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5849237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5-20
책 소개
목차
독자에게
추천사
들어가는 글
1부 우리는 어디로
01 자본주의는 어디로
02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화사회로
03 제4차 산업혁명
04 한국의 지식정보화로의 전략적 출발
05 경쟁에서 상생 협력의 시대로
06 에너지 전환의 시대로
07 꿈의 사회로
08 메타버스로···
09 국제화와 세계화로
10 수요자 중심의 사회로
11 수직 사회에서 수평 사회로
12 개혁 및 혁신의 시대로
13 실패의 자산화 시대로
14 초고령사회로
15 소프트 파워가 중요해지는 사회로
16 한류와 한국의 소프트 파워
17 산업 한류
18 경영에서 마음이 중요해지는 사회로
2부 새로운 사회의 바람직한 인재의 소양들
01 뇌의 특성을 이해하고 훈련 시켜야
02 꿈과 상상력, 열정, 도전정신
03 꾸준히 공부해야
04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05 직관력과 통찰력 그리고 맥락지능
06 융합적 인재
07 폴리매스형 인재
08 실용지능을 키워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신자유주의 자본주의로 인해 양극화가 심해지고, 중산층이 위축되며, 서민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기회의 불평등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효율적인 면도 있지만, 경제적 약자에게 정의롭지 못한 상황이 확대되고 있어서 국가는 더 부자가 되는 가운데 대다수 국민은 더 가난해지는 흐름이 빨라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신자유주의가 성행한 미국의 문제이기도 하다.
정부와 기업체들이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도와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지식, 기술, 마음의 준비, 적응력을 높이도록 전략을 만들어 가야 한다. 노동자들도 변화가 천천히 진행된다면 다행이지만 변화가 빠르고 갑작스러우며 광범위하고 근본이 변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긍정적 마음으로 열정을 가지고 적응하고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그래서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하버드대학교가 강조했던 21세기의 바람직한 인재에는 ‘꾸준히 공부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잘 음미해야 한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세대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노인 세대가 지배하는 제론토크라시(gerontocracy)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역사적으로 노인 세대가 지배하는 사회는 쇠퇴하였다고 한다. 로마의 중의원과 러시아 공산당의 지도층이 좋은 예이기도 하다. 일본의 지도층들도 나이가 많은 편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변화에 적응하는 노력이나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노인 세대들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며, 말하고 싶은 것만 말하려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에 갇혀 꼰대 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