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778518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12-2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왕충사상의 연구현황과 연구방향
2장 천 해석의 변화
들어가는 말
1절 중국고대 천관(天觀)에서 본 도가의 사상
2절 기(氣) 개념에 의한 세계의 해석
나가는 말
3장 시대적 배경 및 동기
1절 왕충사상 형성의 시대적 배경
2절 왕충사상의 동기
4장 기의 세계의 근원에 대한 해석
1절 천론(天論)
2절 기론(氣論)
5장 현실세계
1절 인간과 만물
2절 인간세계
6장 인간사회
1절 인간사회의 해석
2절 인간사회의 질서에 대한 해석
3절 인간사회의 길흉의 판단방법
7장 가치세계
1절 정신세계
2절 진리와 비판
3절 진리의 기준
4절 진리와 인식
5절 인간의 등급과 이상적 인간
8장 성인관(聖人觀)
1절 왕충 이전의 성인관
2절 왕충의 성인관
3절 왕충의 성인관과 당시의 지배 체제
저자소개
책속에서
왕충의 관점이 유물론적 관점일까. 왕충의 관점이 어떻든 유물론의 입장에서 왕충의 사상을 이해해 보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왕충의 사상에 유물론적 요소가 있다고 해서 당시의 시대적·공간적 환경을 완전히 무시하고 왕충의 관점은 유물론이라고 결정해버리는 것에는 많은 문제가 따를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당시의 중국 특징적 삶의 요소와 그에 따른 해석이 잘못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메꾸어줄 수 있는 연구가 유물론적 관점에 얽매이지 않고 왕충사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당시의 사회 속에서 그리고 사상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왕충의 저작을 통해서 직접 왕충을 만나보고 왕충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 사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물론적 관점에 얽매이지 않은 왕충연구에도 문제점은 있다. 그 당시의 사회나 사상의 흐름 속에서 왕충의 관점을 이해하고자 할 때, 당시의 특수한 상황에 빠져 정확한 판단을 내리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가 없다. 예를 들면 중국고대의 경우는 학파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고, 그래서 사상의 연구에서도 학파를 중심으로 그 계승관계를 논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