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5848399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8-08-10
책 소개
목차
[1] 신체시론
1. 문투(文鬪) 형식으로서의 신체시․14
2. 신체시의 유형과 근대시적 징후․14
3. 신체시의 명칭과 효시․17
4. 신체시의 양식계보․20
5. 신체시의 형태적 특징․22
6. 교시성과 포에지(poésie)․25
7. 신체시의 성과와 한계․26
[2] 창가론
1. 창가의 개념과 형식․30
2. 창가의 형성과 전개양상․33
3. 육당의 창가․36
4. 가창(歌唱) 장르의 성격과 기능․37
5. 창가의 장르선택 배경․40
6. 창가의 시사적 의의․41
[3] 언문풍월론
1. 언문풍월의 기원․44
2. 언문풍월의 형태적 특징․46
3. 언문풍월의 선행양식․51
4. 창작계층과 문체혁신․54
5. 창작 및 전개양상․57
6. 언문풍월의 의의와 시적 가능성․63
[4] 자유시론
1. 근대시로서의 자유시․66
2. 자유시의 기점론․68
3. 개화기 변조체 시가와 자유시․70
4. 최초의 자유시, 「태백산의 四時」․73
5. 자유시의 요람, <학지광>․78
6. <청춘>의 자유시․82
7. 자유시 논의와 평가․86
[5] 산문시론
1. 산문시의 개념․88
2. 산문시와 자유시․89
3. <소년>의 산문시 수용양상․93
4. <학지광>의 산문시 ․98
5. <태서문예신보>의 산문시․109
6. <청춘>의 산문시․114
[6] 이야기시론
1. 이야기시의 형태적 특성․118
2. 이야기시의 계보․119
3. 서간체 및 대화체․120
4. 회상체 및 설화체․123
5. 실화체 및 우화체․128
6. 이야기시의 시적 가능성․131
[7] 민요시론
1. 민요시의 형성배경․134
2. 민요시의 개념․138
3. 민요시의 특징․139
4. 민요시의 시사적 의의․147
[8] 격조시론
1. 격조시의 장르적 성격․152
2. 격조시의 창작배경․153
3. 정형시론으로서의 격조시론․155
4. 격조시의 창작양상․159
5. 격조시의 성과와 한계․164
[9] 서사시론
1. 서사시의 양식계보․168
2. 서사시의 개념과 특성․170
3. 서사시의 기원과 전개․174
4. 한국 서사시의 창작양상․175
5. 「국경의 밤」과 서사시 양식론․177
6. 서사시의 가능성과 전망․181
[10] 현대시조론
1. 현대시조의 기원․184
2. 개화기 시조의 형태적 특징․187
3. 육당시조의 개신적 성격․190
4. 시조부흥 운동기의 시조․192
[11] 단편서사시론
1. 단편 서사시의 기원․200
2. 단편 서사시의 형태적 특성․201
3. 예술대중화론과 단편 서사시․205
4. 카프시와 단편 서사시․209
5. 유이민시와 단편 서사시․214
6. 단편 서사시의 시적 가능성․218
[12] 4행시론
1. 4행시의 개념과 특징․220
2. 1910년대의 4행시․221
3. 1920년대의 4행시․226
4. 1930년대의 4행시․231
5. 1940년대 이후의 4행시․237
6. 4행시의 시사적 의의․239
[13] 서정시론
1. 서정시의 기원과 개념․244
2. 서정시의 계보․244
3. 음악성의 구현․248
4. 언어의 경제학, 단시․250
5. 유기적 구조․254
6. 주관성, 비논리성, 순수성의 시학․256
[14] 초현실주의 시론
1. 다다이즘의 기원과 특징․262
2. 한국 시단에서의 다다이즘․265
3. 초현실주의 기원과 배경․268
4. 초현실주의 기법과 원리․271
5. 초현실주의의 수용과 전개․272
6. 초현실주의의 성과와 전망․277
[15] 풍물시론
1. 풍물시의 기원과 개념․280
2. 풍물시와 기행시․281
3. 1930년대의 풍물시․283
4. 1940년대 이후의 풍물시․290
5. 풍물시의 시사적 의의와 전망․294
[16] 무의미시론
1. 무의미시의 개념․298
2. 무의미시의 창작동기․299
3. 무의미시의 원리․303
4. 심상화된 무의미시․308
5. 음향화된 무의미시․310
6. 무의미시의 성과와 한계․313
[17] 풍자시론
1. 풍자시의 개념․316
2. 풍자의 역사와 전개양상․318
3. 송욱의 사회풍자시․320
4. 전영경의 인물풍자시․324
5. 김수영, 김지하의 정치풍자시․328
6. 신동문, 이상화의 정치풍자시․330
[18] 해체시론
1.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334
2. 해체시의 형성배경․335
3. 소재의 텍스트화․337
4. 매체 개방주의․341
5. 주체의 죽음과 패러디․344
6. 반미학주의․346
7. 해체시의 성과와 한계․350
[19] 북한시론
1. 북한시의 기원과 전개양상․354
2. 시양식 분류기준과 개념․354
3. 서정시 및 서사시의 양식적 특징․356
4. 서사시, 서정서사시, 담시․362
5. 송시, 벽시, 풍자시, 철리시․364
6. 정론시, 풍경시, 기타․365
7. 북한시의 특징과 한계․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