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땅에 쓴 글씨

땅에 쓴 글씨

고정희, 문익환, 임인수, 송창근, 김재준, 김정준, 김경수 (지은이), 한신 시문학회 (엮은이)
바이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9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땅에 쓴 글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땅에 쓴 글씨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문학
· ISBN : 9791158770013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가장 복음이 절실하던 시절에 예수의 말씀을 마음으로 녹여내 울부짖으며 시로 써낸 사람들이 있었다. 송창근, 김재준, 김정준, 임인수, 김경수, 문익환, 고정희 등 한국 기독교사와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이들의 절창을 모아 엮었다.

목차

송창근
찰나의 영원 | 바다의 태양

김재준
우리 주 하느님은 | 수난 | 새벽 날개 타고

김정준
내가 죽는 날 | 나의 태양 | 주님의 것

임인수
서시 | 초상 앞에서 | 문 | 베다니 서정 | 마리아 소묘 | 겟세마네의 밤 | 부활의 노래 | 잔 | 단초 | 기도 | 엠마오 도상 | 귀향초 | 풍경 | 나의 시첩

김경수
기도하는 뫼들 | 달밤에 | 이 상투를 보라 | 실향민의 노래 | 한 편의 시를 위하연 | 두 방울의 눈물 | 겨울 찬가 | 하찮은 바람도 | 떡과 포도주 | 내 사랑이 네 몸에 닿을 때 | 돌의 노래 | 내가 교회를 사랑하는 것은 | 정말 겁나는 것은 | 개 버릇 | 못 자국 | 새해 새 아침 | 내가 먼저 죽더라도

문익환
새삼스런 하루 | 덤 | 나의 첫 기도 | 당신은 언제나 내 뒤에 계십니다 | 손바닥 믿음 | 예수의 기도-4 | 양심이라고 | 사랑의 역설 | 백두산 천지 | 하느님의 바보들이여 | 나무의 양심 | 내가 바라는 세상 | 잠꼬대 아닌 잠꼬대 | 히브리서 11장 1절 | 나의 슬픈 님 | 땅의 평화

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 고백 | 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 편지 | 어머니, 나의 어머니 | 사십 대 |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 이 시대의 아벨 | 야훼님 전 상서 |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 | 수유리의 바람 | 성금요일 | 부활 그 이후 | 기 | 폭풍 전야 | 서울 사랑 | 히브리전서 | 하관 | 신 없이 사는 시대의 일곱 가지 복

