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5866181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7-05-25
책 소개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기존 연구 성과 및 한계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연구 배경
여성의 일상적 삶과 젠더정체성의 변화
1 여성의 일상적 삶과 젠더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형
2 가부장적 질서의 재강화와 모성 담론의 균열: 광복 이후~1950년대
3 근대화 프로젝트와 여성성의 동원/분화: 1960~1980년대
4 민주화와 젠더정체성의 다중화: 1990년대
5 후기근대적 불안과 유동하는 젠더정체성: 2000년대 이후
6 여성의 일상적 삶과 젠더정체성에 관한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
여성의 교육과 노동 참여의 변화
1 여성의 교육과 노동에 관한 연구 지형
2 정부수립과 한국전쟁 전후 사회 혼란기: 광복 이후~1950년대
3 국가 주도형 산업화의 진전: 1960~1970년대 중반
4 경제성장의 안정화와 여성운동의 정치 세력화: 1980~1990년대
5 여성노동 연구의 다양화와 지평적 확대: 2000년대 이후
6 여성의 교육과 노동에 관한 향후 연구 과제
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삶
1 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삶에 관한 연구 지형
2 제도사 연구 및 가족 연구의 제도화: 광복 전후~1950년대
3 본격적 가족 연구의 전개: 1960~1970년대
4 가족 연구의 질적 전환: 1980년대
5 가족의 변화와 가족 연구: 1990년대 이후
6 최근 가족 연구의 동향
7 여성과 가족 연구의 향후 과제
여성과 가족 연구의 향후 과제
1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연구 경향
2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연구의 향후 과제
부록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