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일본문학론
· ISBN : 9791159054846
· 쪽수 : 301쪽
· 출판일 : 2025-04-1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 예외적 오리엔탈리즘의 표상 공간
제1장 ‘동화’의 유혹과 ‘민족’이라는 운명 나카지마 아쓰시 「순사가 있는 풍경」이 표상하는 식민지 조선
‘1923년’의 ‘조선인 순사’
순사가 ‘보는’ 풍경 차별과 동화의 사이에서
순사가 ‘있는’ 풍경 동화주의의 역설
왜 ‘1923년’인가? 제국의 천황과 그 이중성
오리엔탈리즘에 대항하는 타자표상
제2장 식민지 청년들의 이동과 ‘일본어 타이완문학’의 형성
탁월한 모방자들
왜 일본어인가?
‘혼종성’이라는 아이덴티티 우융푸의 소설 「머리와 몸」
문단 저널리즘이라는 권력
제국의 지식사 속의 식민지 일본어문학
제3장 일본어연극 <춘향전>과 ‘조선적인 것’을 둘러싼 공방전
1938년 경성의 ‘춘향전 붐’
‘조선적’이지도, ‘일본적’이지도 않는 연극
제국?/?식민지의 분할선과 두 개의 ‘모더니즘’
식민지 민족문화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
주권 없는 문화의 운명
제2부 | 불온한 타자와 제국의 생명정치
제4장 타자의 반란과 하강하는 사상 1910년대 야나기 무네요시의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초월적 생명’에서 ‘타자의 마음’으로
야나기 무네요시의 생명론
1910년대 ‘생명’의 지식장
선회하는 생기론 초월적 생명에서 조선이라는 타자로
문화적 조선독립론을 향해
제5장 ‘인종개량’의 이상과 ‘파국’의 상상력
‘인종개량’이라는 이상
우생학, ‘인종개량’을 위한 ‘학지?知’
우생결혼 이상과 ‘화류병’이라는 ‘적’
혼성화하는 제국과 우생론자의 불안
총력전 이념의 곤경
제6장 식민지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혼혈문제라는 아포리아
근대 일본의 인종개량 담론
‘혼혈’을 둘러싼 담론 투쟁
식민지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혼혈을 둘러싼 분단선
제3부 | 나카노 시게하루와 대항의 문학
제7장 ‘신민’과 ‘계급’을 넘어서는 단독성의 상상력
예술대중화논쟁과 나카노 시게하루
예술대중화논쟁의 배경 대중적 공공권의 등장과 재편
대중문화의 정치성 ‘재미’와 내셔널리즘
예술대중화론과 내셔널리즘의 공범성共犯性 나카노 시게하루의 대중화론 비판의 위상
내셔널리즘을 넘어서는 상상력
제8장 나카노 시게하루 조선 인식의 역사성과 서사성
나카노 시게하루의 ‘예외성’
조선이라는 ‘내부적, 타자’
패전 이후의 조선 인식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서 각각의 내셔널리즘으로
조선표상의 내적 구조 이념의 과잉과 타자성의 상실
독백으로서의 연대
제9장 방법으로서의 이동과 탈내셔널리즘의 가능성 「비 내리는 시나가와역」을 중심으로
‘정치?/?문학’의 이분법을 넘어
‘이화’라는 방법의 생성
1920년대 조선인도항사와 피식민자의 ‘울분’
나카노 시게하루와 내셔널리즘이라는 굴레
내셔널리즘을 둘러싼 또 하나의 비평사
참고문헌
후기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