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민지 시기 근대한국학의 형성과 분과학적 전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9059667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4-10-1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9059667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21세기 한국학의 전망’은 ‘근대한국학의 지적 기반’에 대한 발본적인 성찰 없이는 도저히 운위될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함에 따라 메타DB의 구축과 분석은 그러한 작업을 위해 선택한 방법론이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근대한국학의 형성과 매체
제1장 『황성신문』 소재 명소고적과 기담
제2장 잡지 『동명』의 문화사적 정체성과 문예의 역할
제3장 잡지 『대조(大潮)』를 통해 본 당대 문화기획의 한 단면
제4장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의 공간적 표상-『조광』의 국내 기행문 분석을 중심으로
제2부 근대한국학의 형성과 주체
제1장 박은식 양명학론의 독창성과 특색-본령(本領)학문과 주체의 문제
제2장 신채호의 고대사 기술에 사용된 언어학적 방법론 검토 -『조선사연구초』와 『조선상고사』를 중심으로
제3장 정인보 철학 사상의 기본입장-실심(實心)과 실학(實學)의 한국철학적 구상
제4장 곤란한 혁명-혁명가 이북만의 삶과 제국일본의 맑스주의
제3부 근대한국학의 형성과 ‘과학’
제1장 ‘언어의 소외’와 ‘과학적’ 언어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1920~1930년대 조선어 연구를 중심으로
제2장 식민사학 재고-과학 담론과 식민지주의의 절합에 대해
제3장 사회주의자 신남철의 역사의식과 관념론적 유산-신체인식론을 중심으로
간행사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