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5784566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2-04-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해외주식투자 기초 이해하기
1. 해외주식투자는 무엇인가
1) 해외주식투자란, 우리나라 이외의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 2) 해외 주요 주식시장 소개
2. 해외주식투자의 필요성
1) 새로운 투자기회 포착 2)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 3) 글로벌 트렌드의 이해
3. 해외주식투자의 위험성
1) 주식투자의 적: 정보비대칭 2) 국경을 넘으면 위험하다: 환율 위험과 환헤지의 필요성
제2장 해외주식투자 시작하기
1.해외주식투자 계좌 만들기
1) 해외주식투자 사전 준비 2) 비대면으로 해외주식 계좌 만들기 3) 은행 방문으로 계좌개설하기 4) 주식 연결계좌 개설하기
2. 해외주식 HTS & MTS 시작하기 ·
1) 해외주식투자 전용 HTS & MTS 내려받기 2) HTS 주요 기능 소개 및 화면 만들기 3) MTS 사용하기
제3장 실전! 미국주식투자
1. 미국의 경제구조 살펴보기
1) 글로벌 소비왕국 2) 스타트업기업의 천국 3) 세계 최고의 기업 4) 기축통화국의 위엄과 주식시장 동향 5) 미국시장에서 꼭 살펴봐야 하는 경제지표
2. 미국주식시장의 구성
1) 장내시장 2) 장외시장
3. 미국의 주요 지수
1) 다우지수 2) 나스닥지수 3) S&P500지수 4) 러셀지수
4. 미국주식시장 주문하기
1) 환율/환전 2) 매매 방법 3) 미국주식시장의 세금제도
5. 미국ETF도 중요한 투자 대상
1) ETF란 2) ETF의 장점 3) ETF투자전략 4) 미국의 대표 ETF 소개
6. 미국 배당주 투자
1) 배당투자가 중요한 이유 2) 미국주식의 배당투자 3) 배당과 관련된 정보 찾기
7. 미국시장 투자정보 활용법
1) 미국주식 관련 주요 사이트 2) 종목 정보 확인(야후파이낸스 이용 방법) 3) 배당 내역 확인 4) 재무제표 확인 방법 5) 주요 경제지표 및 기업실적 발표 보는 법 6) 거래소 사이트 활용 7) 증권관리위원회 사이트로 공시 확인하기
8. 미국시장에서 주목할 종목 10
1) 애플(AAPL) 2) 마이크로소프트(MSFT) 3) 아마존닷컴(AMZN) 4) 알파벳C(GOOG) 5) 메타(FB) 6) 버크셔해서웨이(BRKa) 7) 알리바바(ADR) 8) 테슬라(TSLA) 9) TSMC(TSM) 10) JP모건체이스(JPM)
제4장 실전! 중국주식투자
1. 중국의 경제구조 살펴보기
1) 글로벌 제조업 기지 2) 미국을 능가하는 창업 열기 3) 잠재적 최고의 기업 4) 위안화와 중국경제 5) 중국시장에서 꼭 확인해야 하는 경제지표
2. 중국주식시장의 구성
1) 상하이거래소 2) 선전거래소
3. 후강퉁과 매매거래 방법
1) 후강퉁이란? 2) 상하이거래소 주요 지수 3) 후강퉁 주요 매매 방법 4) 중국주식에 대한 배당소득세
4. 선강퉁과 매매거래 방법
1) 선강퉁이란? 2) 선전거래소 주요 지수 3) 선강퉁 주요 매매 방법
5. 상하이B/선전B시장 매매 방법
6. 중국증시에서 주목해야 할 종목 10
7. 또 하나의 중국 홍콩시장 알아보기
1) 홍콩의 경제구조 2) 홍콩거래소의 구조
제5장 일본시장 알아보기
1. 일본의 경제구조 살펴보기
1) 아시아의 맹주 일본 2)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3) 일본시장에서 꼭 알아봐야 할 경제지표
2. 일본주식시장의 구성
1) 도쿄증권거래소 소속부 소개 2) 일본시장의 매매거래 방법
제6장 FX마진거래
1. FX마진거래란?
1) FX마진거래란?
2. 주문제도의 이해
1) 상품명세 2) 거래시간 3) 주문 종류 4) 주문 유효기간 5) 거래비용 6) 위탁/유지증거금 7) Rollover이자(swap point) 8) 마진콜 및 강제청산
제7장 야간선물옵션거래
1. 야간선물옵션거래란?
1) CME연계 글로벌 시장 2) EUREX연계 글로벌 시장
2. 거래제도의 이해 ·
1) CME연계 글로벌 시장 2) EUREX연계 글로벌 시장
제8장 해외주식투자 HTS 활용하기
1. 해외시장 시황분석
1) 미국주식시장 시황 2) 중국주식시장 시황
2. 경제지표 발표일정 확인(0734) ·
3. 해외주식 종목분석(2084)
1) 종목 개요 2) 재무제표 3) 주요 공시 내용
4. 해외주식 차트 보기
1) 해외주식 종합차트 2) 해외주식 업종종합차트 3) 해외주식 멀티차트 4) 해외주식 비교차트 5) 해외주식 재무차트 6) 해외주식 버블차트
5. 주요 상품시세 확인하기
1) 상품시세 확인(0760) 2) 상품차트(0761)
6. 주요 환율시세 확인하기
1) 주요 통화 기준환율 2) 환율시세 3) 환율차트 4) 환율 상대비교차트 5) 주요 통화 환율변환
7. MTS 주요 화면 소개
1) 메인 메뉴 화면 2) 배당투자 관련 화면 3) 주식차트 4) 리서치 자료 5) 해외주식분석 6) 뉴스와 경제지표
제9장 국제자본시장에서 돈은 어떻게 움직이나
1. 안전자산이냐, 위험자산이냐?
