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

장형지, 박성만, 황요한, 이명관, 전문기, 이혜진, 김지은, 윤태진, 임재현, 김정아 (지은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9116919227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사회 전반에서 높은 관심을 가진 디지털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관련 수업설계의 다양한 사례들은 학술 연구 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1부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교육
01장 디지털리터러시 개념
02장 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교육
03장 ESP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04장 EGP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2부 디지털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영어 교수·학습
05장 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읽기 교수·학습
06장 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듣기 교수·학습
07장 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쓰기 교수·학습
08장 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말하기 교수·학습
09장 디지털리터러시와 영문법 교수·학습

3부 디지털리터러시와 디지털 윤리
10장 교육에서의 디지털 윤리

찾아보기

저자소개

장형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선문대학교 글로벌관광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난 6년간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편집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학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연구분야는 문화간의사소통, ESP 학습자 대상연구, 테크놀로지 기반의 영어교육 연구이고, ‘문화해독력(cultural literacy)향상을 위한 문화기반 교양영어수업 설계’ ‘Capstone Design을 바탕으로 한 문화간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비즈니스 영어독해 수업’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PBL 기반 ESP 수업 설계’ 그리고 ‘인공지능 Chatbot기반의 관광영어 수업이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신진연구, 중견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의 ESP 영어교육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전문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멤피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인지심리학(언어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컴퓨터 언어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지능형학습시스템,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텍스트 이해 및 처리, 텍스트 정합성과 응집성, 코퍼스언어학, 인지과학, 연구방법론, 영어교육 등이다. 최근에 영어 텍스트 분석 시스템인 TEES, 한국어 텍스트 분석 시스템인 Auto-Kohesion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유형의 영어 및 한국어 코퍼스 자료들을 분석하였고, 현재 한국어 빅데이터 분석 및 평가 시스템인 DEUS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펼치기
박성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학교(McGill University)에서 응용언어학(외국어교육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영어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온라인 및 VR활용 영어교육, 질적 연구방법론, 이중언어 및 다중언어 교육 및 발달, 한국과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현상, 교육학적 사회언어학 등이다.
펼치기
황요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아 대학교에서 영어교육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전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AI 기술과 메타버스가 영어 교육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탐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현재 연구재단의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 (영어 비대면 말하기 인터뷰 평가의 개발: 인터뷰 평가에서의 AI 및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 모색)과 융합연구 지원사업 (교사지원 AI 시스템 개발과 효과성 검증: 2xAI(eXplainable & eXchangeable)설계를 중심으로)에 참여 중이다. 최근 저서 “불길하면서도 매혹적인 메타버스와 ChatGPT”와 “영어교육 메타버스로 날개를 달다: AI, METAVERSE, ICT를 활용한 영어-교수 학습 설계”를 공동 집필하였으며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영어교육에 관련한 연구 논문은 ‘Computers &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Language and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등 다양한 국제 저명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펼치기
이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에서 제2언어 교육(Foreign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원광대학교 영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메타버스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교육, 인지정보 처리 과정을 접목한 교육 콘텐츠 설계, 텍스트 마이닝 시계열 분석, 교사 교육 등이다. The Honor Society of Phi Kappa Phi 및 Golden Key International Honour Society 회원이며, TESOL NNEST of the Month Blog 이달의 인물로 선정되었고, 한국연구재단 지원사업으로 중등영어 임용시험 어플인 ONEPASS 개발, 메타버스 영어교육 선도전략, 블록체인 디지털 오픈배지, 생성형 AI와 서비스러닝 등의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모든 학습자가 행복할 수 있는 EDUCATION 5.0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이명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응용영어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교육, 연구 방법론, 플립러닝 기반 영어교육, 협력학습 등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으로 ‘디지털리터러시 기반 대학영어 교수-학습의 효과: 학습자 역량과 상호작용 중심으로’ 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 교수, 에듀테크 · 역량교육 전문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텍사스주립대학교(UTA)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트리니티융합대학 학장이다. 대학의 교수학습개발센터장, 교육성과관리센터장, 클리닉센터장, 교육연수원장 등을 통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해왔다. 혁신적인 교육과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해왔으며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을 비롯해 대학에서는 교원평가 우수교원 표창, 교육업적 우수교원 표창, 우수강의교원 표창, 연구실적 우수교원 표창을 수상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AI와 에듀테크 활용 교육, 미래역량교육, 영어교사교육이다. 관련 분야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최근에는 한국연구재단NRF의 10년 과제에 선정되어 이 분야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공저), 〈EBSe〉에서 방영된 《Yo!Yo! Playtime》 4권(공저) 등이 있다. AI 사용법과 AI 자체에 주목한 책은 많지만 저자는 AI를 활용하는 인간과 인재에 주목한다. 