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

(류큐/오키나와의 귀속과 기지 문제의 변용)

나리타 지히로 (지은이), 임경화 (옮긴이)
소명출판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900원 -10% 0원
1,550원
26,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 (류큐/오키나와의 귀속과 기지 문제의 변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9056734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동아시아 냉전체제 속에서 미국에 안보문제를 의지해야 했던 한국과 타이완이 미-일 간의 오키나와 반환 교섭에 어떻게 관여했는지를 전면적으로 파헤친 책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가 동아시아에서 작동하는 양상에 겹쳐 이 지역의 여러 정부와 오키나와 주민이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를 한눈에 보여준다.

목차

총서 발간사_손준식
추천사_백영서
한국어판 서문_나리타 지히로

서장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과제
제3절 연구사
제4절 본서의 구성

제1장 동아시아 냉전체제의 형성과 미군 통치하의 ‘류큐琉球’
제1절 오키나와의 귀속 문제 결정 과정
1. 오키나와의 귀속 문제와 중화민국정부
2. 고양되는 일본복귀론
3. ‘잠재주권 방식’의 결정
4. 한국전쟁과 오키나와 기지의 강화
5. 아마미군도 반환과 중화민국정부의 변화
제2절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 결성과 류큐 대표 참가 문제
1. 아마미 반환 전후의 오키나와
2. APACL 결성과 류큐 대표의 참가
3. ‘류큐 대표’를 둘러싼 미국ㆍ일본ㆍ오키나와의 반응
4. APACL과 일본 대표 참가 문제
제3절 섬 전체 투쟁과 한국ㆍ중화민국정부의 대응
1. 섬 전체 투쟁의 발발
2. 중화민국정부의 관여 강화
3. 한국정부의 위기감
4. APACL의 확대와 한국ㆍ중화민국의 제휴

제2장 한일관계의 변용과 베트남 전쟁의 본격화
제1절 1960년대 초의 전환
1. 이승만 정권 붕괴와 APACL의 변용
2. 일본복귀운동의 재흥
3. 박정희 정권의 성립과 안보투쟁의 여파
4. 한국군 베트남 파병 제기
5. 주한미군과 한국군 삭감 계획의 현재화
제2절 전면화하는 베트남
1. 지체되는 한일회담과 비전투부대 파병
2. 우선순위의 전환
3. 한일회담 재개
4. 한미의 베트남 개입 확대
제3절 한일회담 타결과 베트남 파병 개시
1. 한일회담의 진전과 베트남 문제
2. 파병을 둘러싼 흥정
3. 미국의 독도 문제 개입
4. 우선시된 파병

제3장 오키나와 반환 문제의 초점화
제1절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
1. 지역 협력 체제 형성을 위한 노력
2. 오키나와 반환의 구체화
3. 국부의 오키나와 정책 변화
4. ‘반환 시기’의 합의
제2절 격동의 시작
1. 한반도 정세의 악화
2. 안보 위기와 B52 오키나와 배치
3. B52 배치의 충격
제3절 안보위기의 여파와 3대 선거
1. 주석 공선 선거 실시 결정과 B52 문제
2. 가데나 촌의 고뇌
3. 혁신 정권의 성립
4. 각 정부의 위기인식 확대
제4절 2ㆍ4 총파업과 그 파문
1. B52 추락 폭발사고
2. 총파업 기운의 고조
3. 2ㆍ4 총파업과 회피 공작
4. 총파업 회피의 파문

제4장 오키나와 ‘반환’ 결정
제1절 오키나와 반환 교섭의 개시
1. 한국과 중화민국의 위기감
2. 미국정부에 의한 억제
3, ‘핵 제거, 본토 수준’의 의미
4. ‘즉시 무조건 전면 반환’ 주장
제2절 일미 교섭의 진전과 주변 지역의 불안
1. 다국 간 협의의 장과 한미 간 교섭
2. 일미 교섭의 개시
3. 괌 독트린의 발표
4. ‘한국ㆍ타이완 조항’의 결정
제3절 오키나와 반환 교섭의 귀결
1. 미국 특사의 타이완 방문
2 한국과 중화민국에 대한 배려
3. ‘반환’에 대해 확산되는 의심
4. 사토-닉슨 공동성명 발표

제5장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변용과 오키나와 반환의 실현
제1절 오키나와 반환 결정과 북중 양국의 반응
1. 미국의 대일정책 재검토
2. 일본에서 자주방위론의 대두
3. 오키나와 반환 합의에 대한 북중 양국의 반응
제2절 주한미군 감축과 자주방위 구상
1. 주한미군 감축 계획과 한미 관계 악화
2. 자주방위를 둘러싼 일미 협의와 주한미군 감축 계획의 영향
3. 나카소네 방미의 파문
4. 자위대 배치 발표와 오키나와의 반응
5. 주한미군 감축 문제의 귀결
제3절 미중 접근과 ‘오키나와 국회’
1. 오키나와 반환 협정 조인을 둘러싼 상황
2. 자위대 배치 반대운동의 고양
3. 미중 접근과 대일정책의 재검토
4. ‘오키나와 국회’와 오키나와 현지의 반응
제4절 오키나와 ‘반환’의 실현
1. 미중 접근과 한국정부 및 국부의 동요
2. ‘현상 유지’의 합의
3. 오키나와 반환의 귀결

종장 오키나와 반환이란 무엇이었나

후기
참고문헌
사진 출처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나리타 지히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리쓰메이칸(立命館)대학 기누가사(衣笠) 총합연구기구 전문연구원.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오키나와 반환 문제(戦後東アジア国際秩序の変動と沖縄返還問題)」로 2018년에 교토대학대학원 문학연구과 현대사학 전공 박사학위 취득. 오키나와 현대사,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전공. 논문에 「沖縄返還交渉と朝鮮半島情勢-B52沖縄配備に着目して」(『史林』 97(3), 2014), 「米国のベトナム戦争介入と日韓国交正常化-韓国軍ベトナム派兵に着目して」(『史林』 99(2), 2016), 「오키나와 귀속문제를 둘러싼 한국과 중화민국정부의 동향-1940~50년대를 중심으로」(『인문논총』 76(2), 2019), 공저에 『歴史認識から見た戦後日韓関係-「1965年体制」の歴史学·政治学的考察』(社会評論社, 2019), 『植民地主義, 冷戦から考える日韓関係』(同志社大学コリア研究センター,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임경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2년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마이너리티 연구, 코리안 디아스포라 비교연구, 접경 연구 등을 주제로 『두 번째 전후-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공저, 2017),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저, 2022), 「쓰시마(対馬) 현대사 속의 재일조선인」(2020) 등을 집필했다. 역서에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2019),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2022),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2024) 등이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