1) 안전자산과 안전자산선호현상 2) 위험자산과 위험자산선호현상
2. 돈이 움직인 흔적, 환율
1) 외환시장이란 2) 환율과 환율의 표시 방법 3)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3. 기축통화와 그 밖의 통화
1) 기축통화란 무엇인가? 2) 준기축통화의 종류 3) 약세통화국의 비애
4. 국제기구의 주요 보고서
1) 경제협력개발기구 보고서 2) IMF세계경제전망 보고서
5. 플라자합의와 환율조작국 지정
1) 플라자합의의 진행과 결과 2) 환율보고서를 통한 환율조작국 지정 3) 환율보고서 작성과 금융시장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글로벌 경제는 자유무역을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그리고 자유무역을 하기 위해 서로 경쟁력이 있고 또 잘하는 분야에서 자국의 산업을 발전시키고, 나머지 부족한 부분은 수입을 통해 충당하는 방식을 취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잘하는 산업이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따라가지 못하는 산업도 있게 되었습니다.
미국 등 기술선진국은 인공지능 AI, 바이오신약개발, 우주항공기술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앞서나가는 상황이지만 자국 내 노동임금이 비싸지면서 제조업을 해외로 내보내는 기업의 해외진출 Off-shoring 을 독려해 제조업 공동화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그에 따라 중국이 거대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면서 공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자유무역은 세계경제를 발전시킨 장점도 있지만, 특히 국가 간 경쟁력의 양극화를 불러오기도 했습니다. 쉽게 말해 고부가가치 산업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저부가가치 산업, 예를 들어 원자재 수출이나 가공무역 등은 이머징 Emerging 국가를 중심으로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이 말은 나라마다 산업 구조가 다르게 조직되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해외주식투자는 우리나라에 없는 산업에 투자할 기회를 갖고, 또 우리나라에는 없는 사업을 하는 기업에 투자기회를 얻는 것입니다.
미국에는 세계 최대의 기업, 특히 대표 IT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이 있고, 사회관계망서비스 SNS 인 메타, 트위터가 있으며 온라인 거래 서비스는 아마존이 버티고 있습니다. 이런 대표 기업은 우리나라에는 없는 기업입니다.
또한 중국기업도 거대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대표적인 기술기업인 텐센트와 알리바바, 통신기기업체인 샤오미, 바이오기업인 베이진 등도 우리나라와 경쟁 관계에 있거나 우리보다 앞서는 기업입니다.
이렇게 해외투자는 우리나라에는 없는 산업, 또는 우리나라에는 없는 사업을 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기회를 잡을 수 있어 유용합니다. _해외주식투자의 필요성
미국은 기축통화국입니다. 기축통화국은 화폐주조이익을 적극적으로 누리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화폐주조이익이란 미국통화인 달러화를 무제한으로 발권할 수 있는 이익을 말합니다. 미국은 경제위기나 코로나19와 같은 긴급사태가 발생하면 중앙은행으로부터 양적완화라는 명목으로 막대한 통화를 시중에 풀어 자금경색을 없애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위기에서 벗어납니다.
특히 2007~2008년 사이 나타난 미국의 금융위기, 그리고 2020년 3월 이후 급격히 확산된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미국은 기축통화국의 이점을 살려 막대한 돈을 풀어 경제위기를 막았습니다. 미국이 얼마나 많은 돈을 풀었는지는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대차대조표 총자산규모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_미국의 경제구조 살펴보기
미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주주자본주의가 발달한 국가이고, 이에 따라 주주친화적인 정책이 일반화한 국가입니다. 따라서 주주친화적인 정책을 잘 실천함으로써 명예를 얻고 자부심을 갖는 문화가 광범위하게 자리 잡은 곳입니다.
이로 인해 매년 조금이라도 배당을 늘려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을 높이기 위해 꾸준히 실천하는 기업이 많습니다. 설사 배당을 늘리지 못하는 경우라도 자사주를 매입해서 소각함으로써 시중에 유통되는 주식수를 줄여 기존 주주의 이익과 권리를 높여주기도 합니다.
미국시장에는 꾸준히 배당금 지급을 늘리거나 오랜 시간 배당을 이어오는 기업에 성장주, 귀족주 등의 호칭을 줘서 명예를 높이는 문화도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배당투자를 하기 좋은 시장입니다. 특히 분기배당은 물론이고 매월 배당금을 주는 월배당 주식도 있다는 점은 배당투자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요인입니다. 2022년 2월 말 현재 미국의 월배당 주식이 357개에 이를 정도로 월배당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_미국 배당주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