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57747740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5-03-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회계 지식이 경쟁력이다
1장 초보자가 알아야 할 회계 기본
비즈니스맨, 회계 지식으로 중무장하라
기업이익은 현금흐름이 뒷받침돼야 한다
회계 기본원리: 수익비용대응의 원칙
차변과 대변은 왜 필요한가
회계처리가 잘되면 분석이 쉽다
계정과목은 왜 그리 복잡할까
어, 나도 회계처리가 되네
현금시재 맞추기
2장 재무제표를 알아야 경영 마인드가 생긴다
재무제표란
탄탄한 기업을 만드는 재무제표 활용 기술
자산과 부채가 경영성과와 기업가치를 결정한다
회계처리가 잘못되면 모든 재무정보가 왜곡된다
이익이 많아지면 세금도 많아진다
실무 담당자를 넘어 CFO가 되려면
3장 재무상태표계정에서 기업가치가 결정된다
현금등가물이 뭐야
입출금 회계처리와 전표 끊는 법
가지급금과 가수금 처리법
매출채권을 재무상태표에 올리는 요령
유가증권과 투자유가증권의 구분 그리고 평가방법
상품권과 기타 당좌자산 회계처리
재고자산회계처리와 이익과의 관계
기업이 부동산에 투자하면 어떤 세금을 내나
자동차를 취득한 경우의 회계처리법
개인 소유 차량을 회사업무에 이용하면 경비처리가 가능할까
유형자산의 취득과 가치변동에 따른 회계처리법
국고 보조금에도 세금이 붙을까
연구개발 부서의 프로젝트비는 자산인가 비용인가
연구소에서 사용한 비용 처리와 개발비 상각방법
회사가 갚아야 할 부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손충당금과 퇴직연금 부담금 회계처리 방법
자본을 분해해 보자
자본금을 늘리는 세 가지 방법
이월결손금을 없애는 세 가지 방법
이익잉여금을 꺼내 쓸 때 유의할 점
자본조정은 왜 하는가
주주가 변동될 때 조심해야 할 것들
4장 손익계정에서 경영성과가 나온다
업종별 매출 인식법
매출 회계처리 틀 잡기 사례
매출이 눈덩이처럼 커지는 원리
세금계산서도 수정할 수 있을까
매출원가는 기말재고자산평가에 따라 달라진다
재고자산의 가치하락분도 비용 처리가 될까
경비지출 시 지켜야 할 5가지 회계원칙
인건비와 복리후생비와 접대비 처리법
감가상각비는 어떻게 계산될까
5장 회계감사와 세무조사를 대비하는 결산
실전 결산절차와 오류 수정방법
감사와 세무조사를 대비하는 결산
분식회계는 왜 일어날까
꼼짝 마! 부당한 회계처리
사례로 쉽게 이해하는 결산절차
법인세 계산과 이연법인세
내 손으로 재무제표를 출력해 보자
6장 재무제표 분석 및 활용법
기본을 알아야 재무제표를 읽을 수 있다
재무제표를 읽으면 경영의 흐름이 보인다
우리 회사는 대외적으로 안정성이 있을까
이익을 많이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이 느리면 현금흐름이 불량해진다
EPS(주당순이익)로 주가 예측을 할 수 있다
7장 창업 회계 시스템 구축과 컨설팅
회계 시스템은 어떻게 구축할까
먼저 자기자본과 부채를 정확히 파악하라
입출금 시스템이 투명성을 보장한다
10원도 맞추는 입·출금 업무처리 지침
횡령을 방지하는 자금관리 시스템
세무문제를 사전에 없애는 증빙 시스템
급여 관리대장 만들기
한눈에 보이는 회계관리 시스템
회계장부 시스템 유지하는 법
전산세무회계 시스템의 구축
세무조사를 비켜 나가는 세무관리 시스템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의 창업 세무회계 시스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중 경리 담당자들이 가장 먼저 할 일은 바로 재무제표를 보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이는 당기순이익이 얼마고 자본이 얼마인가를 보는 것이 아니라, 재무제표에 숨어 있는 문제점들을 끌어내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재무제표는 회사의 얼굴이다. 따라서 숫자를 통해서 얼굴이 밝은지 어두운지 나타나므로 담당자들은 이를 발견해 내는 것이 책무이기도 하다.
이 외 경리나 회계 실무 담당자가 아니라도 회사에서 실적을 내고 싶거나 승진을 앞둔 중간 계층이나 타부서 임원들도 재무제표를 해독할 수 있어야 한다. 회사가 가려운 곳이 어떤 곳인지를 알고 긁는 것과 모르고 긁는 것은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난다.
실무적으로 세금계산서 제도는 기업에 매우 중요하다. 세법에서 세금계산서에 대해 여러 가지 사항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데 이를 누락한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 시기를 어긴 경우, 세금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따라서 경영자나 실무자들은 세금계산서를 어떻게 주고받아야 하는지와 어떤 의무를 준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미리 지침을 만들어 둘 필요가 있다.
각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대개 경영자, 금융기관, 투자자 등으로 나뉜다. 그런데 이들은 동일한 기업의 재무제표를 두고도 각각 그들의 관점에 따라 재무제표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경영자는 경영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입수하기 위해 당기순이익, 매출액, 원가 분석 등을 한다. 금융기관은 채무변제 능력을 보기 위해 유동성이나 수익성 등을 검토한다. 투자자들은 미래의 경영성과를 판단하기 위해 수익성과 성장성 등을 우선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