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탄소 기술관료주의

탄소 기술관료주의

(동아시아 탄소 중독의 기원과 종말을 찾아서)

빅터 샤우 (지은이), 이종식 (옮긴이)
빨간소금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탄소 기술관료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탄소 기술관료주의 (동아시아 탄소 중독의 기원과 종말을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91383454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4-04-24

책 소개

한때 동아시아 최대 탄광이었던 푸순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화석 연료에 대한 우리의 지독한 의존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펴본다. 제국 일본에서 공산 중국에 이르기까지 확연히 다른 여러 정치 체제를 가로지르는 책이다.

목차

추천사
한국 독자들에게

서론 탄소 기술관료주의
1장 수직의 자연
2장 기술의 대업
3장 불안의 연료
4장 추출의 제국
5장 재건의 민국
6장 혁명의 공업
결론 한계의 고갈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빅터 샤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대학교 과학사학과 부교수. 전 지구적 맥락에서 20세기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기술사, 과학사, 공업사, 에너지사, 노동사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탄소 기술관료주의》는 2022년에 발간된 저자의 첫 번째 연구서로, 미국 아시아학회 존 휘트니 홀 저술상, 미국 외교사학자협회 마이클 헌트상 등을 수상하며 그 학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근현대 중국 공업심리학의 역사적 발전과 역할을 중심으로 《인간이라는 요소: 과학, 노동, 생산 정치의 역사(The Human Factor: A History of Science, Work, and the Politics of Production)》(가제)라는 두 번째 연구서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이종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공과대학교 / 인문사회학부 과학사 담당 조교수 중국 및 베트남의 과학사, 의학사, 동물사 연구자.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 과학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은 책으로 『벌거벗은 동물사』, 옮긴 책으로 『붉은 녹색혁명』, 『탄소 기술관료주의』, 『리센코의 망령』, 『사회정의와 건강』 등이 있다. 현재 영문 저서 『인민을 넘어서는 인민공사: 마오 시대 중국의 수의 노동자와 비인간 동물들(More-Than People’s Communes: Veterinary Workers and Nonhuman Animals in Mao-Era China)』을 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의 근대적 산업화의 기원을 찾고 싶었다. 대신 그 끝의 시작을 발견했다. 2011년 여름, 탄광도시 푸순(撫順)을 처음 방문했다. 그전부터 나는 약 한 세기 전 일본 기술관료들이 개발한 어마어마한 푸순 노천광에 관한 역사적 사진과 문헌을 접했다. 현장은 기계가 만든 광대하고 공업화한 풍경이었다. 바위를 깎고 땅을 파내 구멍을 만드는 대형 굴착기, 전기 및 증기 동력삽, 그리고 덤프트럭. 1928년에 푸순을 찾은 일본 시인 요사노 아키코(與謝野晶子, 1878~1942)는 노천광을 “마치 하늘을 향해 커다란 아가리를 열어젖힌 지상의 괴물과도 같은 무시무시하고 기괴한 형상”이라고 묘사했다. 내 눈으로 보기에도 푸순 탄광은 과연 대단했다.


불길이 퍼지기 전에 상갱의 승강구를 이용해 갇힌 광부들을 대피시키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승강기가 잔해에 걸려 움직이지 않아서 소수의 중국인 광부만을 구출할 수 있었다. 그러자 “용기 있게 방화복을 갖춰 입고 산소통을 짊어진 사람들”로 구성된 두 구조팀이 모래 주입식 채탄 장비를 작동할 때 필요한 별도의 굴착로를 따라 지하로 내려갔다. 막장에 도착하자마자 “순식간에 연기가” 구조대원들을 “질식시킬 듯한 기세로 덮쳤다.” 대원들은 “더 이상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것 같다고 느껴질 때까지 생존자를 찾아 울부짖었다. 얼마 뒤 “강제 후퇴 명령이 떨어졌다.” 탄광 경영진은 결국 공기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통제하기로 하고 지표면의 모든 갱구를 순차적으로 봉쇄하도록 명령했다. 수십 년 후 한 생존자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악마 같은 왜놈들은 석탄을 지키기 위해 중국인 (광부)의 목숨은 아랑곳하지 않고, 땅 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강제로 진흙을 발라 갱구를 막게 했습니다. 그 때문에 지하에 있는 노동자들이 도저히 탈출할 수 없었던 겁니다.” 총 170명의 광부가 구조되었고, 917명의 목숨이 사라졌다. 이 가운데 일본인이 17명, 중국인이 900명이었다.


마을 주민들이 모였다. 모더성은 주변을 살폈다. 군인들이 주민들을 에워싸고 있었다. 한편에는 “검은 천으로 덮은 카메라처럼 보이는 장치”가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한 장교가 통역을 대동하고 앞으로 나와 주민들에게 연설하기 시작했다. 관동군은 그저 이 지역의 “적비(赤匪)”로부터 주민들과 그들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온 것이라고 사람들을 안심시켰다. 그는 다음과 같이 약속했다. “우리는 여기 핑딩산에서 전투를 치를 것입니다. 그러나 적비만 몰아내고 나면 여러분을 댁으로 돌려보낼 것이니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연설을 마친 뒤 장교는 주민들에게 사진을 찍어야 하니 덮개를 씌운 장치 쪽을 바라보도록 지시했다. 모더성은 그 뒤 “총알이 비처럼 사람들의 몸에 떨어지는 소리”가 들렸다고 회고했다. 비명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총소리가 그치자, 군인들은 쓰러진 사람들 사이사이로 아직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총검을 내리꽂았다. “엄마를 찾으며 울부짖는” 아이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총격이 시작되자마자 땅바닥에 몸을 던진 모더성은 눈을 감고 죽은 척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