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57843541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9-08-29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들에게
PART 1 자동차의 진화와 혁신
CHAPTER 1 자율주행은 현실이다
CHAPTER 2 인간 운전의 현주소
CHAPTER 3 이동성의 흐름
CHAPTER 4 파괴적 기술의 등장
PART 2 자율주행의 역사와 비전
CHAPTER 5 역사
CHAPTER 6 자동화의 단계
CHAPTER 7 비전
CHAPTER 8 경제성
CHAPTER 9 로드맵
PART 3 자율주행의 기술
CHAPTER 10 모델
CHAPTER 11 디지털 자동차
CHAPTER 12 커넥티드카
CHAPTER 13 사이버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PART 4 자율주행의 무대
CHAPTER 14 변화의 현장
CHAPTER 15 이해관계자
CHAPTER 16 시장 참여자
PART 5 이동의 미래 시나리오
CHAPTER 17 이동과 관련한 문제
CHAPTER 18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이동수단
CHAPTER 19 고객의 기대
CHAPTER 20 자율주행차 활용 시나리오
CHAPTER 21 자율주행차의 실패 가능성
CHAPTER 22 새로운 유형, 새로운 분야
PART 6 자율주행차 도입의 사회적 조건
CHAPTER 23 보호와 책임
CHAPTER 24 표준과 기준
CHAPTER 25 윤리와 도덕
PART 7 자동차에 미칠 영향
CHAPTER 26 생태계로서의 자동차
CHAPTER 27 자동차 디자인
CHAPTER 28 인간-기계 상호작용
CHAPTER 29 시간, 비용, 안전
PART 8 기업에 미칠 영향
CHAPTER 30 비즈니스 모델
CHAPTER 31 가치 사슬
CHAPTER 32 공유경제
CHAPTER 33 보험 산업
PART 9 사회에 미칠 영향
CHAPTER 34 일자리와 복지
CHAPTER 35 경쟁
CHAPTER 36 신흥국
CHAPTER 37 도시의 발전
PART 10 도전과 과제
CHAPTER 38 자동차 산업의 어젠다
CHAPTER 39 정부를 위한 10가지 제언
에필로그: 멋진 신세계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한국은 무인자동차 개발의 선두를 목표로 화성 인근에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험장을 건설했다. ‘K-시티’라고 하는 이 시험장은 작은 도시 크기로,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교통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좁은 도로, 수많은 커브길, 신호등, 로터리, 주차장, 버스 전용차선, 고속도로 등을 갖추고, 요청하면 보행자와 자전거가 도로를 횡단하는 상황도 연출해준다. 36만 제곱미터에 이르는 이 시험장 건설은 한국 정부가 자율주행차를 출시하려는 자국 자동차 산업계를 돕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_ <1장 자율주행은 현실이다> 중에서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이른바 Y세대)은 소유보다는 경험에 시간을 더 많이 쓰고 싶어 한다. 많이 소유하는 것을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부담스러워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물건을 하나라도 더 소유하면 그만큼 이동에 방해받고 자유가 제한된다. 그렇다고 해도 이 세대가 즐거움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모든 것을 살 여유가 없거나 사고 싶지 않은 사람들은 물건을 교환해서 쓰려고 한다.
_ <3장 이동성의 흐름> 중에서
이동수단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거듭된 파괴의 역사다. 여행객은 앞서 설명한 논리에 따라 이동수단을 받아들였다. 예를 들면 철도의 등장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비용이나 거대한 괴물(기관차)이나 자연 경관에 미치는 영향 때문만은 아니었다. 여행객들은 소음, 수많은 승객과의 동행, 기차역까지의 거리 등을 이유로 변화를 거부했다. 사람들은 새로운 이동수단에 적응하고 싶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 승객들은 객실에 갇혀 있다는 느낌을 받았고, 여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곤혹스러워했다. 1840년경 기차역에 서점이 생기면서 여행객은 책을 사거나 빌릴 수 있었다. 그러자 기차 여행에서 오는 정서적·심적 충격에서 벗어나려고 출발지에서 책을 빌려 도착지에 반납하는 일이 흔해졌다. 철도회사는 승객들이 책을 읽느라 탈선이나 충돌의 위험을 잊어버리기를 바랐다. 이런 두려움은 승객을 빼앗겨 생계 수단을 잃게 될까 봐 철도의 발달을 애써 막으려 했던 마부나 뱃사공이 부추긴 것이었다.
_ <4장 파괴적 기술의 등장>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