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흑방의 선물

[큰글자책] 흑방의 선물

(권구현 시선집)

권구현 (지은이)
글로벌콘텐츠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30원
20,2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흑방의 선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흑방의 선물 (권구현 시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5852102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07-05

책 소개

큰글한국문학선집 32권. 권구현 시선집. 제1부 ‘흑방(黑房)의 선물’에는 시조형의 단곡(短曲) 50편, 제2부 ‘무주혼(無主魂)의 독어(獨語)’에는 「영원(永遠)의 비애(悲哀)」·「주악 奏樂」·「나그네의 길」·「밤낫 괴로워」 등 모두 97편의 시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

가신 님의 묘(墓) 위에서13
가을 거리에서15
가지이다17
게집과 노동자(勞動者)19
경험(經驗)21
고독자(孤獨者)여22
관악(觀樂)과 고독(孤獨)23
구천동 숫장사25
굳어진 그림자28
그대는 별이오니30
꾀꼬리집31
꾀는 셈인가32
나그네의 길33
나아가자34
낙동강(洛東江)의 봄비36
낙원(樂園)39
남국(南國)의 봄을 찾아40
너의 갈 길은41
농촌서품42
님45
님에게46
님이여48
다이아몬드49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一52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53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基三54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基四55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五56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六57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七58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八59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九60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61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一62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二63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三64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四65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五66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六67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七68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八69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十九70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71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一72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二73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三74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四75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五76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六77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七78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八79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二十九80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81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一82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二83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三84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四85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五86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六87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七88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八89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三十九90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91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一92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二93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三94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四95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五96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六97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七98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八99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四十九100
단곡오십편(短曲五十篇) 其五十101
단상수제(斷想數題)102
단장(斷章) 基一107
단장(斷章) 基二109
돌아를 가자111
도수장(屠獸場)113
돈놀이(만시[漫詩])116
떡방아118
뜻 아닌 이 땅에120
여명(黎明)121
마음122
먼저 간 벗아124
무주혼(無主渾)의 독어(獨語)126
바다128
밤낮 괴로워130
벗에게 부치는 편지132
벗이여134
별불135
병상(病床)에서136
봄동산에서138
봄들(春野)140
봄맞이141
붉게 타는 감잎143
사랑의 꽃145
산중처녀(山中處女)의 노래146
새날148
새로 일어나는 힘151
새벽까지154
새해 또 새해156
새해를 맞이하는 동무여158
생명(生命)의 행진(行進)162
생명화(生命花)163
선동(煽動)164
소녀(小女)의 화상(畵像)165
순정(殉情)의 꽃166
시조삼장(時調三章)168
시조삼장(時調三章)170
시조삼장(時調三章)172
시조사장(時調四章)175
시조육장(時調六章)177
아기180
아라사새악씨(一)182
아라사새악씨(二)184
아아 그대야186
아기의 자랑187
여름길189
연심(戀心)190
연춘곡(戀春曲)192
열 손가락194
영생화(永生花)?197
영원(永遠)이 비애(悲哀)198
우리 씨암닭199
우음(偶吟)201
이별의 찬미202
잊어지어라204
입(口)205
자중(自重)207
전원(田園)으로209
절로 우는 심금(心琴)211
조그마한 슬픔219
주악(奏樂)221
진주(眞珠)222
천연동(天然洞)의 풍경(風景)223
청대숲228
추방(追放)230
춘적수제(春笛數題)232
파산(破産)(1)236
파산(破産)(2)238
편련(片戀)240
폭풍아 오너라241
폭풍우(暴風雨)의 마음243
폭풍우(暴風雨)의 밤245
허무(虛無)246
현상(現想)248
희망의 노래250

지은이: 권구현(權九玄, 1898~1944)253
해설: 흑방(黑房)의 선물255

저자소개

권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98년 8월 17일 충북 영동군 양강면 산막리 479번지에서 출생했다. 영동공립보통학교를 1915년에 졸업했고, 그 후의 학력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그의 시집 ≪흑방의 선물≫에 동경 체험을 수록한 것을 보면 1923년에서 1926년 사이에 일본에서 유학했음을 알 수 있다. 유가족들은 그가 동경제국대학에서 수학했다고 하지만, 기록이 남아 있지 않고, 동경미술학교를 다녔다고 하지만 이것 역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다만 미술 평론과 개인 미술전을 개최한 이력을 통해 볼 때 그가 본격적인 미술 수업을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소리[唱]에도 일가견이 있어 유랑 극단에서도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다재다능한 재주와는 달리 그의 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 홍효민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술과 방랑으로 세월을 보냈”고, “아내를 술집으로 내돌리는”, “문인으로서는 가장 고독하게 또는 가장 비참”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 1932년 영동으로 귀향했다가 만 4년 동안 서울에 올라오지 못한 이유가 여비가 없었기 때문이고, 귀향한 이유도 가난 때문이었다고 적고 있다. 귀향 후 흑성은 문학보다 미술에 전념해 1933년, 1934년에 걸쳐 동양화부에 입선했다. 그 후에도 그의 방랑은 계속되어 1938년 순천에서 박봉이와 동거 중에 자살해 만 40세로 삶을 마친다. 그는 1925년 8월 염군사와 파스큘라(PASKYULA)의 통합으로 발족된 카프의 맹원으로 문단에 발을 들여놓는다. 그 후 1927년 카프 내부의 아나키스트와 카프 강경파의 논쟁으로 권구현은 그 조직에서 이탈해 1928년 1월 3일 이향(李鄕), 이홍근(李弘根) 등과 함께 ‘조선자유예술연맹’을 서울 낙원동의 수문사에서 조직한다. 권구현은 김화산, 강허봉, 이향, 이홍근 등과 동지의 입장에서 이론을 펼쳤지만, 실제 작품 활동에서는 춘원의 영향이 발견된다. 그는 시조와 자유시를 창작하게 되는데, 이는 춘원과 김화산의 영향을 받은 것을 증명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