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쉽게 배우는 수학
· ISBN : 9791158511418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9-07-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이 책 사용설명서
0. 느티나무 사거리에서 있었던 일
그날의 신호등 / 누가 빨리 가나 / 고속도로는 왜 막히는 걸까? / 수학으로 멍 때리기
1. 여행자를 위한 길 안내서
급할수록 돌아가라? 그럴 리가… / 택배가 멈춰서는 그곳이 알고 싶다 / 지리적 중심지는 어떻게 찾을까? / (비눗)물은 답을 알고 있다! / 문제에 따라 답은 다르다 / 우리의 삶은 너무나 복잡하다 / 세일즈맨의 친구들
2. 달걀 어디까지 구워봤니?
달걀 굽기와 점 찍기 / 자명(?)한 경우들에 대하여 / 프라이팬과 휴대폰 화면의 공통점 / 케플러와 우리의 공통점 / 코딩의 진짜 의미 / SOS / 모스부호 / 코드 도 자정작용을 할까? / 해밍의 코드 / 고요속의 과녁 / 코드의 쓰임 / 사과 쌓기 현황
3. 마법의 정사각형으로 내 몸 탐색하기
마법의 정사각형 / 눈 치우기와 벼 수확하기 / 마방진의 왕, 라돈 / 우리 몸 사진 찍기 / 또 다른 역문제들
4. 근사한 근사
<히든 피겨스>와 오일러에 대한 오해들 / 인간의 직선으로 본 자연의 곡선 / 인간이 탄 우주 캡슐 / 우리는 모두 근사의 천재 / 근사한 속임수, 근사 / 근사가 꼭 필요해? / 111, 222, 333… / (41/2장) 관람차의 관람차의 관람차 / 관람차가 기 본 단위인 근사, 푸리에
5. 더 나은 셀프카메라를 위한 설명서
좋은 사진을 찾는 법 / 사진= 산 / 도대체 어디부터가 산이야? / 은밀하게 더 선명하게! / 근사한 푸리에와 그 친구들
6. 차원이 다른 별의별 이야기
네 별은 어디 있니? / 항상 두 개면 돼? / 2차원 먹거리 좌표계 / 우리가 살고 있는 곳 / 우리들의 데이터 / ‘빅’데이터 / 개인의 취향 / 5와 2의 공통점 / 너와 나 의 유사성 / 방정식 서명
7. 정말 이기적인가?
비둘기파와 매파 / 생존게임 / 용의자 A와 B / 신뢰도 진화시킬 수 있을까? / 인생의 여러 순간들 / 너와 나의 연결고리 / 선택과 집중 / 수학에 관한 생각 / 그 것이 알고 싶다
8. 순서가 중요할까?
숫자에서 벗어난 수학 / 김 모 양의 가계도 / 카드 돌리기 / 오래 쓰는 방법에 관 한 고찰 / 별걸 다 줄인다! / 오래 타기의 기술 / ㄱ, ㄴ, ㄷ / 잠깐의 깊은 수학 이 야기 / 왼쪽과 오른쪽, 오른쪽과 왼쪽 / 알함브라궁전의 대칭 / 뭔가 다른 느낌 적인 느낌 / 무엇이 다른가? / 얼마나 될까? / 대칭으로 세상 바라보기
9. 다 하지 못한 수학으로 멍 때리기
사과 컴퓨터 그리고 열대어 / 기본적으로 비슷한 문제 / 수학자의 협곡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엘리베이터는 왜 그 모양일까? / 흐트러지든지 말든지 / 개미들의 휘어 있는 세상 / 데이터 주무르기 / 개미 표류기 / 수학의 여러 가지 얼굴 / 그럼 어떡하죠?
에필로그: 끝, 또 다른 시작
작가의 말: 수학이 여러분과 함께하길
감사의 글
추천 목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수학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이 아니다. 그건 사실 불가능하다. 내가 평생 배운 수학에 관한 이야기를 다 한다 해도 지구 반대편에는 나와 전혀 다른 종류의 수학을 다루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한 수학자는 “수학의 본질은 그 자유로움에 있다”고 했다.
-프롤로그
강조하고 싶은 것은 어려워 보이는 수학 수식들 모두가 눈에 보이는 것처럼 어려운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수식들은 알고 보면 (한글로 정리한) 우리의 생각을 (수식으로 정리해서) 종이에 옮겨 적은 때가 많다. 이는 결코 수학을 잘하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 마주치는 상황에 대해서 생각해보되 한 걸음만 더 논리적으로 생각을 이어간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
_ 0. 느티나무 사거리에서 있었던 일
인간의 행동은 곡선에 가깝다. 자유롭게 사고해 나의 길을 정하고 다른 이들이 간 길을 그대로 따르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는 (본능적으로) 다른 인간의 행동이나 생각을 이해하고 싶어한다. 그런데 이럴 때 우리는 직선적으로 다른 인간을 이해한다. 다시 말해 우리 모두는 곡선처럼 살고 싶지만 우리 모두는 다른 사람들이 직선처럼 살고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다.
_ 4. 근사한 근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