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5220577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6-11-1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오리엔테이션
우리나라에도 철학이 있나요/우리의 과거와 현재/근대성에 대한 반성/신유학은 우리 것인가/깨달음과 앎으로서의 철학/미래를 위한 거울
1강 신유학의 탄생
동아시아 역사의 전개/탄생의 배경/신유학의 인문주의와 고전 유학/불교의 영향/도교의 영향/사상의 흐름/사대부
2강 신유학의 창조자들
북송오자/북송오자의 교우 관계/북송오자의 공통점/주돈이와 태극도설/소옹과 역학/장재와 기/정호와 정이/신유학의 완성, 주자
3강 신유학의 체계
자연과 인간/이기론/성즉리/사실과 가치의 통합/격물과 경/신유학과 리
4강 신유학의 흐름
양명학과 고증학/육상산과 양명학의 등장/마음이 이치다/양지를 실천하라/주체의 수양과 정치적 측면/고증학의 등장/욕망과 지각의 철학/근대로 진입
5강 조선 유학의 지형
조선왕조의 이념/주기와 주리/사단칠정논쟁/유기와 유리/인간과 사물의 본성에 대한 논쟁/서학과 실학
6강 서학과의 만남
서학을 만나다/17~18세기의 서유럽과 동아시아/서양 과학 기술과 조선 성리학/천주교와 상제 논쟁/정약용의 인간학과 사회사상/최한기의 기학/서학과의 만남이 주는 의미
7강 서양 철학과의 비교
포스트모더니즘과 전통/자연관/인간관/사회관/새로운 인식론의 요청
8강 신유학, 새로운 문명을 꿈꾸다
근대 세계와 신유학/일본의 근대 인식/중국의 신유가들/서양의 인식/철저한 실용주의/과학 발전을 위해 적합한 체계/인간과 삶의 의미/다시 삶의 자리로
인명사전
더 읽을거리
찾아보기
책속에서
성즉리는 만물의 본성과 인간의 본성은 리라는 공통된 본성을 갖고 있다는 명제입니다. 그리고 그 성은 인간의 가치입니다. 그러나 서구의 인간중심적인 가치가 아니라, 자연의 질서가 가진 본성인 원형리정을 그대로 이어받은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가치입니다. 이러한 가치는 인간만의 가치가 아니라 우주의 모든 사물에까지 편재되어 있는 보편적 가치입니다.
신유학은 맹자가 인간의 본성으로 생각한 인의예지를 인간을 넘어서 모든 사물이 함께 공유하고 있는 우주의 가치와 이념으로 확장하면서 고전 유학을 새롭게 해석합니다. 하늘의 별, 해, 달, 땅 위의 산천과 만물은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리는 조직화의 원리이면서 동시에 생명이 구현해야 하는 가치가 되었습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