저자소개

고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5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 『실락원 기행』 『초혼제』 『이 시대의 아벨』 『눈물꽃』 『지리산의 봄』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 『광주의 눈물비』 『여성해방출사표』 『아름다운 사람 하나』, 유고시집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등이 있다.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했다. 1991년 6월 9일 43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펼치기
문익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8년 6월 1일 만주 북간도 명동에서 아버지 문재린목사와 어머니 김신묵 권사의 맏아들로 태어났습니다. 1944년 박용길 장로와 결혼한 그는 1946년 8월에 걸어서 신의주, 사리원, 개성을 거쳐 서울에 도착, 이듬해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은 후 1949년 미국 프린스턴 신학대학에서 유학하였습니다. 1968년부터 8년 동안 신구교 공동 구약 번역책임위원으로 있으면서 구약의 40%를 차지하는 시 번역을 계기로 시인이 되었습니다. 한빛교회 목사를 거쳐 1976년에는 ‘3ㅇ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처음 옥중생활을 시작한 이래 역사적인 평양 방문으로 구속되기까지 여섯 차례 투옥되었습니다. 1992년 미국 친우협회(퀘이커)에서 노벨평화상을 추천받은 그는 1980년대 이후에도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 의장, 전태일 기념사업위원장,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 결성준비위원회 위원장, 강경대 열사 장례위원장 등 조국 통일과 민주화의 최전선에서 분투하다가 1994년 1월 18일, 꿈에도 그리던 통일을 보지 못하고 운명하였습니다. 저서로는 구약해설서 『히브리 민중사』, 『새삼스런 하루』, 『꿈을 비는 마음』 등의 시집과 수필집 『새 것, 아름다운 것』, 옥중 서한집 『꿈이 오는 새벽녘』, 『목메는 강산 가슴에 곱게 수놓으며』, 건강 요법 『더욱 젊게』, 논설집 『통일은 어떻게 가능한가』, 방북 기록집 『걸어서라도 갈 테야』등 다수의 저작물이 있습니다.
펼치기
임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는 현석(玄石), 구촌(九村). 경기도 김포 출생. 1944년 조선신학교를 졸업. 그 후 《아이생활》, 《현대공론》, 《기독교문화》 등의 잡지를 편집했고, 한국글짓기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모든 작품에 흐르는 주제는 기독교적 선의 바탕으로 신앙, 소망, 사랑에 의해 허무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뚜렷하다. 작품집으로는 동화집 《어디만큼 왔나》, 《봄이 오는 날》, 시집 《땅에 쓴 글씨》, 번역 《이상한 풍금》, 동화집 《눈이 큰 아이》, 번역 《일본명작동화집》 외에 《글짓기를 위한 어린이문학독본》, 《임인수 아동문학독본》이 있으며, 공저로 《한국동화선집》, 《종아 다시 울려라》 등이 있다.
펼치기
송창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 만우(晩雨). 함경북도 경흥 출생. 프린스턴 신학교를 거쳐, 펜실베이니아의 웨스턴 신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 콜로라도 덴버의 아일리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해 목사가 되어 평양 산정현교회에서 담임목사로 시무하다가, 1936년 부산으로 내려가 성빈학사를 설립, 가난한 학생들을 뒷바라지하는 사회·장학 사업을 했다. 1937년 흥사단의 수양동우회 사건 때 연루되어 2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출소 후 1940년부터 김천의 황금정교회에서 목회를 했고, 8·15 광복 후 조선신학교 교장에 취임, 여러 난제들을 타개해나갔으나,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그는 형식주의적·바리사이적·율법주의적 신앙 및 신학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고, 내면적·감격적·개혁적 신앙을 주창해, 직접 부산항의 윤락가에 뛰어들어 고아들을 모아 돌보면서 성 프란체스코의 청빈을 실천했다.
펼치기
김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 장공(長空). 함경북도 경흥 출생. 1928년 일본 아오야마 학원 신학부, 1929년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 1932년 미국 웨스턴 신학교를 졸업했다. 1940년 조선신학교(한국신학대학 전신) 설립과 1953년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창립에 중심인물로 참여했다. 1949?1961년 한신대학교(한신대학교 전신) 교수 및 학장을 역임하며 1953년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창립하고, 1961?1987년 한신대학교 명예학장을 지내고, 그 사이 1965년 기독교장로회 제50회 총회 총회장 등을 역임했다. 한편, 군사 독재가 강화되어가자 반독재 투쟁 대열에 나서 1969년 3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장, 1972년 국제앰네스티 한국위원회 이사장, 1973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공동의장이 되었다. 일생을 한국 교회의 발전과 사회 참여의 신학 정립, 민주화 등을 위해 헌신했으며, 저서에 《범용기》, 《낙수》, 《계시와 증언》, 《하늘과 땅의 해후》, 《인간이기에》, 《장공전집》 《광야에 외치는 소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는 만수(晩穗). 부산 출신.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 아오야마 학원 신학부를 거쳐 캐나다의 임마누엘 신학교와 토론토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독일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적인 역서로는 《어거스틴 참회록》, 토머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로데스의 《시편》 등이 있고, 저서로는 《나의 투병기》, 《에큐메니컬운동해설》, 《정의의 예언자 아모스연구》, 《이스라엘의 신앙과 신학》, 《구약신학의 이해》, 《구약성서의 인간관》 등이 있다. 설교집으로는 《땅에 묻힌 하늘》, 《침묵》 등이 있고, 전공인 구약학 관계 논문뿐만 아니라 설교학에 관해서도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중심 사상은 한국적 신학 형성을 꾀하는 데 있었으며, 한국 교회에 의한 한국 교회를 위한 한국적 얼에 바탕을 둔 토착적인 신학 수립을 주장했다.
펼치기
김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는 그봄. 함경북도 성진 출생. 한국신학대학(현 한신대학교)을 거쳐 미국 텍사스 크리스천 대학대학원을 졸업. 1955년 시집 《꽃과 바다》를 발표했다. 그는 분단 현실과 전쟁의 경험을 신앙시로 표출했으며 그가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은 시간을 영원으로 영원을 시간 속에 서정화하는 기독교 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주요 저서로는 설교집 《순례자의 노래》, 번역 《폴 틸리히의 조직신학 1, 2, 3권》, 《문화의 신학》, 에세이집 《지게군의 신학》, 시집으로는 《이 상투를 보라》, 《묵시록의 샘이 흐르는 공원》이 있으며 《노래중의 노래》로 기독교 문학상 시부문상을 수상했다. 《한국기독교문인협회》, 《크리스찬문학》, 《기독교시》 등의 동인이다.
펼치기
한신 시문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땅에 쓴 글씨> 편자
펼치기

책속에서

예수는 시인이다. 시인은 혁명가이다. 땅에 하늘을 몸으로 쓰는 사람이다. 예수가 땅 위에 쓴 글은 하늘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재로서, 떡만이 아닌 말씀으로 살아야 할 인간이 하늘을 잊었다. 하늘의 중력으로부터 벗어나 땅의 중력에 끌려 살고 있다. 자신을 돌아보지 못하고 타인을 향한 미움의 돌을 이제는 내려놓아야 한다. 그리고 주님이 땅에 쓴 하늘을 읽어야 한다.


시를 품고 쓰는 마음을 시심(詩心)이라 할 때 시심의 눈은 선하고 맑다. 선하고 맑은 눈으로 세상 만물을 대할 때 시다운 시를 품고 쓰게 된다. 또한 시심의 심장은 간절하고 절실하다. 간절하고 절실한 마음이 그에 걸맞은 말을 만날 때 감동적인 시가 된다. 세상 만물을 대하는 선하고 맑은 눈과 간절하고 절실한 마음은 신앙인에게도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덕목일 것이다.


오늘 우리 사회 안에 참다운 신앙 시가 혼을 울리고 우리의 손을 잡고 신에게고 끌고 가는 감동의 울림으로 다가오고 있는지 생각해본다. 신앙 시가 지향하는 바가 영혼, 사랑, 인간, 소망 등의 모든 기독교적 이상의 구현이라고 할 때에 시와 신앙 시의 차별은 신에게로의 지향이 어떻게 용해되어 있는가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 생각된다. 한국 시단에 신앙 시가 삶의 명정한 진실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길에 이들의 시편들이 기여하고 있는 무게를 다시금 느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