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59055140
· 쪽수 : 191쪽
· 출판일 : 2020-05-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 밖으로부터의 근대화
1. 새로운 생활양식의 표준화
2. 대외무역에서의 디자인
3. 새로운 디자인을 향한 눈
4. 삐라(그림 전단)에서 근대적인 포스터로
제2장 / 생활 개선·개량
1. 생활변혁의 의식
2. 민주주의에 의한 생활 개선 제안
3. 디자이너에 의한 생활 개선 제안
4. 위에서부터의 개량
5. 디자이너들의 새로운 조직 설립
6. 소비도시와 그래픽
제3장 / 디자인과 이데올로기의 시대
1. 초기의 근대 디자인 교육
2. 국가가 통제하는 디자인
3. 디자인의 내셔널리즘
4. 일본적인 디자인
5. 전쟁과 그래픽 디자인
제4장 / 소비사회의 디자인
1. GHQ의 디자인 지도
2. 비즈니스로서의 디자인
3. 자포니카 디자인
4. 소비도시의 디자인
5. 디자인 비판
6. 과잉소비와 디자인
7. 허무주의에 다다른 소비
참고문헌
역자 후기
책속에서
근대 디자인의 출발에는 ‘누구든 외부의 강요를 받지 않고 스스로 생활양식을 결정하여 자유로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근대 이전의 사회에서 디자인은 복잡한 사회 제도(계급이나 직업)와 맞물려, 수많은 규제에 묶여 있었다.
어떤 의복을 입을 것인지, 어떤 식기나 가구 등의 일상용품을 사용할 것인지, 어떤 집에서 생활할 것인지. 이러한 것들은 결코 자유로운 선택사항이 아니었다. 그러한 것을 제약하는 규율에 의해 사회의 질서, 시스템이 지켜졌다. 그러므로 생활양식과 관련된 디자인의 제도를 깨뜨리는 것은 사회 시스템을 흔드는 것과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일상용품 디자인의 변화는 기능이나 장식, 그리고 기술이나 생산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뿐 아니라, 사회 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사람들의 감각이나 사고의 변용을 나타내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 제1장 밖으로부터의 근대화
1930년대에 중국에서는 옥외간판이나 주택의 벽을 일본의 광고 장치로 이용했다. 그것은 앞에서도 이야기한 것처럼 중국에 일본의 문화(=제도)로서의 틀을 만들어준 것이다. 그러므로 오치의 표현을 빌리자면, 일본은 중국에서,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광고 장치의 회로를 바꾸는 것 없이, 스위치를 돌리는 것만으로 프로파간다의 장치로 바꾼 것이다. 광고 메시지가 먼저 들어있던 곳에, 나중에 프로파간다의 메시지로 바꿔 넣기만 하면 됐다. 이것 또한 침략의 한 형태였다고 말할 수 있다.
-제3장 디자인과 이데올로기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