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9056734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총서 발간사_손준식
추천사_백영서
한국어판 서문_나리타 지히로
서장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과제
제3절 연구사
제4절 본서의 구성
제1장 동아시아 냉전체제의 형성과 미군 통치하의 ‘류큐琉球’
제1절 오키나와의 귀속 문제 결정 과정
1. 오키나와의 귀속 문제와 중화민국정부
2. 고양되는 일본복귀론
3. ‘잠재주권 방식’의 결정
4. 한국전쟁과 오키나와 기지의 강화
5. 아마미군도 반환과 중화민국정부의 변화
제2절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 결성과 류큐 대표 참가 문제
1. 아마미 반환 전후의 오키나와
2. APACL 결성과 류큐 대표의 참가
3. ‘류큐 대표’를 둘러싼 미국ㆍ일본ㆍ오키나와의 반응
4. APACL과 일본 대표 참가 문제
제3절 섬 전체 투쟁과 한국ㆍ중화민국정부의 대응
1. 섬 전체 투쟁의 발발
2. 중화민국정부의 관여 강화
3. 한국정부의 위기감
4. APACL의 확대와 한국ㆍ중화민국의 제휴
제2장 한일관계의 변용과 베트남 전쟁의 본격화
제1절 1960년대 초의 전환
1. 이승만 정권 붕괴와 APACL의 변용
2. 일본복귀운동의 재흥
3. 박정희 정권의 성립과 안보투쟁의 여파
4. 한국군 베트남 파병 제기
5. 주한미군과 한국군 삭감 계획의 현재화
제2절 전면화하는 베트남
1. 지체되는 한일회담과 비전투부대 파병
2. 우선순위의 전환
3. 한일회담 재개
4. 한미의 베트남 개입 확대
제3절 한일회담 타결과 베트남 파병 개시
1. 한일회담의 진전과 베트남 문제
2. 파병을 둘러싼 흥정
3. 미국의 독도 문제 개입
4. 우선시된 파병
제3장 오키나와 반환 문제의 초점화
제1절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
1. 지역 협력 체제 형성을 위한 노력
2. 오키나와 반환의 구체화
3. 국부의 오키나와 정책 변화
4. ‘반환 시기’의 합의
제2절 격동의 시작
1. 한반도 정세의 악화
2. 안보 위기와 B52 오키나와 배치
3. B52 배치의 충격
제3절 안보위기의 여파와 3대 선거
1. 주석 공선 선거 실시 결정과 B52 문제
2. 가데나 촌의 고뇌
3. 혁신 정권의 성립
4. 각 정부의 위기인식 확대
제4절 2ㆍ4 총파업과 그 파문
1. B52 추락 폭발사고
2. 총파업 기운의 고조
3. 2ㆍ4 총파업과 회피 공작
4. 총파업 회피의 파문
제4장 오키나와 ‘반환’ 결정
제1절 오키나와 반환 교섭의 개시
1. 한국과 중화민국의 위기감
2. 미국정부에 의한 억제
3, ‘핵 제거, 본토 수준’의 의미
4. ‘즉시 무조건 전면 반환’ 주장
제2절 일미 교섭의 진전과 주변 지역의 불안
1. 다국 간 협의의 장과 한미 간 교섭
2. 일미 교섭의 개시
3. 괌 독트린의 발표
4. ‘한국ㆍ타이완 조항’의 결정
제3절 오키나와 반환 교섭의 귀결
1. 미국 특사의 타이완 방문
2 한국과 중화민국에 대한 배려
3. ‘반환’에 대해 확산되는 의심
4. 사토-닉슨 공동성명 발표
제5장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변용과 오키나와 반환의 실현
제1절 오키나와 반환 결정과 북중 양국의 반응
1. 미국의 대일정책 재검토
2. 일본에서 자주방위론의 대두
3. 오키나와 반환 합의에 대한 북중 양국의 반응
제2절 주한미군 감축과 자주방위 구상
1. 주한미군 감축 계획과 한미 관계 악화
2. 자주방위를 둘러싼 일미 협의와 주한미군 감축 계획의 영향
3. 나카소네 방미의 파문
4. 자위대 배치 발표와 오키나와의 반응
5. 주한미군 감축 문제의 귀결
제3절 미중 접근과 ‘오키나와 국회’
1. 오키나와 반환 협정 조인을 둘러싼 상황
2. 자위대 배치 반대운동의 고양
3. 미중 접근과 대일정책의 재검토
4. ‘오키나와 국회’와 오키나와 현지의 반응
제4절 오키나와 ‘반환’의 실현
1. 미중 접근과 한국정부 및 국부의 동요
2. ‘현상 유지’의 합의
3. 오키나와 반환의 귀결
종장 오키나와 반환이란 무엇이었나
후기
참고문헌
사진 출처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