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전』의 한국고대사 인식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59054860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25-09-1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59054860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25-09-10
책 소개
신진한국학연구총서 4권. 『통전』은 중국 당대의 학자 두우가 편찬한 역사서로 중국 고대의 제도, 문물, 지리, 민족 등에 관한 종합적인 기록을 담고 있다. 『통전』의 사료적 가치를 탐구하고 당나라의 입장에서 한국고대사 인식을 살펴보았다.
목차
저자서문
제1장 | 들어가며
1. 어떻게 연구가 이루어졌나
2.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제2장 | 『통전』 「변방문」 동이목의 구성과 서문 분석
1. 두우의 생애와 『통전』 저술 배경
2. 『통전』의 서술 체계와 「변방문」의 구성
3. 「변방문」 서 분석
4. 동이목 서략 분석
제3장 | 동이목 각국 기사의 전거 자료와 내용 분석
1. 조선절
2. 마한·진한·변진절
3. 백제절
4. 신라절
5. 부여절
6. 고구려절
제4장 | 동이목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동이지지’의 의미
1. 『통전』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두우의 중화사상
2. 『통전』 이전의 기자조선과 고구려 인식
3. 『통전』에 기재된 ‘동이지지’ 의미 분석
제5장 | 『통전』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미친 영향
1. 『삼국사기』에 인용된 『통전』 기록 분석
2. 『삼국유사』에 인용된 『통전』 기록 분석
3. 고려시대의 『통전』 활용과 인식
제6장 | 『통전』이 후대에 미친 영향과 한국고대사 인식
1. 『당회요』에 미친 영향과 한국고대사 인식
2. 『통지』·『문헌통고』에 미친 영향과 한국고대사 인식
제7장 |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