에듀테크와 미래역량 분야에서의 선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의 다양한 교육 경험, 그리고 글로벌 교육 동향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인재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이 책 《AI 시대의 언브레이커블 인재》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윤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언어학과에서 음성학과 음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Vic) 강사, McMaster University 조교수, 청주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박사학위로는 머신러닝을 이용한 운율 예측 모델을 구현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처리 및 분석, 음성합성과 음성 인식과 같은 음성 공학을 이용한 언어학 연구에 있다. 캐나다 연구재단(NSERC & SSHERC), 한국연구재단,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국립국어원 등에서 PI 혹은 Co-PI로 음성학과 음운론, 인공지능을 위한 데이터구축 및 딥러닝 모델링 등을 중심으로 한 다수의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Interspeech 2022, ICASSP 2024 등의 국제학회 조직위원 및 음성학회 부편집위원장, 음운론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23년에는 인문사회계열 전공생들에게 Python 강좌를 K-MOOC에 제공하여 블루리본 및 교육부장관상을 수여하였다.
펼치기
임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에서 영어교육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영어와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사회현상을 정체성, 횡단언어주의, 담론심리학 등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질적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System, Applied Linguistics Review, Journal of Language, Identity, and Education등 국내외 학술지에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있다. “좋은 선생”과 “행복한 가족”의 의미를 찾고,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김정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컴퓨터 공학과에서 소프트웨어 공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 컴퓨터 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보건산업진흥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철도기술연구소 등과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삼성생명, 삼성전자, 동부화재, 신한은행, 현대자동차, 한국증권거래소 등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 개선을 위한 자문을 수행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역량 강화, 인공지능, 디지털 시민성 등이다. 최근에 인공지능 학습 데이타 구축 및 분석 플랫폼 및 분산 객체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론
디지털리터러시는 2021년 UNESCO가 정한 21세기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 지식, 그리고 태도의 영역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ALA Digital Literacy Task Force, 2013). Pegrim et al(2018)은 디지털리터러시의 기본 개념을 의사소통하기, 정보 찾기, 협력하기, (재)설계하기 능력으로 구분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사회적, 개인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Pegrum, Hockly와 Dudene(2022)는 디지털리터러시는 각각으로 독립된 능력이 아닌, 정보, 소통, 협력, 설계의 영역에서의 몰입리터러시, 공간리터러시, Code리터러시, Tagging리터러시, 네트워크리터러시, 윤리리터러시, 집중리터러시, 비판적 리터러시, 문화간 리터러시가 서로 통합하면서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고 한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3)의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디지털리터러시는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의 활용과 디지털 윤리와 정보보호 능력을 기반으로, 디지털 정보의 활용과 생성을 통해 디지털 의사소통 문제해결을 하는 능력이다. 디지털 기기의 활용에서 시작해서, 디지털 문제해결까지의 능력을 포괄적인 구조로, 2022 개정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인 디지털·AI 교육환경에 맞는 교수학습 및 평가체계 구축과 에듀테크, 온라인 학습플랫폼과 AI등을 활용한 영어교과 평가의 방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리터러시 함양을 기반으로 한 영어교육의 기대효과에 대해 교육학적 측면을 살펴보면,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수·학습의 설계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화 교육, 개인별 맞춤형 교육, 차별화 교육이라고도 불리고, 주체에 따라, 적응형 교육, 맞춤형 수업으로도 불리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학습자의 영어수준에 맞춰, 학습자에게 맞춘 수업설계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향상 시키는 수업을 진행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교수자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촉진하는 활동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학문분야에서의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의 효과는, 영어교육 학습자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 전반에서 높은 관심을 가진 디지털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관련 수업설계의 다양한 사례들은 학술 연구 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영어교육의 교육학적, 학문적인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반으로, 본 저서의 1부에서는 디지털리터러시와 영어교육의 이해에 필요한 디지털리터러시의 개념 및 목표 설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소개하고, 영어교수법적 접근에서의 디지털리터러시 활용과 ESP(English for Specific Purposes)와 EGP(English for General Purposes)분야의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제적인 수업안을 제시한다. 제2부에서는 디지털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영어교수·학습법을 제안하기 위해, 영어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와 영문법 수업에서의 디지털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실제적인 수업안을 제시한다. 마지막 3부에서는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있다. 영어교육분야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21세기 교육현장에서, 영어로의 의사소통 능력과 함께 발전시키기고 활용해야하는 가장 기본적인 소양으로, 변화하는 디지털기반의 교육환경에서 교수와 학습, 평가의 수단이자 목표로 간주되어져야 할 것이다. AI 디지털 환경기반에서의 영어 수업은, 비정형공간에서의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학생들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시공간의 문제를 해결하여, 영어교육을 제공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한 성공적인 영어 의사소통 역량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영어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은 미래영어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교수·학습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5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