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영유아 육아 > 4~7세 육아
· ISBN : 979115873276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8-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무엇이 아이를 움직이게 할까? [학습과 훈육]
지혜롭게 칭찬하고 꾸중하는 방법 (보상과 처벌)
좋은 행동을 습관화하는 방법 (조건형성 학습)
알아서 척척 잘하는 아이 (통찰학습)
타의 모범이 되는 아이로 키우려면? (관찰학습)
화가 나면 문을 발로 차는 아이 (방어기제)
나쁜 습관 없애기 (조형)
조기교육 꼭 해야 할까요? (학습과 결정적 시기)
부모의 기대가 아이에게 약이 되려면 (피그말리온 효과)
올바른 칭찬이 아이를 발전시켜요 (로젠탈 효과)
2장 소통하는 뇌가 건강한 사고를 한다 [인지와 지능]
아직은 지식보다 경험이 중요해요 (동화와 조절)
약속을 안 지키고 떼쓰는 아이 (직관적 사고)
선행학습보다 체험학습이 중요한 시기 (자아중심성)
놀이도 학습입니다 (물활론)
아이의 기억력 발달을 도와줄 수 있어요! (기억 발달)
기억력 발달을 위해서는 전략이 필요해요 (상위 기억)
똑똑한 머리는 타고나는 걸까요? (지능과 IQ)
말 잘하는 아이가 똑똑하다? (언어 발달)
아이가 말이 느려 걱정이에요! (언어 발달 지체)
3장 아이는 경험을 통해 ‘자기주도성’을 갖는다 [자아의 발견]
자존감이 높은 아이 (자기존중감)
참을성 있는 아이는 특별해요 (자기통제력의 발달)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아이 (마음이론)
노력하는 아이 vs. 운이 좋은 아이 (성취동기)
공감력과 이타심이 높은 아이 (이타성 발달)
아이 스스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도덕성 발달)
아이가 계속 혼잣말을 해요 (혼잣말의 중요성)
성적 호기심이 많은 아이, 어떻게 가르치나요? (성역할 사회화)
성평등 교육도 필요합니다 (심리적 양성성)
4장 감성적인 아이가 사회 우등생으로 성장한다 [정서와 사회성]
감수성이 풍부한 아이로 키워주세요 (정서 표현)
이 시대 사회 우등생의 조건 (정서지능)
아빠랑 결혼할 거야! (애착 발달과 사회성)
까다로운 아이라 키우기 힘들어요 (기질)
아이의 기질에 맞는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조화의 적합성)
다른 사람의 말을 흘려듣는 아이 (주의력의 중요성)
산만한 아이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주의력 훈련)
동기부여에도 규칙이 필요합니다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욕하고 때리는 아이 (공격성)
5장 주변의 모든 것이 아이를 자라게 한다 [발달 환경]
좋은 부모가 되는 법칙 (양육 행동)
도와주면 더 발달합니다 (근접 발달 영역)
잘못에 책임지는 아이로 키워주세요 (도덕성 키우기)
창의적인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요? (창의성 발달)
혼자만 노는 아이 (또래 관계)
인기 있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요? (또래 수용)
외둥이라 버릇이 없을까 봐 걱정이에요 (형제자매 관계)
스마트폰, 얼마나 허락해야 할까요? (미디어 환경)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이에게 보상과 처벌을 할 때는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보상을 할 때는 아이의 행동 직후에 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처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보상이나 처벌 모두 즉각적이지 않을 때는, 지연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그 효과가 감소됩니다.
_ ‘지혜롭게 칭찬하고 꾸중하는 방법’ 중에서
엄마에게 혼난 아이가 방문을 쾅 소리가 날 만큼 세게 닫아버렸습니다. 그러자 엄마가 다시 와서 야단을 칩니다. 혼날 만한 행동을 해서 혼이 난 것인데 문에다 화풀이를 하는 아이의 행동이 잘못됐다고 생각한 것이죠. (중략) 그렇지만 위의 사례에서 나타난 아이의 과격한 행동은 잠시 눈감아주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화가 나서 문을 쾅 닫는 것이나, 발로 문을 세게 차는 것 역시 화를 삭이기 위해 순간적으로 튀어나온 본능적인 방어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즉각적으로 다시 야단을 치는 것은 아이를 막다른 곳으로 몰아붙이는 것과 같습니다. 그럴 때는 아이의 행동을 잠시 눈감아주고 나중에 다른 상황에서 또다시 과격한 행동을 보일 때, 그 행동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훈육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입니다.
_ ‘화가 나면 문을 발로 차는 아이’ 중에서
언어 습득에 대한 결정적 시기만을 생각한다면 어린 나이에 다양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 분명 좋아 보이지만, 아이가 언어적 소질이 있거나 언어 배우기를 즐거워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오히려 이른 시기에 타의에 의해 언어를 배우도록 하는 것이 아이에게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두어야 할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조기교육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아이의 개성과 본인의 의사 역시 진지하게 고려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먼저 아이가 스스로 외국어를 배우고 싶은 내적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_ ‘조기교육 꼭 해야 할까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