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쌤의 달달 한국사

노쌤의 달달 한국사

노동진 (지은이)
오래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쌤의 달달 한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쌤의 달달 한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8290108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6-01-15

책 소개

올바른 역사관을 위한 재료인 역사적 지식을 역사의 흐름과 더불어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펴낸 책이다. 시험을 위해 공부해야 할 학생뿐 아니라, 아이들에게 어떻게 역사를 가르쳐야 될지 고민하는 부모님들, 교양으로 한국사를 공부하려 하는 성인들을 위한 책이다.

목차

1일차 역사의 시작

01 |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 16
구석기 시대 / 신석기 시대 / 한걸음더

02 | 청동기와 철기 시대 22
청동기 시대(고조선의 성립, 전기 고조선) / 철기 시대(후기 고조선, 원삼국 시대) / 한걸음더

03 | 고조선과 진국 28
고조선에 대한 역사적 인식의 변화 / 우리 조상들이 믿어 온 고조선의 역사 / 실제 고조선의 역사 /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국가, 진(辰) / 한걸음더

04 | 여러 나라의 성장 38
배경 / 부여 / 고구려 / 옥저와 동예 / 연맹왕국으로 발전하지 못한 옥저와 동예 / 옥저 / 동예 / 삼한 / 한걸음더

2일차 삼국 시대

05 | 삼국의 성립 48
삼국 건국의 공통점 / 고구려의 건국 / 건국 신화 / 백제의 건국 / 건국 신화 / 신라의 건국 / 건국 신화 / 한걸음더

06 | 삼국의 발전 54
국가의 발전 과정 / 고구려의 발전 / 백제의 발전 / 신라의 발전 / 한걸음더

07 | 삼국의 항쟁 66
4세기 백제의 발전 / 발전의 배경 / 백제의 전성기 / 백제를 둘러 싼 국제 관계 / 백제의 위기 / 5세기 고구려의 전성기 / 발전의 배경 / 광개토대왕의 정복 활동 / 장수왕의 남하 정책 / 고구려의 팽창과 신라·백제의 나제 동맹 / 6세기 신라의 팽창 / 발전의 배경 / 지증왕 때의 발전 / 고대 국가를 완성한 법흥왕 / 진흥왕의 팽창 정책 / 한걸음더

08 | 가야의 역사 74
가야의 건국 신화 / 가야의 역사 / 전기 가야 연맹 / 후기 가야 연맹 / 가야의 대외 관계 /
역사에 남아 있는 가야인 / 한걸음더

09 | 삼국의 통일 78
삼국 통일을 둘러 싼 국제 정세 /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 백제와 신라의 충돌, 나당 동맹의 성립 / 백제의 멸망과 부흥 운동 /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 운동 /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 한걸음더

10 | 발해의 발전 88
발해의 건국(698) / 대조영과 발해의건국 / 발해의 발전 / 무왕, 당과 대립하며 영토 확장 / 문왕, 당과 화해하며 문물 수용 / 선왕, 해동성국 / 발해의 쇠퇴와 멸망 / 발해의 발전 / 발해의 멸망 / 발해의 정체성 / 한걸음더

11 | 통일 신라의 발전 94
신라 중대와 하대의 비교 / 삼국사기의 신라 역사 시대 구분 / 삼국유사의 구분 방법 / 신라 중대 / 신라 중대와 왕권 강화 / 주요 왕 / 신라 하대 / 하대의 특징 / 주요 왕 / 통일 신라의 문물제도 / 정치 조직 / 지방 제도 / 군사 제도 / 특징 / 한걸음더

12 | 고대의 사회와 문화 102
고대의 사회 / 고대의 문화 / 고대의 문화 교류 /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 역사서 편찬 / 불교의 발달 / 도교와 풍수지리설 / 발해의 문화 / 한걸음더

13 | 후삼국과 고려 110
통일 신라의 혼란과 후삼국 / 신라 하대의 혼란 / 견훤과 후백제 / 궁예와 후고구려 / 왕건과 고려 / 고려의 후삼국 통일 / 한걸음더

3일차 고려 시대

14 | 고려의 발전 118
태조 왕건의 정책 / 광종의 정책 / 성종의 정책 / 한걸음더

15 | 고려의 문물 제도 126
고려의 제도 정비 과정 / 중앙 정치 제도 / 지방 제도 / 관리 등용 제도 / 군사 제도 / 한걸음더

16 |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몰락 132
문벌 귀족 / 이자겸의 난(1126) / 묘청의 난(1135) / 무신정변(1170) / 한걸음더

17 | 무신의 집권 136
무신정변의 배경과 전개 / 무신 정권의 변화(1170∼1270) / 한걸음더

18 | 고려의 대외 관계 142
고려 대외 관계의 특징 / 거란과의 전쟁 / 윤관의 여진 정벌(1107) / 몽골과의 전쟁(1231∼1270) /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 / 한걸음더

