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4488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19-10-25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4488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19-10-25
책 소개
전통의 변혁과 서양 문물의 수입을 통해 격변기에 대응하고자 했던 근대 한국 지식사회의 활동들을 조망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당대 전통 지식인의 학문활동 및 특정한 표상과 세계 이해를 동반할 수밖에 없는 이중언어의 문제, 근대매체를 통한 자국 인식의 전환, 서양 학문과 문물의 유입 확산 등이 쟁점으로 다뤄졌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근대매체와 자국 인식의 전환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 담론의 생성과 변모(1)-근대 초기 신문을 중심으로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 담론의 생성과 변모(2)-근대 초기 잡지를 중심으로
반재유 <황성신문>의 ‘시평時評’ 연구-「비설飛屑」, 「국외냉평局外冷評」을 중심으로
손동호 <만세보>를 통해 본 한말 위생 담론 연구
심철기 1907년 이후 <제국신문>의 성격과 의병 인식
제2부 근대 지식인의 세계 인식과 전통의 변혁
노혜경 근대 초기 이중언어 표기와 일선어 저술-현공렴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윤영실 근대계몽기 ‘역사적 서사(역사/소설)’의 사실, 허구, 진리
김우형 정인보 국학에서 실심사상의 계보-주자학과 양명학, 그리고 주체성의 기원
홍정완 일제 시기 한치진韓稚振의 학문세계와 자유주의 사회사상
정대성 구한말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철학적 의의-계몽과 그 한계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