 우리에게 한글이 없었다면, 그래서 우리가 아직도 한자를 쓰고 있다면 어땠을까요?
- 들어가며
음소 문자로서 한글이 특이한 점이 한 가지 있습니다. 바로 자음과 모음을 음절 단위로 ‘모아쓰기’를 한다는 점입니다. ‘한글’이라는 글자를 쓸 때 ‘ㅎㅏㄴㄱㅡㄹ’과 같이 자음과 모음을 따로따로 쓰지 않고, ‘한글’과 같이 한데 모아서 씁니다. 대부분의 음소 문자들은 영어처럼 풀어쓰기를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훈민정음이 처음 창제될 때부터 모아쓰기를 해 왔습니다. 한글이 가진 재미난 특징이라 할 수 있지요.
- 한글은 어떤 글자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