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58667535
· 쪽수 : 680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목차
서론
1장 이데올로기와 해방정국
1. 이데올로기의 개념
2. 해방정국 한국정치의 스펙트럼
3. 해방 후 각 정치세력의 이데올로기와 조직
2장 모스크바결정 보도 이전 국내 정치세력의 신탁통치 인식
1. 국내 정치세력의 신탁통치 인식, 1945년 9월
2. 최초의 신탁통치 보도와 반탁, 1945년 10월
3. 한국민 반발과 미군정의 반응
4. 김구의 환국과 반탁
5. 모스크바3상회의의 한국 문제 오보, 1945년 12월 27일
6.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서의 왜곡보도, 1945년 12월 28일
7. 임시정부의 반탁운동 주도와 미군정의 대응
8. 김구의 반탁정국 주도에 대한 평가
3장 모스크바결정 한국 조항 전문(全文) 보도 직후의 정국
1. 신탁통치에서 한발 뺀 미국
2. 임시정부 주도 반탁운동에 대한 좌익의 반응
4장 공산주의자 노선 전환과 찬·반탁 대립의 시작
1.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전폭 지지노선의 선제적 표명, 1946년 1월 2일
2. 조선공산당 방향 전환 과정, 1946년 1월 2~3일
3. 좌익이 노선을 전환한 이유
5장 신탁통치노선의 통일 모색
1. 4당코뮤니케의 성립과 와해
2. 중도파의 4당코뮤니케 집착
6장 반탁노선과 지지노선의 대립 구도 확정
1. 모스크바결정 성안 과정을 공개한 소련
2. 미·소예비회담의 개최
3. 재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과 민주주의민족전선의 결성
4. 지방의 신탁통치 논쟁
7장 신탁통치 문제에 대한 각 정파의 입장
8장 신탁통치 문제에 대응한 국내 정치세력의 인식논리
1. 좌익의 모스크바결정 지지논리와 그 평가
2. 중도파의 ‘공위 참여 후 자주적 해결’논리와 그 평가
3. 우익의 반탁논리와 그 평가
4. 종합적 평가
9장 탁치논쟁에서 공위논쟁으로
10장 좌우합작위원회를 통한 제3의 노선 추구와 좌절
1. 용어의 문제: 좌우합작에 의해 생성된 중간파
2. 좌우합작의 배경과 전개
3. 좌우합작 실패의 국제적 제약 요인 1: 미국의 공산화 방지 전략
4. 좌우합작 실패의 국제적 제약 요인 2: 미국의 의도를 간파한 소련의 견제
5. 좌우합작운동의 평가: 좌절로 드러난 한계
11장 공위논쟁에서 단정논쟁으로
1. 이승만의 단독정부수립운동, 1946년 4~6월
2. 다시 제기된 단정수립안, 1946년 10월~1947년 1월
3. 또다시 양극화된 신탁통치 대응 논리, 1947년 1월
4. 단정 수립으로 전환될 조짐을 보이는 미국의 대한정책, 1947년 전반기
5. 공위 재개를 위한 마지막 시도
12장 미국의 신탁통치안 폐기와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1.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을 목적으로 한 협상
2. 미국의 일방적인 신탁통치안 폐기
3. 미국의 유엔 이관안과 소련의 양군 철퇴안
4. 유엔의 한국 총선 관리
5. 남북협상과 대한민국
6. 유엔의 대한민국 승인, 1948년 12월
7. 미·소의 단독정부 수립 구상과 이승만·김일성의 승리: 외인과 내인의 결합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