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59056604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21-12-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한국유학, 성리학, 그리고 한국철학
성리학과 신유학의 의미
한국유학사의 반성
방법으로서의 성리학 이론
책의 개요
제1장 정주성리학의 개관
1. 정이의 우주론과 인간학
1) 우주론
2) 인간학
2. 주희의 지각론과 인심도심론의 구조와 특성
1) 본체론 비판과 지각론의 형성
2) 인심도심론의 형성
3) 인심도심론의 윤리학적 특징
제2장 한국성리학의 발단과 근본 문제 지각론적 도덕론의 태동
1. 『천명도설』의 우주론과 인간론-『태극도설』과의 공통점
2. 『천명도설』과 『태극도설』의 관점적 차이
3. 우주론에서 심성론으로-『천명도설』과 지각론적 도덕론의 입장들
제3장 주리론과 주기론의 분기
1. 주리론과 주기론의 지각론적 관점과 특징
1) 이황 주리론의 기본 관점과 특징
2) 이이 주기론의 기본 관점과 특징
2. 이황의 주리적 지각론과 인심도심론
1) 주리적 지각론의 형성
2) 인심과 도심, 그리고 의意
3. 이이의 주기적 지각론과 인심도심론
1) 주기적 지각론의 형성
2) 인심도심과 기질변화
3) 리통기국理通氣局과 리기지묘理氣之妙
제4장 주리파와 주기파의 대립과 전개
1. 주리파의 주기론 비판과 종합주의
1) 주리파의 율곡철학 비판
2) 분개分開ㆍ혼륜渾淪의 종합주의
3) 이상정의 종합주의와 존재론적 지평
2. 이익의 새로운 지각론과 인심도심론
1) 지각론적 도덕론의 맥락
2) 지각의 인식적 작용
3) 통합적 지각의 토대로서의 지智
3. 주기파에서 지각과 인심도심의 문제
1) 성리학의 정치사상과 송시열의 정치론
2) 송시열의 지각론과 인심도심론
3) 지각의 문제와 호락 분열
4. 김창협의 주기적 지각론과 심리주의적 도덕학설
1) 지각 원리 비판과 지각과 지의 분열
2) 퇴율절충론의 함의와 도덕심리학적 견해
제5장 절충론과 강화양명학의 철학적 입장과 특성
1. 성혼의 절충론과 존재론적 이기일발설
1) 우율 논변에 나타난 성혼의 근본 입장
2) 이기일발설과 심체론의 함의
2. 강화양명학-정제두의 지각론과 윤리학
1) 정제두의 철학적 관점의 형성
2) 양지에 근거한 주관주의적 지각론
3) 양지와 지각의 윤리학
제6장 정약용의 성리학 비판과 탈지각론적 윤리학
1. 정약용의 귀신론과 탈지각론적 마음 이론
1) 성리학에 있어 귀신론의 맥락
2) 귀신의 재해석-『중용』 「귀신장」을 중심으로
3) 귀신론에 입각한 새로운 마음 개념
4) 마음의 본체론적 성격과 실천적 작용
2. 정약용의 인심도심론과 덕 윤리학적 구상
1) 성리학의 윤리학적 두 입장-동기주의와 결과주의
2) 인심도심에 관한 다산의 덕 윤리학적 입장
3) 다산 덕 윤리학의 특징과 의의
결론 한국유학에서 한국철학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