19 | 고려의 사회와 문화 148
고려 사회의 특징 / 고려의 문화 / 한걸음더

20 | 원의 간섭과 공민왕의 개혁 156
원의 내정 간섭 / 공민왕의 반원 자주 정치(재위: 1351∼1374) / 한걸음더

21 | 고려의 멸망과 조선 건국 162
우왕의 즉위와 최영의 집권 / 위화도 회군과 고려의 멸망 / 한걸음더

4일차 조선 시대

22 | 조선의 발전 168
조선의 건국과 태조 / 왕자의 난과 태종 / 세종 / 세조 / 성종 / 한걸음더

23 | 조선의 문물 제도 174
조선의 통치 제도의 특징 / 중앙 정치 조직 / 지방 제도 / 관리 등용 제도 / 군사 제도 / 한걸음더

24 | 민족 문화의 발전 180
민족 문화 발전의 배경 / 민족 문화의 발전 / 한걸음더

25 | 사림의 대두와 사화 184
사림의 정치적 성장 / 사화의 발생 / 사림의 집권과 분화 / 한걸음더

26 | 조선의 대외 관계 190
조선 대외 관계의 특징 / 명과의 관계 / 여진과의 관계 / 일본과의 관계 / 류큐와 동남아시아와의 관계 / 한걸음더

27 | 임진왜란 196
임진왜란의 배경 / 전개 과정(1592∼1598) / 결과와 영향 / 전후 처리와 일본과의 국교 회복 / 한걸음더

28 | 광해군과 인조 202
시대적 배경 / 광해군의 중립 외교 정책 / 정묘호란(1627) / 병자호란(1636) / 한걸음더

29 | 예송과 환국 208
서인과 남인의 대립 / 예송논쟁 / 환국 / 한걸음더

30 | 조선의 중흥과 탕평 정책 214
탕평 정책의 배경 / 숙종의 탕평론 / 영조의 탕평 정책 / 정조의 탕평 정책 / 한걸음더

31 | 세도 정치 218
세도 정치의 의미와 배경 / 세도 정치의 전개 / 삼정 문란과 민란의 발생 / 한걸음더

32 |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의 발전 222
상품 화폐 경제 발달의 배경 / 상품 화폐 경제의 주역들 / 상품 화폐 경제의 무대 / 한걸음더

33 | 조선 사회의 변화 228
조선의 신분 제도 / 신분제의 변화 / 서원과 향약 / 서민 문화의 발달 / 한걸음더

34 | 실학의 발전과 국학 연구 234
실학의 선구자 / 경세치용 학파(중농학파) / 이용후생 학파(중상학파) / 국학 연구 / 한걸음더

35 | 유학의 발전 242
고대의 유학 / 고려의 유학 / 조선의 유학 / 성리학의 교조적 성향과 새로운 사상의 모색 / 한걸음더

36 | 불교의 발전 250
고대의 불교 / 고려의 불교 / 조선의 불교 / 한걸음더

37 | 토지 제도 258
배경 / 삼국 시대의 토지 제도 / 통일 신라의 토지 제도 / 고려의 토지 제도 / 조선의 토지 제도 / 한걸음더

38 | 수취 제도의 변화 264
전근대 수취 제도의 특징 / 삼국과 통일 신라의 수취 제도 / 고려의 수취 제도 / 조선의 수취 제도 / 조선 중기(16세기) 수취 제도의 문란 /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 한걸음더

5일차 개항기

39 | 흥선대원군의 시대 276
흥선 대원군의 집권(1863) /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 흥선대원군의 하야와 민씨 정권의 등장(1873) / 한걸음더

40 | 조선, 개항하다 282
강화도 조약 체결의 배경 / 강화도 조약(1876) / 서양 각국과의 수교 / 한걸음더

41 | 개화 정책을 둘러 싼 혼란 288
배경 / 개화 정책의 추진 /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 / 한걸음더

42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294
임오군란(1882) / 갑신정변(1884) / 한걸음더

43 | 갑신년과 갑오년 사이 300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사이의 10년 / 한걸음더

44 | 격동의 갑오년, 을미년 306
갑오년(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청일전쟁) / 을미년(청일전쟁의 종전, 을미사변, 을미개혁) / 한걸음더

45 |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316
아관파천과 독립협회 설립 / 대한제국의 선포(1897)와 광무개혁 / 독립협회의 활동(1896∼1898) / 한걸음더

46 | 국권 피탈 과정 322
러일 전쟁(1904∼1905)의 발발 / 한·일 의정서(1904.2) / 제1차 한일 협약(1904.8) / 러일 전쟁의 진행과 일본의 외교전 / 을사 조약의 체결(1905.11) / 헤이그 특사 파견과 정미 조약의 체결(1907) / 기유각서와 경찰권 박탈 / 한일 병합 / 한걸음더

