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59055195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0-08-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3
서장 식민지 조선의 ‘여명’, 김우진과 일본 13
1장 식민지 조선의 근대소설의 상상-소설 「공상문학(空想文學)」 45
1. 「공상문학」의 문제성-표제의 함의와 연극성이 매개된 근대소설의 장르 교섭 47
2. 「공상문학」의 성립-독자ㆍ작가ㆍ출판 미디어 51
3. ‘가정의 비극’의 장르의 교착-<불여귀(不如歸)>의 새로운 독자층의 접점 65
4. ‘문사 자살’ 모티프-‘두 해’의 비유와 식민지의 시대적 고뇌로의 확산 89
2장 일본 유학생의 자기 표상과 연극 수용-일기 <마음의 자취(心の跡)> 97
1. 에피그라프(epigraph)의 메타언어-<마음의 자취(心の跡)>의 텍스트의 성립 99
2. ‘우리’에서 ‘나’로-‘생활의 예술화’의 양상 103
3. 다이쇼 시대의 ‘생명(life)’의 연극 관람 기록-신파극에서 번역극까지 117
4. ‘개인주의자(individualist)’의 행방-“속박에서 벗어난 생물처럼” 131
5. ‘서양에의 탐닉’에서 일본 다이쇼 시대의 맥락으로 144
3장 번역과 강의로 읽는 문화의 수용-일본어가 매개된 ‘서구 탐닉’과 교양의 형성 147
1. ‘서구 탐닉’에 가려진 일본의 표상-일본어의 언어와 문화적 컨텍스트의 교차 149
2. 예술의 ‘완미’의 궤적-다카야마 조규(高山樗牛)의 ‘미적 생활론’과의 비교 165
3. ‘국민과’ 수업 풍경-신체에 각인하는 일본의 교양 175
4. 강의실에서 하숙방으로-‘여자 재혼 불가론’의 주장 179
5. 다이쇼 교양주의 시대의 독서-내면의 심상 풍경 182
4장 일본어 글쓰기로 읽는 이중 언어의 시학-근대문학의 공백과 일본어 소설 189
1. 사적 영역에 기반한 일본어 글쓰기-이중 언어와 장르의 크로스 191
2. 연애의 ‘애가(哀歌)’-「동굴 위에 선 사람(洞窟の上に立てる人)」 197
3. 부부애의 의리-「방련은 어찌하여 나병의 남편을 완쾌시켰는가(蒡蓮はいかにして癩病の夫を全快させたか)」 209
4. 한국 근대문학의 공백과 이중 언어 인식 216
5장 일본어 번역과 아일랜드의 발견-문예잡지 <마사고(眞砂)> 수록 「애란의 시사(愛蘭の詩史)」의 성립 231
1. 김우진의 일본 유학과 아일랜드 발견의 도정 233
2. 「애란의 시사(愛蘭の詩史)」의 원본, <아일랜드 시의 앤솔로지(Anthology of Irish verse)>의 「서문(Introduction)」-패드라익 콜럼의 아일랜드 시론의 ‘국민 표상’ 236
3. 일본의 문예 잡지 <마사고(真砂)>와 와세다대학 영문과 출신의 주요 기고자-아일랜드문학 연구의 족적과 김우진의 학문적 배경의 단면 249
4. 외국 문화 수용의 매개로서의 미디어와 일본어 번역-세계의 동시성의 욕망 256
6장 ‘생명력’의 사유와 일본의 ‘생명’ 담론-다이쇼기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의 수용을 중심으로 267
1. ‘생명력’의 사유의 문제 영역 269
2. 다이쇼기 생명담론-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의 진폭 274
3. 오스기 사카에(大杉栄)의 ‘생’의 철학의 매개성 278
4. ‘내부생명(inner life)’의 함의와 ‘시라카바파(白樺派)’ 283
5. ‘상징의 세계’의 탈각과 내적 생활의 ‘완미完美’의 역정 293
7장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희곡 「산돼지」의 자화상 301
1. “내부 생명의 리듬”의 구성 원리-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의 공명 303
2. 개인과 공동체의 균열-‘산돼지’의 탈이라는 ‘가면’ 312
3. ‘생명력’의 파고-‘생’의 약동과 ‘순수지속’ 321
4. 식민지 조선 청년의 ‘새 개성’-‘감각’으로의 전회 327
종장 모던 시대의 ‘여명’, 생과 사의 ‘역설’ 329
참고문헌 348
초출일람 359
사진 출전 360
부록_ 원문 자료 362
① <마사고(まさご)> 창간호(1923.8)의 목차
② 「애란의 시사(愛蘭の詩史)」 수록 <마사고(真砂)> 제2년 제9호(1924.9)의 목차
③ 패드라익 콜럼(Padraic Colum)의 <아일랜드 시의 앤솔로지(Anthology of Irish verse)>의 목차
④ 하이네(Heinrich heine), 이쿠다 슌게쓰(生田春月) 역, <파선자(破船者)>와 김우진의 한국어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