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59051821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7-05-23
책 소개
목차
1부 도시의 시간과 기억
식민지 해방 이후 제주도 출신 여성의 도일과 생활 세계—이지치 노리코
1. 연구의 배경
2. 제주도 여성들과 20세기
3. 1950~1970년대 제주도 여성의 이동
4. 이주여성의 홈플레이스
죽음과 재생의 도시 드라마—조정민
오키나와 나하 신도심 개발을 중심으로
1. 나하 신도심의 탄생
2. 유리된 토지와 지명-슈거 로프와 마키미나토 주택지구
3. 죽음의 계곡-무덤과 유골, 불발탄
4. 또 하나의 ‘슈거 로프 전투’
도시 이야기꾼의 과제와 가능성—다카시마 요코
살아있는 옛날이야기의 부활을 위하여
1. 옛날이야기와 도시 이야기
2. ‘도시 이야기’의 배경과 발자취
3. 옛날이야기 계승에 공헌하는 ‘도시 이야기’
4. ‘꽃을 피우는 영감’의 문제점
5. ‘도시 이야기’의 가능성
2부 도시 공간과 일상
근현대 오사카의 사회적 결합의 해체와 재편—사가 아시타
초나이카이[町內會]와 하층 노동력 공급업을 소재로
1. 전통의 변용과 지속
2. 초와 초나이 단체 및 학구와 지역사회
3. 1930년대 초 하층노동자와 공급업-두 개의 사례로부터
4. 근대 오사카의 경험과 공생
오사카의 도시 세그리게이션과 시민생활의 불안정화—가와노 에이지
1. 시작하면서
2. 오사카시의 도시사회구조와 세그리게이션
3. 거주환경의 불안정화
4. 고용과 일의 불안정화
5. 직업통합의 유형과 그 영향
6. 마치면서
영화로 재현된 바르셀로나 관광 문제와 사회적 리얼리티—조관연
<바이, 바이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1. 관광은 도시에 저주인가?
2. 영화에 재현된 바르셀로나 관광 문제
3. 매스투어리즘 문제와 사회적 리얼리티
4. 공유숙박 문제와 사회적 리얼리티
5. 관광과 공생
2011년 ‘점령하라’ 운동의 경과—장세룡
공간점거와 직접행동 민주주의
1. ‘우리는 99%’
2. 공적공간의 점거와 공간생산
3. 수행성과 (비)재현 공간 행동주의
4. 공간적 실천과 직접민주주의
5. 비실체적 상상의 공동체 생성
3부 공생의 실천과 대안
고리원전 주변 사람들의 생활경험과 마을공동체—차철욱
기장군 길천마을 사례
1. 고리원전과 마을
2. 반핵운동과 공간적 차이
3. 생활경험과 집단이주
4. 저항과 타협의 공존
5. 역량강화와 마을자치
도시문화에 있어서의 심리학적 문제—야마 히로시
저맥락 문화에 대한 적응과 저항
1. 도시문화에 관한 진화심리학적 접근
2. 도시의 기원을 이루는 두 가지 진화적 산물
3. 고맥락과 저맥락의 구분
4. 저맥락 문화에의 적응과 저항
5. 로컬리티 연구에 대한 제언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의 이론적․실천적 의미—이상봉
공생의 지역사회 만들기의 관점에서
1. 도시문제와 협동조합
2.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의 발생 배경
3. 사회적 협동조합의 법제화를 둘러싼 문제들
4. 사회적 협동조합의 이론적 특성과 실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