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조관자, 송지연, 여인만, 김은혜, 박승현, 오은정, 김보경, 노유니아, 서동주 (지은이)
박문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1,45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2365350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일본자본주의 정신이 개인의 이익 추구보다 사회적 공헌과 집단의 이익을 중시하는 것이라면, 새로운 자본주의의 흐름에서 그 진가를 더 발휘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일본형 자본주의가 일본의 자존감이나 국제경쟁력의 우월한 지위를 채우는 방식으로 전개되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목차

<서장>
일본자본주의 위기와 ‘새로운 자본주의’/ 조관자

<제1부 생산, 노동, 복지, 교육의 내일을 묻다>
1. 아베 정부의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 송지연
-노동시장과 사회복지정책을 중심으로-
2. ‘일본적’ 고용시스템 재고, 진화인가 전환인가?/ 여인만
3 일본의 교육개혁과 기업의 사회교육/ 조관자
-청소년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천적 모색-

<제2부 생활세계의 확장, 부흥과 재생의 기획>
4. 도쿄권 교외화의 형성과 쇠퇴를 넘어서/ 김은혜
5. 성장의 관성과 ‘부흥재해’의 곤경/ 박승현
-1995년 한신대지진 이후 신나가타역남지구 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6. 원전 헤테로토피아/ 오은정
-후쿠시마 도미오카정의 마을사를 통해 본 원전 마을의 오늘-

<제3부 문화산업과 자본주의의 혁신 가능성>
7. ‘가도카와 아이돌영화(角川アイドル映画)’와 전후 일본 영화산업의 재편/ 김보경
8. 일본 디자인계에 나타난 ‘신 민예운동’/ 노유니아
-무인양품(MUJI)과 디앤디파트먼트를 중심으로-
9. 불황기 일본의 포스트자본주의론/ 서동주
-가라타니 고진의 ‘새로운 어소시에이션 운동(New Associationist Movement)’을 중심으로-

주요 참고문헌 / 영문초록 / 찾아보기

저자소개

여인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를 졸업하였다(경제학박사).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환동해 경제론』 『일본의 기업과 경영』 『에너지 혁명과 일본인의 생활 세계』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성장신화』 『국제경영사』 등이 있다.
펼치기
서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쳤고, 일본 쓰쿠바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과에서 일본 사회주의 문학의 상상력과 제국일본의 식민지주의 간의 길항관계를 분석한 논문 「移動と想像力-中野重治·帝?·視差」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세기 일본의 문학과 사상을 ‘제국’과 ‘냉전’이라는 세계사의 맥락 속에서 재독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조관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 일본에서 20년 가까이 공부했다. 일본 중부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복지사회로 나가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연구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일본 내셔널리즘의 사상사》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상(2019)을 수상했다.
펼치기
노유니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근현대 한국과 일본의 시각/물질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도쿄대학 문화자원학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일본으로 떠나는 서양미술기행』(미래의 창, 2015), East Asian Art History in a Transnational Context(공저; Routledge, 2019)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일본 근대 디자인사』(소명출판, 2020), 『일본 현대 디자인사』(소명출판, 2023)를 펴냈다.
펼치기
김은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사회학과 조교수. 세계도시 도쿄와 동아시아 개발주의의 구조와 재현에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올림픽, 엑스포 등 메가이벤트와 도시재생을 연구하고 있다. 《특구》, 《위험도시를 살다》, 《안전사회 일본의 동요와 사회적 연대의 모색》, 《에너지혁명과 일본인의 생활세계》를 함께 썼다.
펼치기
송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는 정치적 갈등, 경제시스템의 변화, 사회복지정책 대응 등을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자본주의 모델의 조정 및 세계화와 탈세계화 흐름 속에서 출현하고 있는 양극화, 대중주의(populism), 반이민주의 등의 정치적 지형을 비교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있다. 대표 저서로 Inequality in the Workplace: Labor Market Reform in Japan and Korea(Cornell University Press, 2014)가 있고, 동아시아 정치, 비교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 노동시장, 복지정책, 이민정책, 국제개발협력 등을 분석한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오은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 문화인류학과 조교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조선인 원폭 피해자들의 역사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 이후 지역 주민들의 활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오늘을 넘는 아시아 여성』, 『재일 한인의 인류학』 등이 있다. 『원자력의 사회사』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박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에서 도쿄 대규모 공공단지의 고령화와 재건축에 관한 인류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재난과 공동체, 고령화와 복지, 재일 한인의 생활세계, 가족과 젠더 연구를 중심으로 일본의 사회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팬데믹, 도시의 대응』(2022, 공저), 『재일한인의 인류학』(2021, 공저), 『老いゆく?地: ある都?住宅の高?化と建替え』(2019)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일본 싱글맘 빈곤과 근대가족 모성 규범의 굴레”(2024), “코로나19 자숙이 불러일으킨 ‘세켄(世間)’의 공기”(2022), “고베 도시경영의 계보와 ‘부흥재해’”(2022), “지역산업 속 재일(在日)의 역사와 현재: 고베 구두마을 나가타와 재일코리안의 ‘케미컬슈즈’”(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보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조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