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 (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5256
· 쪽수 : 437쪽
· 출판일 : 2020-08-3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5256
· 쪽수 : 437쪽
· 출판일 : 2020-08-31
책 소개
연세 근대한국학HK+ 디지털한국학총서 1권.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의 인문학적 가능성을 가늠하는 가운데, 디지털 인문학을 기반으로 '근대한국학 형성기의 역사문화 인식 지형'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책이다.
목차
머리말-디지털 인문학과 한국학 연구의 또 다른 가능성
제1부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시도
허수/ 어휘 연결망을 통해 본 ‘제국’의 의미‘제국주의’와 ‘제국’을 중심으로
최지명/ 기계학습을 이용한 역사 텍스트의 저자 판별-1920년대 『개벽』 잡지의 논설 텍스트
이재연/ ‘생활’과 ‘태도’-기계가 읽은 『개벽』과 『조선문단』의 작품 비평어와 비평가
최운호․김동건/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토끼전> 이본 연구
김혜진/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학 지식구조 파악-주체 인식과 타자 인식의 차이
김용환/ 법률정보시스템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적용 방안-명예훼손 판례를 대상으로
제2부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 형성기의 역사․문화 인식지형
정유경․반재유/ 국한문 혼용 텍스트 색인어 추출기법 연구-『시사총보』를 중심으로
홍정완/ 근대전환기 한국학 지형 다시 읽기-신문‧잡지의 한국 역사․문화 관련 텍스트 계량 분석을 중심으로
조형열-『황성신문』이 주목한 조선의 역사문화-관심 소재의 정량적․시계열적 분석을 통한 조선연구의 기반 검토
정유경-텍스트의 계량 분석을 활용한 근대전환기 신문의 시계열적 주제 분석법-『황성신문』 논설을 중심으로
심희찬-근대전환기 신문․잡지 역사 관련 기사 데이터베이스 검토-한국사 담론의 초기구축과정 재론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