47 | 애국계몽운동과 의병투쟁 328
배경 / 애국계몽운동 / 의병투쟁 / 한걸음더

48 | 개항기의 경제 338
열강의 경제적 침탈 / 경제적 구국 운동 / 한걸음더

49 | 개항기의 사회 변화 344
배경 / 근대 교육 제도의 도입 / 언론 기관의 발달 / 국사와 국어 연구 / 한걸음더

6일차 일제강점기

50 | 일제의 통치 정책 354
무단 통치기(1910년대) / 문화 통치기(1920년대) / 민족말살통치기(1930∼40년대) / 한걸음더

51 | 1910년대의 민족 운동 360
국내 항일 투쟁 / 국외 지역의 독립 운동 기지 건설 노력 / 한걸음더

52 | 3·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368
3·1 운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 한걸음더

53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372
임시정부의 활동 / 임시 정부의 위기와 분열 / 새로운 방향의 모색 / 임시 정부의 재기 /
중국 본토의 다른 독립 운동 단체와의 관계 / 한걸음더

54 | 1920년대의 민족 운동 382
국내의 항일 운동 / 6·10 만세 운동(1926)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 국외의 항일 운동 / 한걸음더

55 |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 392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 / 노동 운동의 전개 / 농민 운동 / 다양한 사회 운동의 전개 / 한걸음더

56 | 민족 유일당 운동과 신간회 398
신간회 성립의 배경 / 신간회의 성립과 활동 / 한걸음더

57 | 의열 투쟁의 전개 402
의열단 / 한인 애국단 / 개별적인 의열 투쟁 / 한걸음더

58 | 1930년대 이후의 민족 운동 406
1930년대의 만주 / 1930년대 이후의 중국 관내 / 한걸음더

59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414
일제의 문화 정책 / 국사 연구 / 국어 연구 / 문학과 예술 / 한걸음더

7일차 현대

60 | 해방과 분단 424
건국 준비 위원회와 인민 공화국 / 모스크바 3상 회의와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 / 미·소 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좌·우 합작 운동 / 국제 연합의 한반도 문제 결정 / 남북 협상과 제주 4·3 사건 / 한걸음더

61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436
5·10 총선 / 정부 수립 / 정부 수립 이후의 상황 / 친일파 청산의 실패와 농지 개혁 / 한걸음더

62 | 북한의 변화 440
소련군의 점령과 북조선 임시 인민위원회 / 정부 수립을 위한 움직임 / 김일성 정권의 기본 정책 / 한걸음더

63 | 6·25 전쟁의 전개 446
전쟁 전야 / 전쟁의 전개 과정 / 한걸음더

64 | 이승만 정부 452
이승만 정부의 성립 / 초대 대통령 이승만과 발췌 개헌(1952) / 제2대 대통령 이승만과 사사오입 개헌(1954) / 한걸음더

65 | 4·19 혁명과 장면 정부 458
4·19 혁명의 배경 / 4·19 혁명의 전개 / 4·19 혁명의 의의 / 허정 과도 내각과 개헌 /
장면 정부의 수립과 주요 정책 / 한걸음더

66 | 박정희 정부 464
5·16 군사 정변(1961) / 군정 실시(1961~1963) / 민정 이양과 박정희의 대통령 당선(1963) /
경제 개발 추진과 한·일 협정, 베트남 파병 / 삼선 개헌(1969) / 10월 유신(1972) / 10·26 사태 / 한걸음더

67 | 전두환의 등장과 5·18 민주화 운동 474
박정희의 죽음과 전두환의 등장(1979) / 신군부의 권력 장악과 광주 시민의 저항(1980) / 전두환 정부의 성립 / 전두환 정부의 정책 / 6월 항쟁과 직선제 개헌 / 헌법 개정의 역사 / 한걸음더

68 | 민주화 이후의 정부 482
노태우 정부(1988∼1993) / 김영삼 정부(1993∼1998) / 김대중 정부(1998∼2003) / 한걸음더

69 | 통일을 위한 노력 488
이승만 정부 / 장면 정부 / 박정희 정부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김영삼 정부 / 김대중 정부 / 노무현 정부 / 한걸음더

70 | 경제 성장과 사회의 변화 496
해방 직전의 남북한 지역의 경제 상황 / 해방 직후의 경제 혼란(1945∼1948) /
이승만 정부와 원조 경제(1948∼1960) / 장면 정부와 경제 개발 계획 수립(1960∼1961) /
박정희 정부와 경제 개발의 추진(1961∼1979) / 전두환 정부(1980∼1988) / 노태우 정부(1988∼1993) / 김영삼 정부(1993∼1998) / 김대중 정부(1998∼2003) / 노무현 정부(2003∼2008) / 이명박 정부(2008∼2013) / 박근혜 정부(2013~2018) / 한걸음더

저자소개

노동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한국사를 공부했습니다. 어릴 때부터 역사를 좋아하고 날마다 역사책을 읽더니, 결국 업(業)이 되어 종로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